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벨]][[분류:유희왕/OCG/카드군|유벨]][[분류:유희왕/OCG/악마족]]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 '''{{{#!html유벨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유벨 덱 관련 문서)]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카드군)] [include(틀:유우키 쥬다이 덱 관련 문서)] }}}}}} || ||<:><-6>
'''[[유벨|{{{#!html 유벨}}}]]''' || ||<-6><#fff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융유벨 임시.jpg|width=100%]][br]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F9787F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 '''{{{#!html한국어판 명칭}}}''' ||<-5> '''유벨''' || || '''{{{#!html일본어판 명칭}}}''' ||<-5> '''ユベル''' || || '''{{{#!html영어판 명칭}}}''' ||<-5> '''Yubel'''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 [[유희왕/속성|어둠]] ||<-2><^|1> [[유희왕/종족|악마족]] ||<-2><^|1> 효과[br][[특수 소환(카테고리)|특수 소환]][br][[융합 소환|융합]] ||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 설명 ==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네오스 와이즈맨]]이 융합 소재로 "유벨"이라 이름 붙은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었으나 OCG에서는 융합 몬스터조차 아니게 되어 버렸고, 단순히 "유벨"을 특수 소환의 조건으로 요구하게 변경되어버려 오랜 시간 동안 공식 카드군으로 지정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대량의 지원을 받으며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유벨"이란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으며 그와 별개로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서포트 카드]]처럼 "유벨"의 카드명이 효과 텍스트에 들어간 카드도 지정한다. 한편, OCG의 룰을 기반으로 하나 스킬 등 일부 독자 룰을 채택하고 있는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주다이/유벨(유희왕 듀얼링크스)|주다이/유벨]]의 스킬 '[[유벨]]과의 연'에서 OCG보다 먼저 카드군으로 지정하고 있었다. === 이름 === "유벨"이라는 카드명은 독일어로 "악"을 의미하는 "Übel"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도 몇가지 추측은 있으나 유벨 진화체들의 카드명이 공통적으로 독일어를 사용하고 있어 Übel이 유래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진화체의 이름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Das는 독일의 중성적인 관사로써 사실 리터나 드라헨에는 남성적인 관사가 붙는 것이 통상적이다. 위에서 계속 언급된 유벨 특유의 중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인 장치일지도. 영문판에선 독일식 이름은 사라지고 "유벨-공포의 화신", "유벨-궁극의 악몽" 정도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덧붙여 유벨을 소재로 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역시 이 네이밍의 영향을 받아, 독일어로 '현명한', '총명한'이라는 뜻을 가진 'klüger'라는 단어가 붙었다. 참고로 독일어판에서는 Übel이 아니라 영문판의 Yubel을 따르고 있으며, 진화형 명칭도 영문판을 독일어로 번역한 Yubel - Terrorinkarnation, Yubel - Der ultimative Albtraum로 번역하였다. === 효과 및 성능 === ||<-3><#111>
'''{{{#FFFFFF "유벨" 몬스터의 공통 효과}}}''' || ||<-3>①: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br]②: (전투시의 데미지 효과)[* [[스피릿 오브 유벨]]은 지니고있지 않다.][br]③: (고유 조건으로 필드를 벗어났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 / {{{#799EC0 제외 상태}}}의 (특정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유벨]][br][[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2>②: 공격 표시의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 그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한다. 그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br][[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고유 효과) || ||<-3><#FFFFFF> || || {{{#FFFFFF 카드명}}} || {{{#FFFFFF ②의 효과}}} || {{{#FFFFFF ③의 효과}}} || || {{{#FFFFFF 스피릿 오브 유벨}}} || 없음 ||④: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 / '''제외 상태'''의 "유벨"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FFFFFF 유벨}}} || - ||{{{#799EC0 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거나, 이 카드를 파괴한다.}}}[br]④: 이 ③의 효과 이외로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 || {{{#FFFFFF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 - ||③: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FFFFFF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②: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 || {{{#FFFFFF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③: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 || 공통적으로 어둠 속성/악마족/공격력 0/수비력 0의 능력치를 공유하며,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공격받았을 경우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고 공격해온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지녔다. [[매직 실린더]]를 내장한 몬스터라고 할 수 있다. 히어로와의 융합체인 [[네오스 와이즈맨]]과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도 이 효과를 계승하고 있다. 데미지를 주는 효과의 발동 타이밍은 진화체와 융합체별로 조금씩 다르다. 또한 효과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경우 다음 단계의 유벨 진화체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전투 내성을 통해 상대의 효과 파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진화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보인다. 스피릿 오브 유벨을 제외하면 모두 옛날 카드답게 '''때'''이므로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단 점에 주의. 원작의 활약으로 인기는 대단한 카드지만 최상급 몬스터에 걸맞지 않는 스테이터스와 효과 덕분에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덱을 구축해야만 하는데, 효과 내성이 불완전하거나 아예 없고 트라우리히 드라헨을 제외한 유벨은 능동적으로 데미지를 줄 수단도 없어 승리를 따내기 어렵다. 사용하고자 한다면 [[카이저 콜로세움]] 등의 강력한 서포트 카드의 채용이 권장된다. [[배틀매니아(유희왕)|배틀매니아]]를 발동해서 공격을 유도할 수도 있는데, 배틀 페이즈 이전에 효과로 제거되어도 진화체를 소환할 수 있으므로 배틀매니아를 채용하는 비실전적 콤보 중에서는 비교적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머티리얼 드래곤]]은 유벨 덱의 천적인데, 효과 데미지는 라이프 회복으로 변하며 몬스터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도 머티리얼 드래곤의 컨트롤러가 패가 0장만 아니라면 막을 수 있다. 이 약점은 팬텀 오브 나이트메어에서 전투 데미지도 반사해주는 나이트메어 페인과 머티리얼 드래곤 자체를 제외시킬 수 있는 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의 등장으로 극복되었다. 플레이어 스킬에 의한 서포트가 가능하며 제거 효과의 중요도가 높은 [[유희왕 듀얼 링크스]]에서는 OCG에 비해 훨씬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유벨과 [[염왕]], [[네프티스의 봉황신]] 등을 조합한 덱이 티어권에 오른 적이 있을 정도. ==== [[팬텀 나이트메어]] 이후 ====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본격적으로 카드군 지정을 받으면서 지원을 받았다. 똑같이 전투 데미지 반사를 주 플랜으로 하는 [[미캉코]]와 차별화하기 위해, 자신의 카드를 파괴해 어드밴티지를 버는 카드, 라이프 차를 벌릴 수 있는 카드, [[초융합]]과의 호환성도 챙겨서 상대 몬스터를 비대상 비파괴로 제거하는 플랜 등을 제시했다. 지원 공개 타이밍이 특이한데, 10월에 발매되는 부스터를 10일에 V점프 10월 특대호로 공개했다. 유벨이 사랑하는 [[유우키 쥬다이|유우키 쥬다이(遊城十代)]]의 이름에 십(十)이 들어간 것을 노렸을 가능성이 크다. 화(火)요일마다 정보를 공개한 폭염의 듀얼리스트, 오(伍)세괴라서 5시에 정보를 공개한 마나둠의 전적이 있는 코나미의 장난을 생각하면 다분히 의도적. == 효과 몬스터 == === 레벨 10 === ====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 ==== ==== [[스피릿 오브 유벨]] ==== === 레벨 11 === ====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 === 레벨 12 ===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 == 융합 몬스터 == === 레벨 12 === ====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 == 서포트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 ==== [[파일:1707_20230804030022_img_1_58B96Rdugu8FtqAKz5JpQwcl5WrdDBd69c35tUpNEmRxSR5FKFuazMAsipJjqmd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새크리파이스 D(데먼) 로터스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サクリファイス・D(デモン)・ロータス, 영어판명칭=Samsara Regenerating Lotus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유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자신 필드에 "유벨" 몬스터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는 "필드의 "유벨"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가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유벨"이 존재할 경우\,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 [[새크리파이스 로터스]]의 리메이크 카드이며, 여기에 [[스플릿 데먼 로즈]]의 작명도 의도한 카드. 종족이 유벨 본체와 유벨의 사용 카드들 대부분에 맞춰 악마족이 되었다. 변이된 왼팔은 [[카노 마르탄]]의 변이된 왼팔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보인다. ①의 효과는 자신을 릴리스하고 덱에서 유벨을 소환하는 효과. 유벨의 진화체는 소환 제약 때문에 부를 수 없지만 유벨 본체와 서치 요원인 [[스피릿 오브 유벨]]을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 자체가 하급인데다 [[원 포 원]]에도 대응하기에 간편히 유벨을 필드로 부를 수 있다. 스피릿 오브 유벨을 부르면 추가 마법/함정의 서치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상대 턴 중 유벨이 있을 때 자신을 릴리스하고 상대의 몬스터 효과를 유벨을 파괴하는 효과로 치환하는 효과. 상대의 행동을 막으면서 ①의 효과로 필드로 꺼내놓은 유벨을 터트리게 만들어 유벨 본체나 진화체를 꺼낼 수 있다. 사실상 디스어드밴티지 없는 몬스터 효과 퍼미션이다. 쥬다이가 새크리파이스 로터스를 견제했으나 유벨이 그를 트리거 삼아 로터스를 릴리스하고 유벨 본체를 파괴,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를 소환한 것을 오마주한 효과. ③의 효과는 유벨이 필드에 있을 때 원본처럼 묘지에서 부활하는 효과. ①②의 효과가 서로 연동되게 만들어주는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효과. 패에 넣는 것도 되기에 상황에 따라 후속을 대비할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 원본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원본은 식물족 카드이지만 리메이크되면서 종족이 악마족으로 바뀌었기에 [[론 파이어 블로섬]]으로는 소환할 수 없음을 주의하자.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03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레벨 8 === ==== 가이스토치 골렘 ==== [[파일:1707_20230804025949_img_2_8iMTxfBYXTyEJVSg4IqlNiwupNgsrmPnIa7336ROQFTZbl4Ttk44Ipov2IeitrL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가이스토치 골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ガイストーチ・ゴーレム, 영어판명칭=Geist Grinder Golem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자신은 "가이스토치 골렘"을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유벨"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보여준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가 "유벨"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발동한다. 상대는 3000 LP 회복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유벨"을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토치 골렘]]의 리메이크 카드로, 어원은 영혼을 뜻하는 독일어 Geist+토치 골렘. 애니메이션에서 [[에코(유희왕 GX)|에코]]의 원념을 뒤집어쓴 토치 골렘의 모습을 묘사한 카드로, 원본의 제약 때문에 재현할 수 없는 원작의 장면을 재현하는 것이 특수 소환 효과, 헬 카이저와의 듀얼에서 잃어버린 듀얼에너지를 에코를 이용해 회복한 것을 듀얼 중의 라이프 회복 효과로 구현했다. 특수 소환 몬스터였던 원본과는 다르게 통상 소환도 가능하다. 다만 어드밴티지를 벌어주는 효과가 없다보니 덱에 따라 차라리 상대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는 [[파괴수(유희왕)|파괴수]]쪽이 더 좋을 수도 있다. 구축에 따라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①의 효과는 패의 유벨을 소환하고 원본처럼 상대 필드로 소환되는 효과. 편하게 유벨을 꺼낼 수 있지만 상대에게 몬스터를 주게되니 선공보다는 후공에 공격할 때 쓰는 편이 좋다. ②의 효과는 유벨과 배틀 시 상대의 라이프를 회복시켜 주는 효과. 이 카드가 상대 필드에 띄우는 효과를 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론 가이스토치 골렘을 소환한 플레이어에게 힐을 선사하는 효과다. 아래의 나이트메어 페인과 연계하면 힐과 함께 막대한 번 수치도 낼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에 존재할 때 유벨이 소환되면 상대 필드로 부활시킬 수 있는 효과. 언제든 샌드백이 생기게 되지만 반드시 원본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이 소환될 필요가 있다. 다른 유벨 몬스터로는 충족이 불가능하다.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02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레벨 10 === ==== [[네오스 와이즈맨]] ==== == 서포트 융합 몬스터 == === 레벨 9 ===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 == 서포트 마법 카드 == === 지속 마법 === ==== 나이트메어 페인 ==== [[파일:1707_20230804030050_img_1_jZoSaJMwBjkRHHotJVKs8HDAWQujFfBm4o4SvFFwmnDrtqa2Bjk8ol6A2oh5JgfB.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나이트메어 페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ナイトメア・ペイン, 영어판명칭=Nightmare Pa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나이트메어 페인"을 제외한\, "유벨" 1장 또는 그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유벨"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유벨"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3=③: 자신의 "유벨" 몬스터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의 [[필살기 카드]]. 유벨의 애니 효과를 이 카드로 재현했다. ①의 효과는 패/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파괴하고 유벨이나 그 카드명이 기재된 카드 서치. 유벨 덱은 어둠 속성과 자괴 시너지를 주로 삼고 있으므로 발동하지 못할 일은 적고, 어드밴티지로도 이어질 수 있다. 패에 잡혀 소환이 난해한 유벨을 치워버릴 수도 있다. [[언체인드]] 등의 파괴 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테마와의 연계도 쉽다. ②의 효과는 상대에게 유벨을 공격할 것을 강제하는 효과. 유벨 몬스터들은 전투 파괴 면역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유벨과 다스 압쇼이리히 리터는 공격당하면 번 효과를, 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과 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는 번 효과와 함께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③의 효과 또한 번 데미지 효과인지라, 이와 조합하면 상대의 라이프를 크게 깎아내릴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전투 데미지 반사 효과. 유벨 몬스터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오는 데미지를 0으로 하고 그 공격력을 참조하여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데 데미지 반사 효과는 여기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데미지를 배로 반사 할 수 있게 된다.[* 2017/03/24 재정 중에 [[No.14 욕망의 사라메야]]와 [[데스 웜뱃]]이 동시에 필드에 존재할 경우 데미지 반사 효과가 정상적으로 적용된다는 재정이 있다. ] 또한, 유벨의 효과가 무효화된 후에, 무력하게 공격력 0으로 전투당하는 피해를 줄여주는 보험으로 쓰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54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매추어 크로니클 ==== [[파일:1707_20230804030050_img_2_jZoSaJMwBjkRHHotJVKs8HDAWQujFfBm4o4SvFFwmnDrtqa2Bjk8ol6A2oh5JgfB.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매추어 크로니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マチュア・クロニクル, 영어판명칭=Mature Chronicl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유벨" 몬스터 또는 "유벨"의 카드명이 기재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될 때마다\, 이 카드에 크로니클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크로니클 카운터를 이하의 수만큼 제거하고\, 그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3=●1: 자신의 묘지에서 "유벨"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2: 자신의 제외 상태의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5=●3: 덱에서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효과6=●4: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효과7=●5: 덱에서 "초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매직 크로니클]]의 리메이크 카드. 원본의 악마 날개는 유벨의 날개로, 태양은 융합으로, 달은 초융합으로 바뀌어 있다. 카드명의 어원은 '성숙함'을 뜻하는 Mature로, 번역하자면 '''성숙의 연대기'''와 같은 이름이다. 쥬다이가 유벨과 하나가 될 때 [[마루후지 쇼]]에게 말한 "아이에서 어른이 되는 여행"을 의도한 작명으로 보인다. ①의 효과는 유벨 몬스터나 유벨의 카드명이 기재된 몬스터가 특수 소환할 때마다 크로니클 카운터를 놓는 효과. 몬스터 전개가 필수지만 원본에 비해 능동적으로 카운터를 채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크로니클 카운터를 제거하고 제거한 숫자에 따라 효과를 발휘하는 효과. 필드의 다른 매추어 크로니클이나 [[매직 크로니클]]의 크로니클 카운터를 제거해도 된다. * 1개를 제거하면 묘지에서 유벨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유벨을 특수 소환해도 카운터를 쌓는 트리거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카운터가 1개 이상일때 노코스트로 유벨 소환인 셈. * 2개를 제거하면 제외된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있다. 유벨은 아무래도 효과로 제거당하게 될 텐데 제외는 묘지로 가는 것에 비해 대응하기 힘든 경우가 많으니 유용하다. 그냥 "제외된 카드"이므로 뒷면 표시로 제외된 카드들도 샐비지가 가능하다. * 3개를 제거하면 덱에서 카드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사실상 [[봉인의 황금궤]]와 같다. 다만, 여기서부턴 유벨 덱도 나름대로 전개를 해야 된다. * 4개를 제거하면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파괴이기에 상대 몬스터 제거로도 쓸만하고, 자신의 유벨을 지정하여 유벨을 진화시킬 수도 있다. 다만 카운터를 이만큼 쌓아야하는 데 프리 체인도 아니라 미묘한 편. * 마지막으로 5개를 제거하면 '''[[초융합]]'''을 서치할 수 있다.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4개째 효과와 마찬가지로 카운터가 많이 필요한데 이정도면 다른 융합이나 퓨전을 패에 넣는 계통의 카드가 더 편할 수도 있다. 매추어 크로니클의 카운터를 쌓기 위해서는 유벨 몬스터가 지속적으로 필드에 소환되어야만 하는데, 5개의 카운터를 쌓아 덱에서 초융합을 서치하기 위해선 스피릿 오브 유벨과 나이트메어 페인과 매추어 크로니클을 서치하여 스피릿의 효과로 이미 원본 유벨이 소환된 이후에 유벨 몬스터를 5번이나 더 소환해야 한다. 언뜻 보면 실전성이 떨어지는 팬서비스에 가까운 카드라고 생각할수도 있겠으나, 충분히 실전성 있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벨이 파괴되었을 때 진화하는 것에 턴제약이 없다는 점, 스피릿 오브 유벨이 파괴되었을 떄 유벨을 소환하는 효과가 역시 턴제약이 없다는 점, 무엇보다도 진화를 할 때엔 진화체가 패, 덱, 묘지 아무 곳에서나, 스피릿 오브 유벨로 유벨이 소환될 때엔 패, 덱, 묘지, 제외족 모든 곳에서 유벨을 소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파괴 트리거만 확보할 수 있다면 카운터를 충분히 쌓을 수 있다. 이 카드를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언체인드(유희왕)|언체인드]] 카드들을 통해 파괴 트리거를 계속해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카운터 4개를 사용해 언체인드 효과를 격발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효과는 작중 유벨이 매직 크로니클을 통해 한 플레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1개째의 유벨을 소환하는 효과는 [[스플릿 데먼 로즈]]를 패에 넣어 유벨을 필드로 꺼낸 것. * 2개와 3개째 효과는 원본 매직 크로니클의 일단 덱에서 카드를 제외한 뒤 차례차례 패에 넣는 효과를 오마주한 것. * 4번째 효과는 [[싸이크론]]으로 마법 카드를 제거한 것, 마지막 5개째 초융합 서치는 문자 그대로 초융합을 패에 넣은 것을 오마주한 것이다. 이 때 관련 플레이에서 오마주되지 않은 것은 OCG화되지 않은 [[제로 스프라이트]]와 끝까지 패에 넣치 못한 [[토치 골렘]]이다.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55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서포트 함정 카드 == === 지속 함정 === ==== 이터널 페이버릿 ==== [[파일:1707_20230804030124_img_1_GoQ0tu0RupDUiqtzOYhBVMquffoGdoojS4ZCmPRW3Vrb9aQMwxNI832dWfj0HOXa.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이터널 페이버릿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エターナル・フェイバリット, 영어판명칭=Eternal Favorit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1=①: 1턴에 1번\,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명의 이하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선택할 수 없다)., 효과2=●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의 "유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특수 소환 성공시에 서로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3=●자신 필드에 "유벨"이 존재할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유벨" 몬스터를 포함한 자신 /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여\,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유벨을 지원하는 함정. "[[페이버릿(유희왕)|페이버릿]]"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기에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으로 서치할 수 있다. 만약 [[네오스 와이즈맨]]등을 써보려고 히어로를 투입했다면 참고해 볼 것. 2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쓸 수 있다. * 묘지와 제외 존의 유벨을 소환시킬 수 있으며 그 특수 소환 성공시의 체인 트리에서는 상대가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거기서 2장째의 이터널 페이버릿이나 다른 속공형 융합 카드를 사용한다면 초융합과 유사한 체인불가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단, 체인2 이상에서 발동할 경우 '특수 소환 성공시' 타이밍을 놓쳐서 체인불가 상황을 만들 수 없다는 점에 주의. * 패의 카드 1장과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 / 상대 필드의 몬스터로 융합 소환하는 효과. [[알버스의 낙윤]]과도 비슷하다. 다만 알버스와 비교하면 유벨은 꺼낼 수 있는 융합 몬스터가 많이 한정되어 있다. 신지원으로 나온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를 빼면 어둠덱 상대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꺼내는 정도가 한계일 것이다. 다만 그 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의 융합 범위가 광범위하기에 제거기로는 좋은 편. 이미 앞면 표시로 존재해야하므로 발동시 효과처리로 선택할 수는 없다. 일러스트는 모두에게 충격을 주었던 그 [[초융합]] 엔딩씬이다. 효과 역시 1번째 효과에 체인 불가 상황 조성으로 2번째 효과에 유벨을 포함해 상대 몬스터까지 소재로 쓰는 융합 효과로 계승되어 있다.[* 다만 둘 중 하나만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기에 이 카드 한장만으로 초융합의 체인 불가를 재현할 수는 없다. 카드명 제약이 없으니 두 장을 깔고 1번째 카드로 유벨을 소환한 후 2번째 카드로 융합 효과를 발동해야 가능하다.] 카드명에서 '이터널'의 유래는 해당 씬에서 나온 유벨의 대사 "끝이다!!! 모든 걸 멸망시킴으로써 나는 '''너의 모든 사랑을 영원히''' 독차지할 수 있어!!!!" 또는 "두 영혼이 하나가 되면 이제 떨어질 일은 없겠지"를, '페이버릿'은 유벨이 프레임 윙맨 이전 쥬다이의 페이버릿 카드였던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 ||<(> 2023-10-2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NI-JP073 | '''[[팬텀 나이트메어|PHANTOM NIGHTMAR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 [[초융합]] 원작에서 유벨과 인연이 있는 카드. 매추어 크로니클로 서치가 가능하고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의 소재 조건은 [[초융합]]을 유도하고 있으며, 실제로 설정상 초융합으로 소환된 몬스터다. * [[삼환마#암흑의 초래신|암흑의 초래신]] & [[삼환마#칠정의 해문|칠정의 해문]] 마찬가지로 원작에서부터 유벨이 쓰던 [[삼환마]] 관련 카드들. 초래신의 2번 효과로 유벨 몬스터들이나 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의 소환권을 추가해주며 해문의 2,3번 효과로 부활 및 지속마법 샐비지[* 유벨 서포트 카드들은 모두 지속마법/함정이기에 사실상 모든 마법 카드의 샐비지가 가능하다.]가 가능하다. 서로가 서로를 서치할 수 있기에 패말림도 적은 편. 초래신/해문으로 또다른 초래신을 서치하고 소환하면 필드에 악마족 몬스터 2마리가 갖추어져 언체인드소울킹 야마를 소환할 수 있기에 초래신 1장으로 언체인드 카드로 연결될 수 있다. * [[피리 레이스의 지도]] 가이스토치 골렘을 제외한 메인 덱 몬스터들이 전부 공격력 0이기에 만능 서치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서치 후 효과발동을 위해선 일반소환이 되어야하기 떄문에 주로 암흑의 초래신이나 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를 서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융합파병]] 엑스트라 덱에 네오스 크루거를 넣어두면 유벨을 덱 특소 할 수 있다. * [[네오스 퓨전]] 네오스 크루거를 사용하는 축에서 크루거를 소환하기 위해 투입된다. * [[언체인드]] 악마족에 효과 파괴 컨셉까지 겹치기에 같이 쓰기 좋다. 다만 나이트메어 페인이 어둠속성만을 지정하기에 어둠속성이 아닌 몬스터들은 코스트로 쓸 수 없으니 주의. * [[킬러 포테이토]] 효과로 파괴되면 공격력 1500이하의 어둠속성 몬스터를 리쿠르트 해오기에 나이트메어 페인의 코스트나 상기한 언체인드 몬스터들의 효과로 자괴시키면 스피릿 오브 유벨과 원본 유벨은 물론 초동인 로터스까지 불러올 수 있다. GX시절 [[킬러 토마토]]의 효과로 유벨을 리쿠르트하던 것과 비슷한 느낌. * 랭크 10 엑시즈 몬스터들 레벨 10 몬스터의 전개가 쉬운데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데미지를 주지 못하는 유벨 특성 상 필수적으로 써야하는 카드들. 특히 악마족 테마이기에 우수한 퍼미션 효과를 가진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를 쓸 수 있단 점이 다른 10축 덱과 차별화되는 장점이다.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 또한 메인 페이즈 2에 킬각을 볼 수 있다. * [[죽음의 매직 박스]], [[강제전이]], [[기브 & 테이크(유희왕)|기브 & 테이크]] * [[파괴수]]를 비롯한 상대 필드에 소환되는 몬스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ersion=27,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