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노선을 운영하는 회사, rd1=유리카모메(기업))] ||<-2><)>{{{#!wiki style="margin: 0px -5px" [[유리카모메(기업)|[[파일:Yurikamome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유리카모메(기업)|{{{#ffffff 주식회사 유리카모메}}}]]}}}||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Yurikamome_Logo.svg|width=50]]||{{{#1662b8 {{{+1 '''[ruby(東京臨海新交通臨海線, ruby=とうきょうりんかいしんこうつうりんかいせん)]'''}}}[br]Y'''u'''rikamome[br]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유리카모메)}}}||}}}|| ||<-2><:>[[파일:Yurikamome7300.jpg|width=100%]] ---- [[유리카모메 7300계 전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Yurikamome_Vroutemap.sv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경전철|안내궤조식 철도(AGT)]]|| ||<:>'''기점'''||[[신바시역]]|| ||<:>'''종점'''||[[토요스역]]|| ||<:>'''역 수'''||16|| ||<:>'''노선 기호'''||{{{#1662b8 {{{+1 '''U''' }}}}}}|| ||<:>'''개업일'''||[[1995년]] [[11월 1일]]|| ||<:>'''소유자'''||<|2>[[유리카모메(기업)|[[파일:YurikamomeCo_logo.png|width=200]][br]{{{#0086cd 유리카모메}}}]]|| ||<:>'''운영자'''|| ||<:>'''차량기지'''||아리아케 차량기지|| ||<:>'''사용차량'''||[[유리카모메 7300계 전동차]][br][[유리카모메 7300계 전동차|유리카모메 7500계 전동차]]||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14.7k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원'''||[[교류(전기)|3상 교류]] 600V 50Hz[br]측방접촉식 다중강체가선|| ||<:>'''폐색방식'''||차내신호식|| ||<:>'''보안장비'''||[[열차자동제어장치|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 ||<:>'''최고속도'''||60km/h|| ||<:>[[파일:Yurikamome_routemap.png|width=100%]]|| ||<:>{{{#ffffff 노선도}}}|| ||<:>[youtube(rdaErEOJqJE, width=100%)]|| ||<:>{{{#ffffff 하행·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도쿄도]]를 운행하는 [[유리카모메(기업)|주식회사 유리카모메]]의 [[경전철]] 노선. 정식명칭은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ゆりかもめ東京臨海新交通臨海線)이나 이 이름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애칭인 '''유리카모메'''(ゆりかもめ)가 거의 정식 명칭처럼 사용된다. 유리카모메라는 이름은 도쿄도의 도조(都鳥) [[붉은부리갈매기]]를 의미한다.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유메카모메]]가 아니니 주의할 것.''' [[도쿄]] [[신바시역]]에서 [[오다이바]]를 거쳐 [[토요스역]]까지 잇는 14.7㎞의 영업구간을 가지고 있다. 보통 도쿄로 놀러가면 오다이바 갈 때 한 번쯤은 타 보게 되는 노선. 또한 매년 [[코믹마켓]] 시즌만 되면 탑승객이 미친듯이 불어나는 노선이기도 하다. 때문에 연말연시가 되면 유령도시가 되어 사람들이 다 빠져나가는 도쿄에서 유일하게 거꾸로 연말에 증차가 된다. 주요 특징으로는 전 열차가 완전자동 무인운전을 하고 있으며[* 물론 비상시에 수동운전도 가능은 하다. 운전대는 [[http://ja.wikipedia.org/wiki/%E3%83%95%E3%82%A1%E3%82%A4%E3%83%AB:Yurikamome_7000_Cockpit.jpg|이렇게 생겼다]]. 간혹 운 좋으면 감독관과 기관사가 동승하여 유인운전중인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철도 동호인]] 한정으로 운이 좋은 것이고 일반 여행객들은 오히려 앞좌석에 앉으려는 사람이 많은지라 오히려 운 없다고 느낄 것이지만. 운전대 좌석은 엄청나게 비좁아서 그냥 운전대 옆 1인석이 앉는게 더 다리에 편할 것이다.]콘크리트 레일 위에서 고무타이어 차량으로 운행하는 고무차륜 [[경전철]]이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의정부 경전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고무차륜 차량으로 무인운전을 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여러모로 [[부산 도시철도 4호선]]과 닮았는데, 고무차륜에 전역 스크린도어 설치, 15km에 못미치는 짧은 노선에 열차 디자인도 일본에서 했다. 현재 운행 중인 7300계와 7500계는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전량 생산했으며 디자인은 다르지만 [[인천국제공항 셔틀트레인]]과 같은 Crystal Mover 계통의 차량이다. 전 구간이 고가이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타케시바역과 아리아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 무인운전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맨 앞에 앉으면 전망칸이 따로 없다. 낮에는 도쿄 만의 시원한 풍경이, 밤에는 멋진 야경이 펼쳐진다. 이 맨 앞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일부러 앞 차를 한 두대씩 보내는 승객들도 다수 존재하는 등 앞자리 쟁탈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경전철]] 노선들에도 있는 현상이다. 특히 맨 앞에 크로스 시트가 깔려있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심한 편이다.] 다행히 심야가 아닌 이상에야 배차 간격이 긴 편이 아니라 부담 없이 기다릴만 하다. [[파일:attachment/001.gif|width=500]] 본토와 오다이바를 잇는 [[레인보우 브릿지]]를 건넌다. 이 다리에 진입을 할 때 고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270도 P턴을 하는데,[* 철도 노선은 아니지만, 국내에서는 [[부산항대교]]에서 이와 비슷한 구조의 도로를 볼 수 있다.] 이걸 꽤 재밌게 여기는지 일본내 모든 지도 및 노선도에 이러한 아름다운 꼬임(?)이 디테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도쿄]]에 가서 지도나 노선도를 볼 일이 있다면 유심히 봐보자.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라서 일일 패스도 판매하며, 가격은 성인 820엔, 소인 410엔이다. 그러나 오다이바가 도쿄의 필수 관광지임에도 정작 유리카모메는 [[JR그룹]]선이나 [[도쿄메트로]], [[도에이 지하철]] 등과 연결되는 1일권이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비싼 운임을 내고 타야 한다. 유리카모메는 레인보우 브릿지를 건너면서 요금이 확 뛰는데[* [[인천국제공항철도]]에서 영종대교 이전 구간보다 영종대교 이후 구간이 더 비싸고 환승이 안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신바시역]]에서 [[오다이바카이힌코엔역]]까지 가는데 편도 300엔이 넘게 드는 '''상당한 고운임'''을 자랑한다. 다리를 안 건너면 운임은 일본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긴 하지만, 관광객 입장에서 이 노선을 탔는데 레인보우 브릿지를 건너지 않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 그리고 신바시역~[[시바우라후토역]] 구간의 역세권은 [[야마노테선]]의 역에서 조금만 더 걸어오면 접근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노선을 여러 개 소유하고 있는 도쿄메트로의 1일권이 600엔인데에 반해 유리카모메 1일권의 가격은 상당히 부담스러울 뿐더러 오다이바를 1회 왕복하는 것으로는 본전을 뽑기가 힘들다. 게다가 이 노선은 [[도쿄 임해고속철도 린카이선|린카이선]]과 함께 오다이바의 둘 밖에 안 되는 철도 노선이다보니 이곳저곳 들쑤시는 노선이 될 수 밖에 없어서 직선거리로는 매우 짧은데 이 노선을 타면 수십분이 걸리고 요금도 비싸게 주고 타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여간 운임이 매우 비싼 노선. 각 역에서 사용하는 장애인용 음성안내장치에 유명[[성우]]를 기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역별 성우는 아래 표 참조. 안내방송 성우는 도쿄메트로와 동일한 (日)모리야 마유미/(英)[[크리스텔 치아리]]이다. 노선 대부분이 궤도이지만 히노데 - 오다이바카이힌코엔, 텔레콤센터 - 도쿄 빅사이트 구간은 철도로 취급되는데 항만부지 내를 관통하면 철도로 취급하기 때문. 열차운용이 특이한 편으로 마치 시내버스의 운행 방식과 유사한데, 첫막차를 포함한 전 열차가 [[토요스역]]이나 [[아리아케역]]에서 출발해 [[신바시역]]에서 회차하는 것처럼 운행하므로 첫막차 시간은 토요스역이 빠르고 신바시역이 늦는 편이다. 특히 신바시역의 토요스 방면 첫차는 오전 5시 45분이라는 꽤 늦은 시간에 출발하므로 만약 오다이바 서편 지역에서 [[코믹 마켓]] 심야, 시발조로 이동하는 등 이른 시간에 유리카모메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주의하자[* [[국제전시장역]]/[[아리아케역]] 도착시간 기준 신바시발 유리카모메보다 오사키발 린카이선 첫차가 훨씬 빨리 도착한다!]. == 역 목록 == * 전구간 [[도쿄도]]내 소재. ||<-7><:>{{{#ffffff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문양/배경색}}}||<:>{{{#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성우}}}||<:>{{{#ffffff 소재지}}}|| ||<:>U01||<:>[[신바시역|신바시]][br]新橋||<:>{{{#ffffff 버들잎 줄무늬(柳縞)[br]신바시색(新橋色)}}}||<:>0.0||¶[[JR 동일본]][br][[파일:JRE-JT.svg|width=17]][[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JT02), [[파일:JRE-JO.svg|width=17]][[요코스카선]](JO18),[br][[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width=17]][[야마노테선]](JY29), [[파일:JRE-JK.svg|width=17]][[케이힌토호쿠선]](JK24)[* 낮시간대에 운행하는 쾌속은 통과한다.][br]¶[[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width=17]][[도쿄메트로 긴자선|긴자선]](G-08)[br]¶[[도에이 지하철]]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width=17]][[도에이 아사쿠사선|아사쿠사선]](A-10)||<:>[[아사노 마스미]]||<|8><:>[[미나토구(도쿄)|미나토구]]|| ||<:>U02||<:>[[시오도메역|시오도메]][br]汐留||<:>{{{#ffffff 갈대(葦)[br]울금색(鬱金色)}}}||<:>0.4||¶[[도에이 지하철]]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width=17]][[도에이 오에도선|오에도선]](E-19)||<:>[[시모노 히로]]|| ||<:>U03||<:>[[타케시바역|타케시바]][br]竹芝||<:>{{{#ffffff 비늘(鱗)[br]철감색(鉄紺色)}}}||<:>1.6||<:>-||<:>[[타카하시 치아키]]|| ||<:>U04||<:>[[히노데역|히노데]][br]日の出||<:>{{{#ffffff 흩어져 비치는 햇살[br](日足散らし)[br]주홍색(紅色)}}}||<:>2.2||<:>-||<:>[[하세 유리나]]|| ||<:>U05||<:>[[시바우라후토역|시바우라후토]][br]芝浦ふ頭||<:>{{{#484848 츠유시바(露芝)[br]옅은 옥색(水浅葱色)}}}||<:>3.1||<:>-||<:>[[야마모토 마리아]]|| ||<-6><:>([[레인보우 브릿지]] 통과)|| ||<:>U06||<:>[[오다이바카이힌코엔역|오다이바[br]카이힌코엔]][br]お台場海浜公園||<:>{{{#ffffff 노송(老松)[br]솔잎색(松葉色)}}}||<:>7.0||<:>-||<:>[[스즈무라 켄이치]]|| ||<:>U07||<:>[[다이바역(도쿄)|다이바]][br]台場||<:>{{{#ffffff 큰 파도(大波)[br]제비꽃색(菫色)}}}||<:>7.8||<:>-||<:>[[모리카와 토시유키]]|| ||<:>U08||<:>[[도쿄코쿠사이크루즈터미널역|도쿄코쿠사이[br]크루즈터미널]][br]東京国際[br]クルーズターミナル||<:>{{{#ffffff 돛단배(帆掛け舟)[br]짙은 적갈색(海老茶色)}}}||<:>8.4||<:>-||<:>[[타카기 모토키]]||<|9><:>[[고토구]]|| ||<:>U09||<:>[[텔레콤센터역|텔레콤센터]][br]テレコムセンター||<:>{{{#ffffff 박쥐(蝙蝠)[br]하토바네즈미(鳩羽鼠)}}}||<:>9.2||<:>-||<:>[[미즈하시 카오리]]|| ||<:>U10||<:>[[아오미역|아오미]][br]青海||<:>{{{#ffffff 세이가이하(青海波)[br]유리색(瑠璃色)}}}||<:>10.2||<:>-||<:>[[토리우미 코스케]]|| ||<:>U11||<:>[[도쿄 빅사이트역|도쿄 빅사이트]][br]東京ビッグサイト||<:>{{{#ffffff 벚꽃(桜)[br]벚꽃색(桜桃色)}}}||<:>11.3||<:>-||<:>[[타카하시 미카코]]|| ||<:>U12||<:>[[아리아케역(도쿄)|아리아케]][br]有明||<:>{{{#ffffff 사자(獅子)[br]주황색(柑子色)}}}||<:>12.0||¶'''[[코쿠사이텐지죠역]]''' :[br][[도쿄 임해고속철도]] [[파일:Rinkai_Line.svg|width=17]][[도쿄 임해고속철도 린카이선|린카이선]](R03)||<:>[[나카하라 마이]]|| ||<:>U13||<:>[[아리아케테니스노모리역|아리아케[br]테니스노모리]][br]有明テニスの森||<:>{{{#ffffff 갯벌의 물새[br](干潟に水鳥)[br]해송색(海松色)}}}||<:>12.7||<:>-||<:>[[스즈키 치히로]]|| ||<:>U14||<:>[[시조마에역|시조마에]][br]市場前||<:>{{{#ffffff 물결무늬에 게[br](変わり縞に蟹)[br]소방색(蘇芳色)}}}||<:>13.5||<:>-||<:>[[스즈키 타츠히사]]|| ||<:>U15||<:>[[신토요스역|신토요스]][br]新豊洲||<:>{{{#ffffff 주판 줄무늬(算盤縞)[br]에도무라사키(江戸紫)}}}||<:>14.0||<:>-||<:>[[쿠와타니 나츠코]]|| ||<:>U16||<:>[[토요스역|토요스]][br]豊洲||<:>{{{#ffffff 물에 우룡(水に雨龍)[br]감벽색(紺碧)}}}||<:>14.7||¶[[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width=17]][[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Y-22)||<:>[[호시 소이치로]]|| == [[철도무스메]] == [[철도무스메]]에 이 회사를 소재로 한 캐릭터인 아오미 유리카가 있다. [[파일:Aomi_Yurika.png]] 이름 : 아오미 유리카 소속 : 유리카모메 역무원 * 항상 작은 메모장을 가지고 다니며 깨달은 일들을 메모하고 있다. * 자신있는 스포츠는 테니스이며 학창시절엔 도대회 출장 경험도 있었다. * 성우팬이며 좋아하는 캐릭터송 CD를 모으거나 하고 있다. * 이름은 '아오미역'과 '유리카모메'에서 따왔다. == 그 외 == === 저렴한 승차권 === [[http://www.yurikamome.co.jp/fare_ticket/|요금 및 승차권 안내 페이지]] * [[https://www.yurikamome.co.jp/ticket/coupon.html?type=pass|24시간권(PASMO전용)]] - 어른 900엔, 소아 450엔 * 실물 [[PASMO]](PASMO PASSPORT 포함) 소지자에 한해서 판매하는 24시간권이 있다. 1박 2일 이용시 유용하나, 모바일 파스모는 인정되지 않으므로 주의. PASMO가 없으면 강제로 PASMO에 입혀서 보증금 500엔을 포함한 가격으로 발매되니, 무기명 PASMO가 없는 사람들은 고려해 볼만 하다. * [[https://www.yurikamome.co.jp/ticket/coupon.html|1일승차권]] - 어른 820엔, 소아[* 6세 이상 ~ 12세 미만. 6세 미만은 무료.] 410엔 * 오다이바 밖에서 왕복 + 오다이바 내 1회 이상 이동 계획이 있다면 1일 승차권이 이득이다. 1회 왕복만 하거나, 오다이바 내 4회 이하 이동일 경우는 오히려 손해. * [[https://www.yurikamome.co.jp/ticket/coupon.html?type=pass|오다이바-아리아케 쾌유 패스]] - 어른 500엔, 소아[* 6세 이상 ~ 12세 미만. 6세 미만은 무료.] 250엔 * 오다이바 안에서만 이용 가능한 패스이다. 오다이바를 다른 교통수단으로 들어왔고, 오다이바 내 이동이 잦다면 고려해 볼만 하다. * 회수권은 10회 이용금액으로 12장 발행가능하고 유효기간은 3개월이다. 도쿄메트로와 마찬가지로 출발역과 도착역의 지정은 없다. * [[http://www.yurikamome.co.jp/fare_ticket/welfare_discount/|장애인 할인]] == 각종 매체에서의 유리카모메 == [[2020 도쿄 올림픽]]의 홍보 영상에 등장했다. === 애니메이션&극장판 === * 명탐정 코난 8기 극장판인 [[은빛 날개의 마술사]] 초반부에서 [[에도가와 코난|코난]]과 [[괴도키드]]가 '''도심 한복판에서 서로 공중 추격전을 벌이다가 지나가고 있는 이 열차 위에 착지를 한다.''' * [[명탐정 코난]] 1016화~1017화 "모노레일 저격 사건"에서 [[오다이바]] [[유리카모메]]가 나왔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5기 [[암흑마왕 대추적]]편에서 후반부에 나온다. * 도쿄에 일어나는 대지진을 다룬 재난 애니메이션 [[도쿄 매그니튜드 8.0]]에 등장한다. 다이바 부근 구간의 유리카모메 교량이 지진으로 붕괴되고, 교량에서 추락해 박살난 유리카모메 전동차 앞에서 구조대원이 필사적으로 구조를 하는 모습이 나온다. 또한, 레인보우 브릿지가 붕괴되는 장면도 나온다. * 디지몬 어드벤처 극장판인 [[우리들의 워 게임]] 극 초반부에서 정석이 유리카모메 [[오다이바 해변공원역]]에서 학원가는 열차를 기다리다 서버 오류로 인하여 그냥 보내버린다. 당황해 하는 모습은 [[호소다 마모루]]의 팬이라면 꼭 보는 표정일 것이다. * 오다이바를 배경으로 하는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에서도 등장하는데, [[無敵級*ビリーバー]]의 PV 영상 맨 처음을 유리카모메가 장식한다. [[니지가사키 학원|학교]] 바로 앞을 지나가는 노선이다 보니, 학생들의 통학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요금이 비싼데 교통비는?~~ ~~학교에서 지원해주지 않을까~~ [[도쿄 빅사이트역]]은 아예 [[니지가사키 학원]]역으로 개칭되었다. === 게임 ===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에서 시어터 야경 전경이 나올때 [[유리카모메 7300계 전동차]]가 교행한다. 시어터는 토요스역 인근에 있는것으로 설정되었다.[* 실제로는 그 위치에 도쿄가스 가스과학관이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리카모메(기업), version=122)] [[분류:유리카모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