[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5년 발매된 플랫폼 게임, rd1=Environmental Station Alpha)] [include(틀:우주기구)] [include(틀:21세기의 우주 개발)] ||<-2>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width=100%]] || ||<-2> '''유럽우주국'''[br]'''Agence spatiale européenne'''[br]'''European Space Agency''' || || '''웹사이트''' ||[[http://www.esa.int/ES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m.facebook.com/EuropeanSpaceAgenc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esa, 크기=24)] [[https://www.instagram.com/europeanspaceagenc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EuropeanSpaceAgenc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linkedin.com/company/european-space-agency/|[[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4]]]]|| [[영어]]:European Space Agency [[프랑스어]]: Agence spatiale européenne [[독일어]]: Europäische Weltraumorganisation [[스페인어]]: Agencia Espacial Europea [[이탈리아어]]: Agenzia Spaziale Europea [목차] == 개요 == 유럽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은 유럽에 속한 각국이 모여서 만든 [[우주기구]]로 본부는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 발사시설은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 소재한 [[기아나 우주센터]]에 위치해 있다. 우주발사체로는 [[아리안]], [[소유즈 우주선|소유즈]], [[베가 로켓]]을 사용한다. 유럽 국가들이 회원국이지만 [[노르웨이]], [[스위스]], [[영국]] 등이 포함된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유럽연합]] 소속 기관은 아니다. == 역사 == 1964년 설립된 유럽 우주연구기구(Europe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설립 참가국이 이 후신에 계승하였다.]와 유럽 발사개발기구(European Launch Development Organization, ELDO)와의 합병으로 인한 1975년 5월 30일부로 설립되었다. == 참가국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SA 참가국 지도.svg|width=100%]]}}} || ||||정회원국 || ||||준회원국 || ||||협력국([[캐나다]]) || ||||유럽협력국가(ECS) || ||||협력 협정 조인국 || * [[2022년]] 기준 회원국 명단 (총 22개국)[* 각국에서 비준서를 제출한 순서대로 기입했다. [[https://www.esa.int/About_Us/Law_at_ESA/ESA_Convention|#]]] 설립 참가국 (10개국) - [[스웨덴]], [[스위스]], [[독일]], [[덴마크]], [[이탈리아]],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프랑스]] 설립 후 참가국 (12개국) -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핀란드]], [[포르투갈]], [[그리스]], [[룩셈부르크]], [[체코]], [[루마니아]], [[폴란드]], [[헝가리]], [[에스토니아]] 이 밖에 준회원국과 유럽협력국가(ECS)가 있으며, 이에 따른 협력협정국이 있다. 준회원국은 정식 ESA 협약국이지만, 조금 그 책임과 의무가 낮은 단계이고, 협력국은 정회원 또는 준회원이 되기 위해 본격적으로 ECS 계약을 맺고 활동을 하는 단계[* 이 때부터 원한다면 자국의 공/사기업이 ESA와 계약을 맺고 협업 또는 납품이 가능하다.]이며, 협력협정국은 평화적, 학술적인 협력정도만 맛보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 준회원국 (4개국) - [[슬로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슬로바키아]] * ECS (2개국) - [[불가리아]], [[키프로스]] * 협력협정국 (5개국) -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이 3개국은 [[유럽연합]]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인지, 이미 준회원이 된 국가들보다 먼저 협정에 조인했으나 더이상의 진행은 없다.], [[몰타]][* 몰타는 유럽연합 소속이지만 나라가 물리적으로 좁은 탓에(...) --키프로스 정도까진 되어야 참여할 수 있나보다-- 그냥 학술교류만 하는 듯 하다.], [[크로아티아]][* [[유럽연합]] 가입 후 [[2018년]] 협약을 맺었고, 현재 계속해서 협약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보통 5년정도의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역량에 따라 협정이 추가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캐나다]]는 [[유럽]] 국가가 아니지만 [[1979년]]부터 특별 지위인 협력국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분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벨기에, 스페인, 스위스, 기타 국가들 순이다. == [[우주 탐사]] 현황 == 여러 무인 [[탐사선]] 분야에서 [[냉전]] 이후 [[러시아]]를 앞서는 급격한 발전을 보였다. 특히 같은 서방권 국가인 [[미국]]의 [[NASA]]는 물론 [[러시아]]의 [[로스코스모스]]와도 죽이 맞아서 양측의 노하우를 모두 흡수하다보니 더욱... 그러나 [[유럽]]의 전반적인 경제력이 침체에 놓이면서 상승세가 둔화되고는 있다. 한편 [[유인 우주선]] 개발에 있어서는 헤르메스 등 이런저런 [[페이퍼 플랜]]만 내놓다가 결국 [[크루 드래곤]]과 [[소유즈 우주선]]에 신세지고 있다. [[우주인]] 선발에 있어서도 자체 유인우주선이 없는 한계 때문에 이래저래 곤란한 점이 많다. 가령 미/러는 [[군인]] 출신 우주인들을 군인 신분을 유지하면서도 써먹을 수 있는데 ESA 군인들은 우주인에 지원하면 여러 나라가 협력하는 국제기구의 특성 때문에라도 현역 신분을 유지하기 힘들다. 또한 미션을 뛸 기회 자체가 적다보니[* [[ISS]]의 승무원 로테이션에서 기본적으로 러시아 3인, 미국 2인 외에는 ESA/[[캐나다]]가 한 자리를 공유한다. 이런 현상은 [[크루 드래곤]]이 정기운항을 개시할 [[2020년]] 하반기까지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 서너번 이상, 수백일 이상 뛴 베테랑이 NASA와 러시아에는 꽤 있지만 ESA는 안 그래도 적은 현역 우주인단 중에서도 상당히 적다. === 성과 === * [[1985년]] [[7월 2일]] - [[핼리 혜성]] 탐사선인 지오토(Giotto) 발사 * [[허블 우주 망원경]], [[NASA]]와 공동 개발 * [[1990년]] [[10월 6일]] - [[NASA]]와 공동 개발한, [[태양]]의 극지방 영역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된 탐사선 [[율리시즈#S-4|율리시스]](Ulysses) 발사 * [[1995년]] [[12월 2일]] - [[NASA]]와 공동 개발한 [[소호#s-2|소호 태양 관측 위성]](SOHO) 발사 * [[1997년]] 발사된 [[NASA]]-ESA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하위헌스]]로부터 ESA가 개발한 하위헌스 탐사선이 분리되어 [[2004년]] 토성의 [[위성]] [[타이탄(위성)|타이탄]] 표면에 착륙 * [[2001년]] [[7월 12일]] - 통신 위성 아르테미스 발사 * [[2002년]] [[10월 17일]] - [[감마선]] 관측 위성 인테그랄(INTEGRAL) 발사 * [[2003년]] [[6월 2일]] - 러시아 과학자들과 ESA가 공동 개발한 [[화성]] 탐사선 [[마스 익스프레스]] 발사, 동년 [[12월 25일]] 화성 궤도 도착 * [[2004년]] [[3월 2일]] - [[혜성]] 탐사선 [[로제타(탐사선)|로제타]] 발사 * [[2005년]] [[11월 9일]] -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 발사 * [[2006년]] [[12월 27일]] - CNES와 공동 개발, 유사 태양의 맥동 관측과 [[슈퍼지구]], [[유사 지구]] 탐사를 위한 [[우주 망원경]] 코롯(CoRoT) 발사 * [[2009년]] [[5월 14일]] - [[원적외선]] [[우주 망원경]]인 [[허셜 우주 망원경]](HSO), [[NASA]]의 [[우주배경복사]] 관측 위성 WMAP의 후계 위성인 플랑크(Planck)의 동시 발사 * [[2013년]] [[11월 22일]] - [[지구자기장]] 관측 위성 스웜(SWARM) 발사 * [[2013년]] [[12월 19일]] - 히파르코스 위성의 후계 위성인 [[우리 은하]] 관측 위성 [[가이아 우주 망원경]](Gaia) 발사 * [[2016년]] [[3월 14일]] - [[러시아 연방 우주국|Roscosmos]]와 공동 추진 중인 엑소마스(ExoMars) 미션의 1차 계획인 [[엑소마스 가스추적궤도선]] 발사 * [[2018년]] [[10월 20일]] - [[일본]] [[JAXA]]와 공동 개발한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BepiColombo) 발사 * [[2019년]] [[12월 18일]] - SSO와 공동 개발, [[외계 행성]] 탐사 위성 키옵스(CHEOPS) 발사 * [[2020년]] [[2월 10일]] - 태양 관측 위성 솔라 오비터(SolO) 발사 * [[2023년]] [[4월 15일]]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 JUpiter ICy moon Explorer) === 계획 === * [[로잘린드 프랭클린]] 화성 로버 * 오로라 계획에 의한 유인ㆍ무인 태양계 탐사 계획 (2025년까지 화성에 유인 우주선을 착륙시키고, 2033년까지 태양계의 모든 위성에 유인 우주선을 보낸다는 것이 중점 사항임) *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 - NASA와 공동 개발 중 * [[루나 게이트웨이]] 국제 협력중 == 관련 문서 == * [[국제우주정거장]] * [[로제타(탐사선)|로제타]] * [[루나 게이트웨이]] * [[아리안스페이스]] * [[베피콜롬보]] * [[Artes|ARTES]] * [[Kerbal Space Program]][* 1.10 버전에서 ESA와의 협력이 이루어졌다.]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우주기구]][[분류:E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