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스스톤/직업 전설/마녀숲)] [include(틀:사제(하스스톤))] [목차] == 개요 == ||<-6>
<#FFFFFF>|| ||<:> '''한글명''' ||<:> 유령아씨 ||<-4><|8><:>[[파일:유령아씨.png|width=200]] || ||<:> '''영문명''' ||<:> Lady in White || ||<:> '''카드 세트''' ||<:> 마녀숲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직업 제한''' ||<:> {{{#black 사제}}} || ||<:> '''종족''' ||<:> 언데드 || ||<:> '''[[https://cards.hearthpwn.com/enUS/gifs/GIL_840.gif?158725|황금 카드]]''' ||<:> 제작 또는 카드팩 || ||<:> '''비용''' ||<:> 6 ||<:> '''공격력''' ||<:> 5 ||<:> '''생명력''' ||<:> 5 || ||<:> '''효과''' ||<-5>'''전투의 함성:''' 내 덱에 있는 모든 하수인에게 '내면의 열정'을 시전합니다.''(공격력을 생명력과 같은 수치로 바꿈)'' || ||<:> '''플레이버 텍스트'''||<-5>옷에 알록달록한 무늬가 가득했는데 노움 세탁기가 표백제를 너무 많이 넣었다고 하는군요.[br]''(She was a lady in polka dots until the gnomish laundromat incident.)''|| >소환: 잃은 건, 다시 찾을 수 있단다. ''(What was lost can be found again.)'' >공격: 쉿! 조용… ''(Hush, Now…)'' [[https://youtu.be/Se0NLiXNEGc?t=13m13s|소환 음악]]은 [[텔드랏실]] 그늘 협곡 BGM. 성우는 모이라와 요한나 등을 담당한 [[이미나]]로 추정. == 상세 == 마녀숲 사제 직업 전설 하수인이다. 하스스톤 오리지널 캐릭터. 공격력보다 생명력이 높은 카드들을 순식간에 '''괴물'''로 변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사제가 자주 기용하는 토르톨란 껍질방패병이 4코스트 6/6에 도발과 죽메를 달고, 이세라는 데스윙급으로 스펙이 올라간다. 체력이 높지만 공격력이 지나치게 낮거나 아예 없어서 필드 장악이 안 된다는 이유로 외면받던 하수인들 역시 이 카드의 힘을 받으면 명백히 오버스펙이 된다. 빛샘, 모구샨 감시자 등이 대표적인 예. 당연하지만 공격력이 생명력과 같은 하수인은 이득이 없고 공격력이 높은 하수인을 넣으면 손해인만큼, 유령아씨를 쓸 거라면 자연히 덱의 형태 자체가 '''고 생명력 하수인''' 위주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유령아씨는 전설이라 덱에 한 장밖에 넣지 못하는 데다 따로 찾아올 방법도 없고 사제 자체가 드로우가 썩 좋은 편도 아닌지라 유령아씨 뽕맛만 믿고 지나치게 고체력 하수인만 가지고 덱을 짰다가는 밸런스가 무너지기 십상. 아예 천정내열덱을 만들 게 아니라면 적정 수준을 잘 지켜서 덱빌딩을 해야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 동일한 6코스트인 주술사의 [[안개소환사]]와 비교한다면, 손에 있는 하수인은 버프할 수 없으니 늦게 나올수록, 하수인을 먼저 많이 뽑을수록 손해를 보게 되는 셈이다. 하지만 고체력 하수인 위주 덱을 짠다면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버프가 1/1보다 훨씬 가치있기에 메타 초반인 4월 셋째주 시점에서 상당히 높은 기용률을 보인다. 마녀숲에서 추가된 유형인 '턴마다 생명력과 공격력을 바꾸는' 하수인들과도 시너지가 나쁘지 않다. 이런 종류의 하수인들은 생명력과 공격력이 배분이 좋지 않고, 덱에 있을 때는 생명력 쪽이 더 높은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덱에 있을 때 유령아씨 효과를 받으면 공격력이 크게 증가한 채 핸드로 들어오게 된다. 4코스트 6/6 속공 하수인이나 3코스트 4/4 생흡 하수인도 얼마든지 만나볼 수 있다. 손에서 낼 타이밍을 고민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것은 덤. 단점은 낸 턴에 이득이 아무 것도 없다는 점. 켈레세스는 2코스트에 적당한 스탯으로 나갈 수 있어서 좋은 카드였는데, 이 카드는 6코스트나 되는 높은 코스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미래를 대비하는 카드 치고는 지나치게 현재 플레이를 제한하는 감이 있다. 또한 천정내열 덱도 4코 0/9 도발 하수인을 9/9로 만든다 해도 어차피 천정+천정+내열로 36/36을 만들어서 킬각을 내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는 유저도 있으며, 천정내열 자체가 예능이며 사제의 픽률도 매우 낮았기 때문에 덱 자체가 묻힐 거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발매 직후에는 다양한 덱에 연구되는 가운데 특히나 빅 주문 사제에 주로 채용된다. 사제 덱은 꼭 천정내열이 아니더라도 고체력 하수인을 쓸 수 있기 마련이고, 마녀숲에서 체력이 높고 유용한 하수인들이 다수 추가되었기에 유령아씨를 통해 뒷심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드를 깔아 놓고 주문을 바를 것도 없이 처음부터 강화된 상태로 튀어나온다는 점이 매력. 빅주문사제는 아예 [[공작 켈레세스]]까지 집어넣은 버프덱도 보이고 있다. 핵심은 '''유령아씨가 늦게 나오더라도 소환사로 사기치면 된다'''는 밀어붙이기 전략. 즉 빅스펠의 약점을 유령아씨가 메운다기보다 유령아씨의 약점을 빅스펠이 보완하는 형태이다. 최초 예상인 '천정내열덱 전용 카드'라는 평가에서 많이 달라진 상태. 그러나 원한 맺힌 소환사 너프 전에도 황혼의 수행사제의 디나이얼을 방해하고 황혼의 비룡을 쓰레기로 만든다는 단점 탓에 잘 넣지 않던 카드였는데 원한 맺힌 소환사 너프 이후에는 빅 주문 사제 자체가 사라져 이 카드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 == 기타 == 마녀숲 초기에 늑대인간 컨셉 하수인들과 [[카멜레오스]]와 관련된 버그가 발견되고 있다. 늑대인간 하수인들은 공격력과 생명력이 바뀔 때 스탯이 0/0이 돼버린다. [[https://playhearthstone.com/ko-kr/blog/21694425/|공식 설정]]상으론 [[마녀 하가사]]가 내린 저주 때문에 혼란스러워하는 길니아스 시민들을 안심시키는 희망의 상징이라 한다. 유령아씨는 깊은 절망에 빠진 이들에게 어머니로, 형제로, 아내로, 때로는 친구로 나타나 장막 너머에서 절망에 빠진 이들을 위로해준다. 친절하지만, 깊은 슬픔에 잠겨 있고 무언가를 찾고 있는 듯 보인다고 한다. 대부분은 유령아씨를 보지 못하겠지만, 유령아씨의 축복을 받은 이들은 그들의 영혼이 가장 심오한 방법으로 고양되었다고 한다. 이 설정이 덱의 하수인들에게 내면의 열정을 걸어주는 것으로 구현된 셈. [[분류:하스스톤/카드/언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