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목차] [clearfix] == 개요 == 庾方 (? ~ 1038) [[고려]]의 인물. [[정사(역사)|정사]]에는 가족 내력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보통 [[유금필]]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 생애 == 993년 [[제1차 여요전쟁]]이 일어나 [[요나라]]의 [[소손녕]]이 안융진을 공격하였다. 그때 유방은 낭장으로 있었는데, 중랑장 [[대도수]]와 함께 요군을 격파했다. 이 안융진 전투를 기점으로 항복론과 할지론으로 기울던 조정 중론을 강화론으로 뒤집어졌고, [[서희]]가 소손녕과 외교 담판을 짓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차 여요전쟁에서 대도수와 더불어 알짜배기 공을 세운 셈. 1009년 1월 16일에 친종장군을 지내면서 궁궐의 화재[* 김치양의 난 이전에 벌어진 천추전의 화재인듯 하다.]가 일어나 [[목종(고려)|목종]]이 병이 들자 여러 사람과 함께 궁궐 안에 들어와 지켰으며, 1011년 5월 5일에는 병부상서 겸 상장군에 임명되었다가 10월 1일에 참지정사 서경유수 겸 서북면행영도병마사에 임명되었다. 1016년 11월 13일에는 형부상서 참지정사에 임명되고 1019년 12월 22일에는 천승현개국남에 봉해졌으며, 1020년 4월 26일에 요나라에 왕자의 책봉을 알리는 것에 반대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021년 3월 7일에는 내사시랑평장사, 8월 28일에는 검교태보, 1022년 6월 7일에는 문하시랑평장사에 임명되었으며, 1023년 1월 12일에는 서북면행영도통사, 1023년 12월 20일에는 태자태보, 1025년 1월 12일에는 판상서병부사에 임명되었고 1027년 1월 25일에 사직을 요청해 허락받고 특진 [[문하시중]]이 더해졌다. 1036년 6월 25일에는 16명의 관리와 함께 10일에 한 번씩 얼음을 하사하라는 상소가 올라오면서 얼음을 하사받았으며, 1038년 6월 20일에 사망했다.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나름 네임드이자 직접 1차 여요전쟁을 참여한 장수 중에서 1차~3차 [[여요전쟁]]을 모두 경험한 얼마 안되는 장수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일부 문신들이나 기록에 언급되지 않은 사람들 중에서도 1~3차 여요전쟁을 겪은 사람은 많겠으나 1차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도 살아있는 사람들은 꽤나 드물다는걸 생각해보면 나름 여요전쟁의 산 증인이라고도 볼수 있는 인물이다. == 대중매체 == * [[KBS]]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에서 [[이원발]]이 연기했다. * [[KBS]] [[고려거란전쟁]]에서는 [[정호빈]]이 연기했다. [[고려거란전쟁/등장인물#유방|고려거란전쟁/등장인물 문서의 유방 항목]] 참조. [[분류:1038년 사망]][[분류:문하시중]][[분류:고려의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