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유명환)] ---- || {{{#f2df00 '''유명환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우승 선수)]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롤스타 상/TANK)] ---- [include(틀:2022 오버워치 리그/MVP 후보)]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murf_BOS_2023.png|width=100%]]}}} || ||<-2> {{{#f2df00 '''보스턴 업라이징 No.5'''[* 같은 팀에 5번을 선호하는 또다른 탱커 [[신우열|칼리오스]]에게 등번호를 양보받았다고 한다. 칼리오스는 18년도 보스턴 시절 등번호 18번을 선택했다.]}}}[br]'''{{{#f2df00 {{{+1 smurf}}}}}}''' || ||<-2> '''{{{#174b97 유명환 (Yoo Myeong-hwan)}}}''' || ||<|2> {{{#f2df00 '''출생'''}}} ||[[2000년]] [[3월 12일]] ([age(2000-03-12)]세) || ||[[전라북도]] [[전주시]] || || {{{#f2df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2df00 '''포지션'''}}}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TANK || || {{{#f2df00 '''주 영웅'''}}} ||[[윈스턴(오버워치)|[[파일:윈스턴 초상화.png|width=30]]]] [[라인하르트(오버워치)|[[파일:라인하르트 초상화.png|width=30]]]] [[자리야|[[파일:자리야 초상화.png|width=30]]]] [[둠피스트|[[파일:둠피스트 초상화.png|width=30]]]] [[시그마(오버워치)|[[파일:시그마 초상화.png|width=30]]]] [br] [[D.Va|[[파일:D.Va 초상화.png|width=30]]]] [[오리사|[[파일:오리사 초상화.png|width=30]]]] [[레킹볼(오버워치)|[[파일:레킹볼 초상화.png|width=30]]]] [[정커퀸|[[파일:정커퀸 초상화.png|width=30]]]] || || {{{#f2df00 '''소속'''}}} ||'''[[파일:Bucheon_NPluslogo.png|width=25]][[Bucheon Nplus]]'''[br]'''(?~2017.08.??)'''[br]'''[[파일:ardeont.png|width=30]][[Ardeont]]'''[br]'''(2017.08.09 ~2017.11.24)'''[br][[파일:GGEA.png|width=15]] [[OpTic Gaming#s-3.3|GG Esports Academy]][* 현재는 해체][br](2018.02.21 ~2018.09.18 )[br]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width=25]] [[샌프란시스코 쇼크]][br](2018.09.18 ~ 2021.10.10)'''[br]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25]] [[서울 다이너스티]][br](2021.10.21 ~ 2022.11.19)'''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height=25]] '''보스턴 업라이징''']][br]'''(2022.12.24 ~)''' || ||<-2><#ffffff,#191919>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murf_ow, 크기=20)] [[https://www.twitch.tv/smurf5|[[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설머프.jpg|width=100%]]}}} || || '''{{{#f2df00 Yoo "smurf" Myeong-hwan}}}'''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現 [[보스턴 업라이징]] 소속의 TANK. == 주요 경력 == ||<-5> '''{{{#fff 우승 경력}}}''' || ||<-5> '''오버워치 퍼시픽 챔피언십 시즌 2 우승''' || || [[Flash Wolves]] || → || '''Ardeont''' || → || 대회 개편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2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2]] 우승''' || || [[밴쿠버 타이탄즈]]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상하이 드래곤즈]] || ||<-5> '''[[2019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19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br]'''[[2020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0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 [[런던 스핏파이어]]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상하이 드래곤즈]] || ||<-5> '''[[2020 오버워치 리그/5월 토너먼트|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북미]] 우승''' || || 대회 출범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파리 이터널]] || ||<-5> '''[[2020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북미]] 우승''' || || [[파리 이터널]]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 동부]] 우승''' || || 대회 출범 || → || '''서울 다이너스티''' || → || [[LA 글래디에이터즈]] || ||<-5> '''{{{#white 준우승 경력}}}''' || ||<-5> '''[[2017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시즌 1]] 준우승''' || || [[O2 Blast]] || → || '''Bucheon Nplus''' || → || [[EXL-CLEA]]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1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준우승''' || || [[뉴욕 엑셀시어]]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밴쿠버 타이탄즈]]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3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준우승''' || || [[밴쿠버 타이탄즈]]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대회 개편 || ||<-5>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동부 ]] 준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서울 다이너스티''' || → || 미정 || == 상세 == 오버워치 리그 데뷔 시즌인 2019년엔 3탱3힐이 지배하던 스테이지 1~3까지 슈퍼에게 주전을 내줬다. 이후 222고정 룰이 도입된 스테이지4부터 스머프가 주전을 맡아 오리사를 플레이하였다. 꼼짝마 사용이 매우 뛰어난데, 호리사 대치전에서 갈고리 연계는 물론이고 파르시를 잡아내기도 하는 등 엄청난 오리사 숙련도를 보여주고 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시나트라의 둠피스트와 연계는 매우 깔끔한 편. 2020시즌 이후 슈퍼는 레킹볼과 라인하르트, 스머프는 오리사와 윈스턴 중심으로 기용되어 활약하고 있다. 프로들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원시의 분노 피지컬을 보여주고 있다. [[파일:스머프첫potm.png]] 결국 7월 25일 메이헴전에서 윈스턴으로 리그 첫 POTM을 받았다. 2021년 10월 10일, 3년간 있었던 [[샌프란시스코 쇼크]]에서 나와 얼마 뒤 21일에 [[서울 다이너스티]]로 이적했다. 2022시즌 롤스타 탱커부분에 선정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안정적인 윈스턴 포지셔닝으로 극강의 공격성을 가지고도 최고의 생존성과 뛰어난 어그로 핑퐁 능력으로 쇼크 시절부터 걸출한 브루징과 탱커 중심 이니시 전략을 담당해온 만큼 [[댈러스 퓨얼]]의 [[이의석|Fearless]], [[LA 글래디에이터즈]]의 [[코리 스코다|Reiner]]와 더불어 윈스턴 3대 황제로 불리는 선수이자 뛰어난 [[오리사]] 및 현 오버워치 2에선 [[자리야]], [[D.Va]], [[시그마(오버워치)|시그마]] 등 각 탱커별 운용 스타일과 맵별 기용 등 영웅 해석 방식에서의 이해도가 아주 뛰어나 탱커별 고유 포지션 분할법도 잘 알고 있는 올라운더 탱커 그 자체인 선수. 현재까진 어떤 팀도 스머프의 방식을 2 메타에서 적응해내지 못했을 만큼 진정한 메인-서브 양도류의 '''[[박상범(프로게이머)|BUMPER]], [[황민서|Marve1]] 이래 보기 드문 올라운더 탱커'''이자 현재 댈러스 퓨얼의 [[최한빈|Hanbin]]과 함께 가장 넓은 영웅폭과 좋은 실력을 자랑하는 '''리그 최상위권 탱커'''로 평가받는다. 단 서머 쇼다운 이후 주류 메타가 된 정커퀸의 기량은 좀 애매하다는 평가가 많다. 분명 예선에서는 상하이와 퓨전을 제외한 모든 팀을 다 찍어누르며 패왕 자리를 지켜가던 서울에 큰 공헌을 했지만, 필퓨전과 상하이전에서는 퓨리와 보이드에게 밀리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 물론 저 둘도 엄청난 기량을 가진 탱커라는 점도 고려해야 하겠지만... 하지만 이런 평가도 무색하게 카운트다운 컵이 시작되고 정커퀸 메타가 사라지고 윈스턴, 자리야, 디바 중심의 메타가 찾아오자 다시 날뛰는 중. 윈스턴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리야도 다른 섭탱들과 비교했을때 전혀 밀리지 않거나 오히려 더 높은 기량을 보여주고 있다. 단 디바는 아직 사용하지 않아 스머프의 약점으로 평가받았고, 실제로 동부 최약팀인 항저우에게 상성상 우세한 디바 조합을 극복하지 못하며 약점을 드러내었으나... 이어진 필퓨전에서 기어코 피지컬과 운용으로 리그 최고의 디바중 한 명이었단 퓨리를 필두로 한 디바 조합을 이겨내기도 했다. == 여담 == * 영어를 꽤 잘하는 편에 속한다. 그래서인지 쇼크 현지팬들에게 유독 사랑받는 선수이다. 쇼크 유튜브 채널에선 매번 아웃트로로 [[https://youtu.be/RGXHZL8DDyU|스머프의 노래 영상]]이 쓰일 정도. [[매튜 델리시]]가 상당히 스머프를 좋아하는 듯 하다.[* 쇼크와의 계약 종료로 스머프가 숙소를 떠나기 전에 방송중인 슈퍼에게 작별인사를 전하러 방에 들어왔는데, 슈퍼는 스머프가 지금 바로 떠나는거냐며 슬퍼하고 직접 작별노래까지 불러주는 모습을 보여줬다. 슈퍼가 내년에 보자는 말을 계속 했는데 스머프는 'yes'가 아니라 'good bye'로만 답을 하여 팀을 떠남을 간접적으로 알렸다.] * 원래 휴일에도 방송을 자주키는 편이었다. [[서울 다이너스티]]로 이적 후 초반 한달간은 평소와 마찬가지로 방송을 자주켜줘 서울팬들의 희망으로 떠올랐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일명 '설적화'가 돼버려 서울 팬들은 물론 기존 팬들마저 스머프가 방송을 키면 설적화가 되었다며 스머프에게 울며 항의를 하고 있다. * 팬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트위치 방송에서 오버워치2 플레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노래방 컨텐츠나 저스트댄스 등 팬들과 즐길 수 있는 방송을 자주하는 편이다. * 현재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들 중 누적 경력 상금 1위 기록을 가지고 있다. $355,350.83 [[분류:2000년 출생]][[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분류:전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