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크툽]][[분류:2023년 노래]] [[분류:록 발라드]]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aXEwm_haZks,width=100%,align=center)] 2023년 10월 15일 발매한 K2의 [[유리의 성(K2)|유리의 성]]을 리메이크한 마크툽의 리메이크 싱글 앨범이다. == 수록곡 == ||<-6> [[파일:c64ea61bd0af58bfd5cd2b7875cec058.300x300x1.jpg|width=350]] || ||<-6><#CEEDFF> {{{#000000 '''Castle of Glass'''}}} || ||<-3><#CEEDFF> {{{#000000 총 9분 58초}}} ||<-3><#CEEDFF> {{{#000000 2023년 10월 15일 발매}}} || ||<#CEEDFF> {{{#000000 트랙}}} ||<#CEEDFF> {{{#000000 곡명}}} ||<#CEEDFF> {{{#000000 러닝타임}}} ||<#CEEDFF> {{{#000000 작사}}} ||<#CEEDFF> {{{#000000 작곡}}} ||<#CEEDFF> {{{#000000 편곡}}} || || 1 || [[유리의 성(마크툽)|유리의 성]]^^{{{#red TITLE}}}^^ || 03:06 || 미진 || [[조규만]] || 고태영 || || 2 || [[유리의 성(마크툽)|유리의 성]] (inst.) || 03:06 || - || [[조규만]] || 고태영 || == 가사 == ||
'''〈유리의 성〉''' || || 모두 지난 일인데 이미 넌 내 곁에 없는데 이제는 받아들여야 하는지 이별은 시간이 흘러가도 추억보단 아픔으로 그렇게 남나 봐 유리로 집을 지어 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우리 영원히 함께 하자던 너의 꿈 깨어져 버린 유리 조각되어 내 마음에 흩어져 내리네 추억은 아주 잠시 나를 위로할 뿐 우리 이별 뒤로 사라져가고 하지만 내가 믿고 싶은 건 단 하나 이 세상이 '''{{{#green 끝나면}}}''' '''{{{#orange 다}}}{{{#blue,#dodgerblue 시}}} {{{#skyblue 만}}}{{{#green 날}}} {{{#skyblue 거야}}} {{{#orange 저}}} {{{#blue,#dodgerblue 하}}}{{{#skyblue 늘}}} {{{#green 위}}}'''에'''{{{#skyblue 서}}}''' 그'''{{{#skyblue 토}}}{{{#green 록}}} {{{#skyblue 바}}}{{{#blue,#dodgerblue 라던}}} {{{#orange 유}}}{{{#blue,#dodgerblue 리}}}{{{#skyblue 의 성}}}{{{#green 을 지}}}'''어'''{{{#green 서}}}''' 그때는 너의 손 놓'''{{{#green 지}}} {{{#skyblue 않}}}{{{#green 을}}}{{{#skyblue 게}}}''' 마음'''{{{#orange 껏}}} {{{#blue,#dodgerblue 울어}}}'''도 돼 너의 '''{{{#orange 눈}}}{{{#blue,#dodgerblue 물 닦}}}{{{#skyblue 아}}}''' 줄 테니 추억은 아주 잠시 나를 위로할 뿐 우리 이별 뒤로 사라져가고 하지만 내가 믿고 싶은 건 단 하나 이 세상이 끝나'''{{{#green 면}}}''' '''{{{#orange 다}}}{{{#blue,#dodgerblue 시}}} {{{#skyblue 만}}}{{{#green 날}}} {{{#skyblue 거야}}} {{{#orange 저}}} {{{#blue,#dodgerblue 하}}}{{{#skyblue 늘}}} {{{#green 위}}}'''에'''{{{#skyblue 서}}}''' 그'''{{{#skyblue 토}}}{{{#green 록}}} {{{#skyblue 바}}}{{{#blue,#dodgerblue 라던}}} {{{#orange 유}}}{{{#blue,#dodgerblue 리}}}{{{#skyblue 의 성}}}{{{#green 을 지}}}{{{#skyblue 어}}}{{{#blue,#dodgerblue 서}}}{{{#orange ㅡ}}}''' '''{{{#orange 널}}} {{{#blue,#dodgerblue 지}}}{{{#skyblue 켜}}}{{{#green 줄}}} {{{#skyblue 거야}}} {{{#orange 네}}} {{{#blue,#dodgerblue 맘}}}{{{#skyblue 에}}} {{{#green 상}}}'''처'''{{{#skyblue 가}}}''' {{{#red 아}}}'''{{{#orange 무}}}{{{#skyblue 는 날}}}{{{#blue,#dodgerblue 까}}}{{{#orange 지}}}{{{#blue,#dodgerblue ㅡ}}}''' '''{{{#orange 우}}}{{{#blue,#dodgerblue 린}}} {{{#red 영}}}{{{#skyblue 원}}}{{{#blue,#dodgerblue 히}}} {{{#green 함}}}'''께'''{{{#green 해}}}''' 그때는 너의 손 놓'''{{{#green 지}}} {{{#skyblue 않}}}{{{#green 을}}}{{{#skyblue 게}}}''' 마음'''{{{#orange 껏}}} {{{#blue,#dodgerblue 울어}}}'''도 돼 너의 '''{{{#orange 눈}}}{{{#blue,#dodgerblue 물 닦}}}{{{#skyblue 아}}}''' 줄 테니 {{{#skyblue 후후}}} 마음껏 울어도 돼 너의 눈물 닦아 줄 테니 || ||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skyblue 하늘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바장조 * 진성 최고음 : 3옥타브 레(D5) * 가성 최고음 : 3옥타브 레(D5) * 최저음 : 1옥타브 도(C3) 최후반에 나오는 3옥타브 레(D5)를 진성으로 지르는 거 빼고는 전체적인 난이도는 원곡과 같은데 그 전체적인 난이도 자체가 눈의 꽃같이 가성이면 모를까 진성으로 전부 질러 버려서 [[오빛너]]에 준하는 난이도를 지니고 있다. 난이도를 최소로 잡아도 눈을 보고 말해요 보다는 높다. == 성과 == ||<-3> {{{#0c3785 '''〈유리의 성 (Castle of Glass)〉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모든 음원 성적 출처는 가이섬.com] || || '''음원 서비스''' || '''차트 종류''' || '''순위''' || ||<|6>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 || TOP100 || - || || 실시간 차트 || 93위 || || 일간 차트 || 154위 || || 주간 차트 || - || || 월간 차트 || - || || 연간 차트 || - || ||<|2> [[지니뮤직|[[파일:지니뮤직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37위 || || 일간 차트 || 114위 || || [[FLO|[[파일:FLO 로고.svg|width=70]]]] || FLO 24시간 차트 || - || ||<|2> [[벅스(음원 서비스)|[[파일:벅스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99위 || || 일간 차트 || - || || [[네이버 VIBE|[[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네이버 VIBE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일간 차트 || 148위 || ||<-3> {{{-2 KST 2023-09-03 20시 기준[br][[https://가이섬.com/melon/song/36871736|주요 음원 서비스의 〈유리의 성 (Castle of Glass)〉 차트 순위 추이]]}}} || == 여담 == * 원곡 [[유리의 성(K2)|유리의 성]]은 현생에서 결혼하지 못한 애인과 천상에서 다시 만나자는 내용이지만, 마크툽은 이 노래를 사별에 관한 곡으로 재해석해서 불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