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include(틀:유비트 대회고전)] [[파일:jubeat_daikaikoten.jpg]] [[https://p.eagate.573.jp/game/jubeat/special/10th_anniversary/html/anniversary_music.html|코나미 페이지]] [[유비트 페스토]]의 이벤트. [[유비트 시리즈]] 10주년을 기념해 시리즈의 역사를 되돌아본다는 컨셉이다. == 상세 == [[파일:jubeat_daikaikoten_2.jpg]] 유비트를 플레이하면 아이콘이 움직이고, 체크포인트를 통과하면 스탬프가 찍히며 보상을 받는다. 스탬프가 3개가 되면 신곡이 해금된다.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옆동네]] [[격주! 캐논 레이서|카레이싱]]과 유사한 시스템이지만 체크포인트에 도달한 이후에도 해당 크레딧의 남은 진행이 전부 반영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결국은 [[코인 러시]]~~ [* 프로토타입을 뺀 나머지는 대부분 12코인 내외다.] 각 방이 열림과 동시에 해당 일러스트의 엠블럼 파츠를 포함하는 한정 jbox도 14일간 판매된다. 종료 후 2019년 2월 18일부터는 [[유비트 페스토/TUNE RUN|TUNE RUN]]으로 이전된다. === ROOM 1: [[유비트 소서 풀필]] === [[파일:jubeat_daikaikoten_fulfill.jpg]] ||<-2>
<:>{{{#fff {{{+1 '''ROOM 1''' saucer ''fulfill''}}}}}}|| || {{{#fff '''기간'''}}} || {{{#fff 2018/09/13 10:00 ~ 2018/12/31 23:59}}} || || {{{#fff '''version'''}}} || [[유비트 소서 풀필|{{{#fff 유비트 소서 풀필}}}]] || || {{{#fff '''music'''}}} || [[TAG(작곡가)|{{{#fff BEMANI Sound Team "TAG"}}}]] || || {{{#fff '''illust'''}}} || {{{#fff shino}}} || || {{{#fff '''완주 보상'''}}} || '''[[Dream drip macchiato|{{{#fff Dream drip macchiato}}}]]''' || [[파일:jubeat_daikaikoten_fulfill_1.jpg|width=75%]] >『[[유비트 소서 풀필|jubeat saucer fulfill]]』은 [[2014년]] [[3월 3일]]에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는 지정된 5곡을 연속으로 플레이하고 목표 점수를 달성하는 「[[유비트 시리즈/코스|COURSE MODE]]」가 등장! > 여러 테마가 있는 코스가 준비되어 있었죠.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0046296290144256 > saucer fulfill이라고 하면, [[saucer macchiato]]! > [[스미스 씨|스미스]]가 여러 가지 커피를 만들고 멋진 라테 아트를 보여 주었어요. > 그 "노트수 최다"로 화제가 된 『[[ドーパミン]]』도 이때 처음 등장했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0048272608395265 > 이번 버전도 스미스는 바빠요! [[saucer macchiato|라테 아트 장인]], [[스미스 세미나|선생님]], 게다가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고대 벽화의 조보왕]]이 되기도 하고……. > 또, "대단한" 소떼에 깔려 기억상실까지……!? > 「[[스미스의 추억]]」으로 기억을 되찾아서 다행이에요.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0050251904643072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DANCE ALL NIGHT]], [[Energy]], [[HYDRA]]의 그림. [[BGM]]은 [[https://youtu.be/nobOf9I8IwA?t=902|In The Lounge]]. === ROOM 2: [[유비트 니트]] === [[파일:jubeat_daikaikoten_knit.jpg]] ||<-2>
<:>{{{+1 '''ROOM 2''' knit}}}|| || '''기간''' || 2018/09/20 10:00 ~ 2018/12/31 23:59 || || '''version''' || [[유비트 니트|{{{#000 유비트 니트}}}]] || || '''music''' || PAN || || '''illust''' || 小山健 || || '''완주 보상''' || '''[[幸せが鳴る夜に|{{{#000 幸せが鳴る夜に}}}]]''' || [[파일:jubeat_daikaikoten_knit_1.jpg|width=75%]] >『[[유비트 니트|jubeat knit]]』는 [[2010년]] [[7월 29일]]에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 이번 작품부터 「[[유빌리티|jubility]]」의 도입, 난이도에 관계없이 매칭되는 시스템이 등장! > 거기에 더해, 지금은 익숙한 캐릭터, [[유비트 시리즈/마커#s-4.5|컨시어지]]도 knit부터 등장했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2582164536143872 > 이 작품에서는 WOOL을 모아 셔츠를 짜는 "[[유비트 니트/셔츠|니트 셔츠]]"가 이벤트로 있었습니다. > 일곱 빛깔의 셔츠를 다 짠 후에 나오는 악곡은 『[[I'm so Happy]]』! > 지금은 jubeat를 대표하는 악곡 중 하나가 되었죠.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2584604035575808 > 2011년 3월 7일에는, 다른 기종과의 연동 이벤트 「[[APPEND FESTIVAL]]」이 시작! > [[STELLAR WIND|다양한]] [[キルト|기종]] [[Theory of Eternity|공통]][[Jailbreak(BEMANI 시리즈)|곡이]] 나온 이벤트지만, 지금은 [[BEMANI 시리즈/그랜드슬램|어느 기종에서나 들을 수 있게 된]] > 명곡 『[[FLOWER(BEMANI 시리즈)|FLOWER]]』가 처음 나온 것도 이 이벤트부터 랍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2586878656929792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유빌리티#s-3.1|니트 유빌리티]]의 기린, 허니비, 레몬이다. [[BGM]]은 [[https://youtu.be/P7dIMNTJZOo|Red Knit]]. === ROOM 3: [[유비트 프롭]] === [[파일:jubeat_daikaikoten_prop.jpg]] ||<-2>
<:>{{{+1 {{{#ff1493 '''RO'''}}}{{{#00bfff '''OM 3'''}}} {{{#000 ''prop''}}}}}}|| || '''{{{#ff1493 기}}}{{{#00bfff 간}}}''' || {{{#000 2018/09/27 10:00 ~ 2018/12/31 23:59}}} || || '''{{{#ff1493 vers}}}{{{#00bfff ion}}}''' || [[유비트 프롭|{{{#000 유비트 프롭}}}]] || || '''{{{#ff1493 mu}}}{{{#00bfff sic}}}''' || [[후지모리 소타|{{{#000 BEMANI Sound Team "Expander"}}}]] || || '''{{{#ff1493 ill}}}{{{#00bfff ust}}}''' || {{{#000 ホノジロトヲジ}}} || || '''{{{#ff1493 완주}}} {{{#00bfff 보상}}}''' || '''[[Pegasus|{{{#000 Pegasus}}}]]''' || [[파일:jubeat_daikaikoten_prop_1.jpg|width=75%]] > 『[[유비트 프롭|jubeat prop]]』은 [[2015년]] [[2월 20일]]에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플레이어 자신을 상징하는 커스터마이즈 아이템 『EMBLEM』이 등장! > 등장으로부터 3년, 지금은 무려 1000종을 넘겼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5118911811731456 > 『[[롱노트#s-2.3|홀드 마커]]』가 처음 등장한 것도 이때였지요! > 여러 가지 홀드 채보가 『[[유비트 프롭/Step|Step]]』 시스템의 계단을 오를 때마다 해금되고, > 마지막에서 기다리고 있는 『[[アガット]]』는 그야말로 홀드 채보의 대표 [[보스곡]]이었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5122873361195008 > 여름의 『[[BEMANI SUMMER DIARY 2015]]』, 가을의 『Trick or jubeat』 > 겨울의 『jubeat Christmas!』[* 뒤의 2개는 구곡 해금을 위한 이벤트로 [[유비트 소서/bistro saucer]]를 단순화(만족도 게이지, 냉장고, 구루메이트 성향 등 삭제)하고 해당 시즌에 맞는 이미지를 적용해 진행되었다.], 여러 가지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 『[[유비트 프롭/아레나|ARENA MODE]]』의 추가로 전국의 플레이어와 매주 실력을 겨루어 보기도 했죠.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5124219166646272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유비트 시리즈/코스|코스 모드]]의 브론즈/실버/골드 스톤이다. [[BGM]]은 [[https://youtu.be/WYrE8o4PUD8?t=714|Step Up]]. 여담으로 곡 해금 후 나오는 Cleared 보이스가 프롭의 것이 아닌 니트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 ROOM 4: [[유비트 코피어스]] === [[파일:jubeat_daikaikoten_copious.jpg]] ||<-2>
<:>{{{+1 {{{#ffffff '''ROOM 4''' copious}}}}}}|| || '''{{{#ffffff 기간}}}''' || {{{#ffffff 2018/10/04 10:00 ~ 2018/12/31 23:59}}} || || '''{{{#ffffff version}}}''' || [[유비트 코피어스|{{{#ffffff 유비트 코피어스}}}]] || || '''{{{#ffffff music}}}''' || [[lapix|{{{#ffffff lapix}}}]] || || '''{{{#ffffff illust}}}''' || {{{#ffffff クロサワテツ}}} || || '''{{{#ffffff 완주 보상}}}''' || '''[[Welcome to the Mosh Pit|{{{#ffffff Welcome to the Mosh Pit}}}]]''' || [[파일:jubeat_daikaikoten_copious_1.jpg|width=75%]] >『[[유비트 코피어스|jubeat copious]]』는 [[2011년]] [[9월 15일]]에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 『우주』가 테마로, 『[[Copious Travel|copious travel]]』에서는 이런저런 별들 사이를 누볐어요. >또 이번 작품부터 전도해금이 가능해졌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7656447696199680 >2012년 3월 14일부터는 연동 이벤트 『[[APPEND TRAVEL]]』이 스타트! >알이 부화해서 태어난 「[[DJ YOSHITAKA]]의 별」을 통해 『[[JOMANDA]]』를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었죠. >당시 공개되었던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7nONbREeNJs|APPEND TRAVEL의 노래]]』는 필견이에요!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7659155580841984 >2012년 8월 1일부터는 연동 이벤트 『[[기타・드럼・유비트 대 여름축제]]』가 개최! >포장마차를 개점해서 이런저런 곡을 해금하는, 여름에 딱 맞는 이벤트였습니다. >당시의 「[[http://www.youtube.com/watch?v=Vys5P6Yh0NI|기타・드럼・유비트 대 여름축제의 테마 춤춰보았다]]」 동영상. 이쪽도 필견이지요.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47661245392769024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유빌리티#s-3.2|코피어스 유빌리티]]의 아모에바 성인, 메쉬 성인, 젠틀 성인이다. [[BGM]]은 [[https://youtu.be/vtTJMZYC5uQ?t=428|astro]]. === ROOM 5: [[유비트 큐벨]] === [[파일:jubeat_daikaikoten_qubell.jpg]] ||<-2>
<:>{{{+1 {{{#05112b '''ROOM 5''' Qubell}}}}}}|| || '''{{{#05112b 기간}}}''' || {{{#05112b 2018/10/11 10:00 ~ 2018/12/31 23:59}}} || || '''{{{#05112b version}}}''' || [[유비트 큐벨|{{{#05112b 유비트 큐벨}}}]] || || '''{{{#05112b music}}}''' || [[dj TAKA|{{{#05112b BEMANI Sound Team "dj TAKA"}}}]] || || '''{{{#05112b illust}}}''' || {{{#05112b kakotomirai}}} || || '''{{{#05112b 완주 보상}}}''' || '''[[Glitter Cube|{{{#05112b Glitter Cube}}}]]''' || [[파일:jubeat_daikaikoten_qubell_1.jpg|width=75%]] >『[[유비트 큐벨|jubeat Qubell]]』은 [[2016년]] [[3월 30일]]에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다양한 게임 내 이벤트에 더해 >업계의 울타리를 넘어선 콜라보레이션 기획[* [[후리카케]]같은 식품 조미료 및 [[레토르트 식품]]전문 기업인 나가타니엔(永谷園)의 콜라보를 말하는 것으로, 오리지널곡 'お茶づけ☆パラダイス', 'ちょちょいとちょいだよ夢浪漫', '椀・of・Relaxation', '拙者はSAMURAI FOOD' 총 4곡이 디폴트 수록되었다. 해당 곡들은 제휴 기간이 만료되어 2020년 4월 3일부로 삭제되었다.]으로도 화제를 불렀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0193598409400321 >『[[dig dig Qubell]]』에서는, QUBE를 캐서 모아 악곡을 해금할 수 있었습니다. >[[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기간한정 QUBE]] 중에는, [[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s-2.6|어기영차! 느낌의 축제]], >[[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s-2.8|세피아색의 이야기]], [[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s-2.10|붉게 비치는 산]]같은 개성 있는 세계가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0196427773640704 >전 난이도 Lv10! 충격의 등장을 이룩한 악곡 『[[Megalara Garuda]]』. >기간한정 QUBE「[[유비트 큐벨/dig dig Qubell/기간 한정 큐브#s-2.7.6|掘りすぎ dig RUSH FINAL]]」에 마련되었던, >매우 엄격한 조건의 클리어를 필요했던 RISKY UNLOCK CHALLENGE에서 해금되었습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stw_aru/status/1050205439072194560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회색 큐브, 흰색 큐브, 키 큐브이다. BGM은 TOTAL RESULT BGM이 아닌 TOTAL SCORE RANKING의 BGM을 사용하고 있다. === ROOM 6: [[유비트 리플즈]] === [[파일:jubeat_daikaikoten_ripples.jpg]] ||<-2>
<:>{{{+1 {{{#ffffff '''ROOM 6''' ripples}}}}}}|| || '''{{{#ffffff 기간}}}''' || {{{#ffffff 2018/10/18 10:00 ~ 2018/12/31 23:59}}} || || '''{{{#ffffff version}}}''' || [[유비트 리플즈|{{{#ffffff 유비트 리플즈}}}]] || || '''{{{#ffffff music}}}''' || [[아라이 히로키|{{{#ffffff 猫大樹}}}]] || || '''{{{#ffffff illust}}}''' || {{{#ffffff にほへ}}} || || '''{{{#ffffff 완주 보상}}}''' || '''[[雨上がりの空に|{{{#ffffff 雨上がりの空に}}}]]''' || [[파일:jubeat_daikaikoten_ripples_1.jpg|width=75%]] >『[[유비트 리플즈|jubeat ripples]]』는 [[2009년]] [[8월 5일]]에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본작부터 RATING에 「EXCELLENT」「SSS」가 등장! >게다가, 새롭게 추가된 「대회기능」을 사용해 친구와 놀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2728310948458496 >본작에서 새로이 등장한 『그레이드 업 시스템』은, >Fox나 Lion 등 자신의 클래스를 어필할 수 있는 평가가 총 43단계 있었습니다. >그레이드를 올려 해금할 수 있었던 악곡 「[[隅田川夏恋歌]]」은 여름엔 친숙한 악곡이 되었군요.[* 여담으로 隅田川夏恋歌 EXTREME은 리플즈 당시 8레벨이었다. 니트에서 9로 상승]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2729977295142912 >2010년 3월 18일에는 『[[유비트 리플즈 어펜드|jubeat ripples APPEND]]』가 가동 개시! >다양한 코나미 오리지널 악곡과 라이센스 악곡의 추가 외에도, >[[beatmania IIDX 17 SIRIUS]]와의 연동 이벤트 「[[APPEND STYLE]]」이 개최. jubeat 시리즈 최초의 연동 이벤트였습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2731506047635456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리플즈 그레이드의 Bronze Squirrel, Bronze Fox, Bronze Lion이다. === ROOM 7: [[유비트 소서]] === [[파일:jubeat_daikaikoten_saucer.jpg]] ||<-2>
<:>{{{+1 {{{#000000 '''ROOM 7''' saucer }}}}}}|| || '''{{{#000000 기간}}}''' || {{{#000000 2018/10/25 10:00 ~ 2018/12/31 23:59}}} || || '''{{{#000000 version}}}''' || [[유비트 소서|{{{#000000 유비트 소서}}}]] || || '''{{{#000000 music}}}''' || [[후지모리 소타|{{{#000000 BEMANI Sound Team "Sota F."}}}]] || || '''{{{#000000 illust}}}''' || {{{#000000 里本 直紀(from B-SIDE LABEL)}}} || || '''{{{#000000 완주 보상}}}''' || '''[[Radius|{{{#000000 Radius}}}]]''' || [[파일:jubeat_daikaikoten_saucer_1.jpg|width=75%]] >『[[jubeat saucer]]』는 [[2012년]] [[9월 25일]]에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jubeat를 대표하는 캐릭터로 활약하는 [[스미스 씨]]가 이번 작에서 첫 등장! >그 외에도 구르메이츠로 여러 캐릭터들이 등장했죠.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5265903749693440 >본작에서 개최되었던 『[[유비트 소서/bistro saucer|bistro saucer]]』는 >배가 고픈 구르메이츠들에게 요리를 대접해서 곡을 해금하는 이벤트였습니다. >총 11회 개최되었고 전부 72곡의 악곡을 해금할 수 있었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5268071605067778 >본작에서는 기종을 불문하고 여러 가지 이벤트가 개최되었습니다! >[[사립 BEMANI 학원|학원에 입학하거나]], [[Triple Journey|여행을 떠나거나]], [[열투! BEMANI 스타디움|야구를 하거나]], [[미미냐미·코타로의 플라잉 캐치!|코타로를 키우거나]],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마라톤을 하거나]], [[Café de Tran|디저트를 대접하거나]]... >이벤트마다 분위기가 바뀌는 것이 신선했었죠.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5269533189959681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가지(채소)|가지]], [[치즈]], [[고기]][* bistro saucer 당시에 쓰였던 이미지가 아니다. 당시에는 소, 돼지, 닭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초기에 '고기'로 기획했다가 고기의 종류 분화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한 등의 이유로 이미지가 바뀌며 더미데이터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이다. === ROOM 8: [[유비트 클랜]] === [[파일:jubeat_daikaikoten_clan.jpg]] ||<-2>
<:>{{{+1 {{{#ffffff '''ROOM 8'''}}} {{{#EC1D51 c}}}{{{#5CC0C0 l}}}{{{#yellowgreen a}}}{{{#plum n}}}}}}|| || '''{{{#EC1D51 기간}}}''' || {{{#EC1D51 2018/11/01 10:00 ~ 2018/12/31 23:59}}} || || '''{{{#5CC0C0 version}}}''' || [[유비트 클랜|{{{#ffffff 유}}}{{{#EC1D51 비}}}{{{#5CC0C0 트}}} {{{#yellowgreen 클}}}{{{#plum 랜}}}]] || || '''{{{#yellowgreen music}}}''' || [[U1-ASAMi|{{{#yellowgreen BEMANI Sound Team "U1 overground"}}}]] || || '''{{{#plum illust}}}''' || {{{#plum 白根ゆたんぽ}}} || || '''{{{#ffffff 완주 보상}}}''' || '''[[少女、摩天楼へ|{{{#ffffff 少女、摩天楼へ}}}]]''' || [[파일:jubeat_daikaikoten_clan_1.jpg|width=75%]] > 『[[jubeat clan]]』은 [[2017년]] [[7월 26일]]에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 특색이 있는 4개의 거리가 등장, 플레이어가 소속된 거리에 따라 화면의 디자인이 달라졌습니다. > 또, jubeat 시리즈 최초로 [[나카시마 유키|일본어 시스템 보이스]]를 채용했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7801613610348544 > 본작부터, 다른 곡이라도 매칭이 잡히는 『전곡 매칭』이 본격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 또, 매칭 중 특정 패널을 누르면 > 매칭 상대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유비벨』이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7803684585721857 > OMIYAGE와 다양한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는 [[유비트 클랜/SHOP|SHOP]]. > 그 중에서 clan RECORDS 마지막 곡인 『[[Couleur=Blanche]]』을 OMIYAGE와 교환하면, > clan RECORDS에 등장한 곡들을 돌아보는 스페셜 무비가 나왔습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57805161303695360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OMIYAGE의 은테, 금테, 무지개테이다. BGM은 [[https://youtu.be/_IFEFFkrVY8?t=1580|유빌리티 BGM]]. === ROOM 9: [[유비트]] === [[파일:jubeat_daikaikoten_1st.jpg]] ||<-2>
<:>{{{+1 {{{#ffffff '''ROOM 9''' FIRST MODEL}}}}}}|| || '''{{{#ffffff 기간}}}''' || {{{#ffffff 2018/11/08 10:00 ~ 2018/12/31 23:59}}} || || '''{{{#ffffff version}}}''' || [[유비트|{{{#ffffff 유비트}}}]] || || '''{{{#ffffff music}}}''' || [[C-Show|{{{#ffffff C-Show}}}]] || || '''{{{#ffffff illust}}}''' || [[TOHRU MiTSUHASHi|{{{#ffffff TOHRU MiTSUHASHi}}}]] || || '''{{{#ffffff 완주 보상}}}''' || '''[[ROCK ju|{{{#ffffff ROCK ju}}}]]''' || [[파일:jubeat_daikaikoten_1st_1.jpg|width=75%]] > 『[[jubeat]]』는 [[2008년]] [[7월 24일]] 가동을 개시했습니다! > 색다른 게임기의 디자인이나 다른 BEMANI 기종과는 색다른 게임성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 이 순간부터 jubeat의 역사는 시작되었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60338385364037632 > 지금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코나미 오리지널 곡이지만 > 가동 당시에는 해금곡을 포함해서 겨우 11곡!![* [[Snow Goose]], [[Happy Happy]], [[Polaris]](이상 기본곡), [[Special One]], [[Jumping Boogie]], [[I love マミー]], [[Icicles]], [[bass 2 bass]], [[Chance and Dice]], [[IN THE NAME OF LOVE]], [[GIGA BREAK]]. 원칙적으로 [[천국과 지옥(음악)|천국과 지옥]]을 비롯한 이즈미 무츠히코의 클래식 시리즈는 코나미 오리지널이 아닌 클래식으로 분류한다. 물론 유비트 앨범에는 포함되어있다.] > 그 때부터 10년의 세월이 흘러, 지금은 다양성이 풍부한 곡들이 600곡을 넘었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zaq20532001/status/1060340482117558273 > [[2008년]] [[12월 15일]]에는 8곡의 코나미 오리지널 곡들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 당시 화제가 되었던 곡 『[[Evans]]』가 등장한 것도 바로 이 때입니다. > 지금도 초대 [[보스곡]]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플레이 되고 있는 곡입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fishfishing1/status/1060437342006083586 당시에는 SSS, EXC 그레이드가 없었기 때문에 [[유비트 플러스]]의 초대 버전 테마에 사용된 스프라이트를 사용한다. EXC는 리플즈, 니트, 코피어스의 색상과 같은 금색으로 되어 있다.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초대 기본마커인 사이버 마커의 간략화 버전으로, 흰색에서 점점 무지개색으로 변해간다. 이렇게 모든 시리즈가 '''끝이 난 줄 알았지만...''' === ROOM 10: PROTOTYPE === ||<-2>
<:>{{{+1 {{{#FFA500 '''ROOM 10''' PROTOTYPE}}}}}}|| || '''{{{#FFA500 기간}}}''' || {{{#FFA500 2018/11/08 10:00 ~ 2018/12/31 23:59}}} || || '''{{{#FFA500 version}}}''' || [[프로토타입|{{{#FFA500 프로토타입}}}]] || || '''{{{#FFA500 music}}}''' || [[숏쵸|{{{#FFA500 BEMANI Sound Team "S-C-U"}}}]] || || '''{{{#FFA500 illust}}}''' || {{{#FFA500 BEMANI Designers[* 홈페이지에서는 'design by {{{-2 BEMANI Designers}}} [[T田]], crafted by {{{-2 BEMANI Designers}}} [[이소닌|いそにん]]、しおやき、四十肩、T田、and more!'로 표기]}}} || || '''{{{#FFA500 완주 보상}}}''' || '''[[pedigree|{{{#FFA500 pedigree}}}]]''' || [[파일:jubeat_daikaikoten_proto_1.jpg|width=75%]] >2006년 12월부터 『유비트』의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누구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종래의 리듬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 스태프가 모여, >「벗어나자! 노트낙하형 리듬게임」[* 脱!落ちもの系音楽ゲーム]을 목표로 제작을 진행해왔습니다. > - 1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CORBY_QS/status/1060349844735160321 >패널의 촉감에는 특히 신경 썼습니다. >시가지에서 본 누르는 느낌이 좋은 버튼을 참고해, 크기나 두께 등에 시행착오를 거듭했습니다. >또한, 게임기의 외관 디자인은 「마운틴[[고릴라]]」의 균형잡힌 모습을 참고해 만들어졌습니다. > - 2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CORBY_QS/status/1060355621113843713 >『유비트』라는 이름에는 「指(손가락)+beat」나 「jubilant(즐거운)+beat」같은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쥬비트」로 잘못 읽는 것이 플레이어들의 대화의 계기가 될 수 있게끔, >이라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 - 3번째 체크포인트 설명 ##https://twitter.com/CORBY_QS/status/1060370491582476290 체크포인트의 스탬프는 프로토타입 캐릭터 유비토의 얼굴이다. [youtube(-2a3NNZrumY)] '''프로토타입 캐릭터인 유비토(YUBITO)가 나오고 Let's Go to the next room!이라는 말과 함께 다운로드가 되는 연출이 나오면서 ROOM 10이 열린다.''' 그 전에 화면이 지지직 거리며 암전되는 효과는 덤. 큐벨의 Risky Unlock Challenge랑 비슷한 맥락. 9까지만 해도 나름대로 잘 찼던 게이지가 '''3배나 느려져서 진짜 조금밖에 안 찬다.''' 이번 곡이 꽤 어려울 거란 느낌. [youtube(SpMN64poKjw)] [youtube(4ROPBjSHYVY)] 모든 게이지를 채우면 모든 룸을 클리어했다는 말과 함께 꽤 감동적인 연출이 나오고 [[pedigree|곡]]이 해금된다. 여담으로, 초기에는 곡 해금시에 나오는 감사 메세지가 [[KONMAI|TH'''NA'''K YOU FOR PLAYING]]으로 되어 있었으나 TUNE RUN 기능 추가와 동시에 수정되었다. TUNE RUN으로 넘어올 때에는 이 파트만 상위 코스 반열로 들어갔다. 아무래도 최종해금이라서 그랬던 모양. 과제곡 마저 숏쵸의 곡으로만, 그것도 단독명의 최고 레벨의 곡[* [[concon]], [[ススススペースハリネズミ]] (둘 다 EXT 10.5)]으로 이루어진 건 덤. == [[유비트 페스토/TUNE RUN|TUNE RUN]]으로 이전 == 이벤트 종료 후 2019년 2월 18일부터 TUNE RUN에 대상곡 해금을 위한 코스가 생겼다. || 공개일 || 컵 || 코스 || 해금곡 || ||<|2> 2019/02/18 ||<|9> KISAGO CUP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6|jubeat 大回顧展 ROOM 1]] || [[Dream drip macchiato]] ||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7|jubeat 大回顧展 ROOM 2]] || [[幸せが鳴る夜に]] || ||<|2> 2019/02/21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8|jubeat 大回顧展 ROOM 3]] || [[Pegasus]] ||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9|jubeat 大回顧展 ROOM 4]] || [[Welcome to the Mosh Pit]] || ||<|2> 2019/03/07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10|jubeat 大回顧展 ROOM 5]] || [[Glitter Cube]] ||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11|jubeat 大回顧展 ROOM 6]] || [[雨上がりの空に]] || ||<|2> 2019/03/11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12|jubeat 大回顧展 ROOM 7]] || [[Radius]] ||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13|jubeat 大回顧展 ROOM 8]] || [[少女、摩天楼へ]] || ||<|2> 2019/03/28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2.1.14|jubeat 大回顧展 ROOM 9]] || [[ROCK ju]] || || HOTATE CUP || [[유비트 페스토/TUNE RUN#s-2.5.1.6|jubeat 大回顧展 ROOM 10]] || [[pedigree]] || [[분류:유비트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