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벨]][[분류:유희왕/OCG/카드군]] [include(틀:유벨 덱 관련 문서)] ||<:><-6>
'''[[유벨|{{{#!html 유벨}}}]]''' || || '''{{{#!html한국어판 명칭}}}''' ||<-5> '''유벨''' || || '''{{{#!html일본어판 명칭}}}''' ||<-5> '''ユベル''' || || '''{{{#!html영어판 명칭}}}''' ||<-5> '''Yubel'''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속성|어둠]] ||<-2><^|1> [[유희왕/종족|악마족]] ||<-2><^|1> 효과, 특수 소환, 융합 || [목차] == 개요 == [[유희왕 GX]]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한 카드군. OCG에서는 직접 카드군으로 지정되지는 않는 시리즈 카드다. 애니메이션판 [[네오스 와이즈맨]]이 융합 소재로 "유벨"이라 이름 붙은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으나, OCG에서는 단순히 "유벨"을 소재로 요구하도록 변경되었다가 이후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유벨 외에도 유벨이 텍스트에 들어간 카드도 지정한다. == 이름 == "유벨"이라는 카드명은 독일어로 "악"을 의미하는 "Übel"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도 몇가지 추측은 있으나 유벨 진화체들의 카드명이 공통적으로 독일어를 사용하고 있어 Übel이 유래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진화체의 이름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Das는 독일의 중성적인 관사로써 사실 리터나 드라헨에는 남성적인 관사가 붙는 것이 통상적이다. 위에서 계속 언급된 유벨 특유의 중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인 장치일지도. 영문판에선 독일식 이름은 사라지고 "유벨-공포의 화신", "유벨-궁극의 악몽" 정도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덧붙여 유벨을 소재로 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역시 이 네이밍의 영향을 받아, 독일어로 '현명한', '총명한'이라는 뜻을 가진 'klüger'라는 단어가 붙었다. 참고로 독일어판에서는 참고로 독일판에서는 Übel이 아니라 영문판의 Yubel을 따르고 있으며, 진화형 명칭도 영문판을 독일어로 번역한 Yubel - Terrorinkarnation, Yubel - Der ultimative Albtraum로 번역하였다. == 효과 및 성능 == 공통적으로 어둠 속성/악마족/공격력 0/수비력 0의 능력치를 공유하며,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공격받았을 경우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고 공격해온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지녔다. [[매직 실린더]]를 내장한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효과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경우 다음 단계의 유벨 진화체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전투 내성을 통해 상대의 효과 파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진화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의 활약으로 인기는 대단한 카드지만 최상급 몬스터에 걸맞지 않는 스테이터스와 효과 덕분에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덱을 구축해야만 하는데, 효과 내성이 불완전하거나 아예 없고 트라우리히 드라헨을 제외한 유벨은 능동적으로 데미지를 줄 수단도 없어 승리를 따내기 어렵다. 사용하고자 한다면 [[카이저 콜로세움]] 등의 강력한 서포트 카드의 채용이 권장된다. [[배틀매니아(유희왕)|배틀매니아]]를 발동해서 공격을 유도할 수도 있는데, 배틀 페이즈 이전에 효과로 제거되어도 진화체를 소환할 수 있으므로 배틀매니아를 채용하는 비실전적 콤보 중에서는 비교적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머티리얼 드래곤]]은 유벨 덱의 천적인데, 효과 데미지는 라이프 회복으로 변하며 몬스터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도 머티리얼 드래곤의 컨트롤러가 패가 0장만 아니라면 막을 수 있다. 데미지를 주는 효과의 발동 타이밍이 진화체와 융합체별로 조금씩 다르다. ||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 || [[유벨]],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 ||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네오스 와이즈맨]] || 플레이어 스킬에 의한 서포트가 가능하며 제거 효과의 중요도가 높은 [[유희왕 듀얼 링크스]]에서는 OCG에 비해 훨씬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유벨과 [[네프티스의 봉황신]] 등을 조합한 덱이 티어권에 오른 적이 있을 정도. === [[팬텀 나이트메어]] 이후 ===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본격적으로 카드군 지정을 받으면서 지원을 받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0 === ====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 ==== ==== [[스피릿 오브 유벨]] ==== === 레벨 11 === ====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 === 레벨 12 ===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 == 융합 몬스터 == === 레벨 12 === ====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 == 서포트 몬스터 카드 == === 레벨 1 === ==== 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새크리파이스 D(데먼) 로터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サクリファイス・D(デモン)・ロータス, 영어판명칭=,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유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자신 필드에 "유벨" 몬스터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는 "필드의 "유벨"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가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유벨"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 [[새크리파이스 로터스]]의 리메이크 카드. 종족이 유벨 본체와 유벨의 사용 카드들 대부분에 맞춰 악마족이 되었다. 자신을 릴리스하고 덱에서 유벨을 소환할 수 있다. 유벨의 진화체는 소환 제약 때문에 부를 수 없지만 유벨 본체와 서치 요원인 스피릿 오브 유벨을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 자체가 하급인데다 [[원 포 원]]에도 대응하기에 간편히 유벨을 필드로 부를 수 있다. 2번째 효과는 상대턴 중 유벨이 있을 때 자신을 릴리스하고 상대의 몬스터 효과를 유벨을 파괴하는 효과로 치환하는 효과. 상대의 행동을 막으면서 1번 효과로 필드로 꺼내놓은 유벨을 터트리게 만들어 유벨 본체나 진화체를 꺼낼 수 있다. 3번째 효과는 유벨이 필드에 있을 때 원본처럼 묘지에서 부활하는 효과. ①,②번 효과가 서로 연동되게 만들어주는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효과. 패에 넣는 것도 되기에 상황에 따라 후속을 대비할 수도 있다. === 레벨 8 === ==== 가이스토치 골렘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가이스토치 골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ガイストーチ・ゴーレム, 영어판명칭=Geist Grinder Gole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자신은 "가이스토치 골렘"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유벨"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보여준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가 "유벨"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한다. 상대는 3000 LP 회복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로\, 자신이 "유벨"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 [[토치 골렘]]의 리메이크 카드. [[에코(유희왕 GX)|애니에서의 행적]]처럼 유벨을 들이받기 최적화되도록 리메이크되었다. 다만 어드밴티지를 벌어주는 효과가 없다보니 덱에 따라 차라리 상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는 [[파괴수(유희왕)|파괴수]]쪽이 더 좋을 수도 있다. 구축에 따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패의 유벨을 소환하고 원본처럼 상대 필드로 소환된다. 편하게 유벨을 꺼낼 수 있지만 상대에게 몬스터를 주게되니 선공보다는 후공에 공격할 때 쓰는 편이 좋다. 유벨과 배틀 시 상대 즉 꺼내놓은 플레이어의 라이프를 회복시켜 준다. 묘지에 존재할 때 유벨이 소환되면 상대 필드로 부활시킬 수 있다. 언제든 샌드백이 생기게 된다. == 서포트 마법 카드 == === 지속 마법 === ==== 나이트메어 페인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나이트메어 페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ナイトメア・ペイン, 영어판명칭=,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나이트메어 페인"을 제외한\, "유벨" 1장 또는 그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유벨"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유벨"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3=③: 자신의 "유벨"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의 [[필살기 카드]]. ==== 매추어 크로니클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매추어 크로니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マチュア・クロニクル, 영어판명칭=Mature Chronicl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유벨" 몬스터 또는 "유벨"의 카드명이 기재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때마다\, 이 카드에 크로니클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크로니클 카운터를 이하의 수만큼 제거하고\, 그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3=●1: 자신의 묘지에서 "유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2: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5=●3: 덱에서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효과6=●4: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효과7=●5: 덱에서 "초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 == 서포트 함정 카드 == === 지속 함정 === ==== 이터널 페이버릿 ==== == 관련 카드 == === [[네오스 와이즈맨]]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ersion=27,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