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rd1=유성준(2001))] [include(틀:업라이징 아카데미)] [include(틀: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우승 선수)]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oq영입.png|width=100%]]}}} || ||<-2> {{{#efe400 '''[[업라이징 아카데미|{{{#efe400 업라이징 아카데미}}}]] [br]{{{+1 QoQ}}}'''}}} || ||<-2> {{{#174b97 '''유성준 (Yoo Seong-jun)'''}}} || || '''출생''' || [[2000년]] [[9월 29일]] ([age(2000-09-20)]세)[br][[서울특별시]] ||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ID''' || '''QoQ''' Doqq || || '''경력 상금''' || $11,689 || || '''포지션''' || TANK || || '''주 영웅''' || [[D.Va]], [[자리야]], [[시그마(오버워치)|시그마]] || || '''소속''' || [[EHOME#s-4.1.1|EHOME Spear]] (2017.04 ~ 2017.06.19) '''[[MVP Space]]''' '''(2017.07.15 ~ 2018.04.30)'''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2018.10.12 ~ 2019.11.21)''' '''[[T1/오버워치|T1]]''' '''(2020.01.15 ~ 2020.06.19)''' [[항저우 스파크]] (2020.06.19 ~ 2020.11.13) [[업라이징 아카데미]] (2021.09.04 ~ ) || ||<-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QoQjustj1, 크기=18)] [[https://www.twitch.tv/teatime386|[[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8]]]] || ||<-5> '''{{{#fff 우승 경력}}}''' || ||<-5> '''{{{#gold 오버워치}}}''' || ||<-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우승'''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 || '''RunAway''' || → || [[Element Mystic/오버워치|Element Mystic]] || ||<-5> '''[[NetEase Esports X Tournament|2018 오버워치 NeXT Cup Winter]] 우승''' '''2019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우승'''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 || '''RunAway''' || → || [[Element Mystic/오버워치|Element Mystic]] || ||<-5>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우승''' || || [[Element Mystic/오버워치|Element Mystic]] || → || '''RunAway''' || → || [[O2 Blast]] || ||<-5> '''{{{#fff 준우승 경력}}}''' || ||<-5> '''{{{#gold 오버워치}}}''' || ||<-5>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시즌 1]] 정규시즌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MVP Space''' || → || [[MVP Space]] || ||<-5> 2019 오버워치 NeXT Cup Autumn 준우승 || || [[Gen.G Esports/오버워치|Gen.G Esports]] || → || '''RunAway''' || → || [[T1/오버워치|T1]] || ||<-5> 2020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준우승 || ||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 → || '''T1''' || → || [[Team CC]] || ||<-5> [[2020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아시아]] 준우승 || || [[상하이 드래곤즈]] || → || '''항저우 스파크''' || → ||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와~ QoQ! 자폭 각이 예술이었어요!''' >----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16강 MVP Space와 Meta Athena 경기 도중 [[황규형|용봉탕]]의 해설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2017년 8월 11일부터 [[MVP Space]]에서 활동하였고, 팀과의 합의 하에 2018년 4월 30일 계약을 종료하였다. 그리고 2018년 10월 11일, 꽃빈의 방송에서 [[러너웨이/오버워치|러너웨이]] 2기의 첫 선수로 공개되었다.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때는 모든 경기에서 디바를 플레이했으며, [[러너웨이/오버워치|러너웨이]] 입단 이후 공개 테스트에서 처음으로 자리야를 선보였다. 그리고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부터는 [[정희수(프로게이머)|Heesu]]가 자리야를 맡으면서 디바를 맡아 플레이하고 있다. 2019년 11월 21일 RunAway와의 계약이 해지되어 FA신분이 되었다. 리그 팀 입성에 있어 뜻대로 되지 않아 더 원활히 팀을 구할 수 있게끔 FA로 풀어주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RunAway에 소속된 상태로 이적을 하면 리그팀은 QoQ와 연봉 계약을 하는 것과 별개로 RunAway 측에 이적료를 지불해야 한다. 때문에 QoQ가 FA 신분으로 전환되면 구단은 이적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QoQ의 이적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강해지는 것이다. 팀 차원에서의 이득보다 선수의 리그 진출을 우선시한 러너의 배려라고 볼 수 있다.] 2020년 1월 15일자로 [[오버워치 컨텐더스]] 참가팀 [[T1/오버워치|T1]]에 입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상세 === *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16강 A조 3위 * [[오버워치 APAC Premier 2017]] 8강 *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우승'''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4 : 1 [[Element Mystic]]) * 2018 오버워치 넥스트컵 윈터 '''우승'''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4 : 1 LGD Gaming) == 플레이 스타일 ==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MVP Space]] 시절에는 오직 디바만 플레이했는데, 메카 유지력이 좋지 않았다. 하지만 이를 좋은 팀합으로 극복하며 종종 킬 로그에 등장하기도 했고, [[Lunatic-Hai \#1|Lunatic-Hai]]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뒀다. 특히 [[Meta Athena]]와의 16강 경기 2세트 왕의 길에서 성공적인 자폭 2킬로 Meta Athena의 공격을 2점에서 그치게 하며 3:0 승리에 이바지한 바가 있다. [[오버워치 HOT6 APEX 시즌 4]] 처음 [[MVP Space]] 로스터에 등장하여 16강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경기 기록이 많지 않다.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입단 이후 공개 테스트 경기에서는 월등히 좋아진 생존력과 다수의 결정 킬을 만들어내며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 공개 테스트 상대인 [[Element Mystic]]과의 경기에서는 아쉬운 결과를 냈지만, 앞으로 러너웨이 2기 선수들과 팀합 및 포커싱을 개선해 나간다면 충분히 해결될 문제로 보인다. 그리고,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에서 디바를 플레이하면서 [[러너웨이/오버워치|RunAway]] 멤버들과 팀합을 맞추며 높은 킬 결정력을 보여주었고, [[정희수(프로게이머)|HEESU]]의 중력자탄이나 [[김태성(프로게이머)|MAG]]의 대지분쇄에 훌륭한 호응을 하며 둘 이상의 자폭 킬을 자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3탱 3힐 조합의 키포인트 중 하나인 중력자탄을 잘 주시하지 않는 점은 [[Meta Athena]]의 [[최재훈(프로게이머)|훈]]이 한 게임 동안 1~2번 이상 자탄을 먹는 사실을 감안하면,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 2주차 vs WGS ARMAMENT 경기 4세트 도중 2거점 앞에서 중력자탄을 맞아 결국 거점을 먹힌 정황이 있는데, [[콕스]]는 이 부분에 대해 큐오큐가 "자탄에 관심이 없다"라며 지적했다.] 여전히 디바를 과격하게 쓰는 움직임은 보였으나, 결국 OWCK 2019 시즌 1 젠지전에서 아예 스토커의 자탄을 계속해서 매트릭스로 먹어치우며 자리야 견제와 자탄 이니시 블로킹에 공을 들이고 있는 모습이 보여졌고, 더해서 아군유지가 최상급 탱힐진과 더불어 상당히 잘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성장성이 상당히 빨라 공격적인 리틀 짜누로 평하는 이들도 있다. 무엇보다 재차 돌아온 OWCK 2019 시즌 1 7주차, EM전에서의 자탄 먹방은 보는 이를 감탄케 했다. == 사건사고 == === 경쟁전 욕설 === 경쟁전에서 일어난 논란. 당시 경쟁전을 돌리던 스트리머 주루가 아이헨발데에서 레킹볼을 하다 실수를 하여 게임이 말렸었다. 그러다 [[QoQ]]가 마이크를 키고 ''''저새끼 탱커장인 맞아? 존나 못하는데 시바?'''' 라고 발언을 하고, 당황한 주루에게 사과를 하였지만 게임 도중에 말하고 게임이 패배로 끝난다. 이후 주루가 채팅으로 '레킹볼 못해서 죄송하다'라는 채팅을 했지만 게임이 끝나고 바로 나가버렸다. 이후 친추를 보내면서 이야기라도 해보려고 했지만, 큐오큐가 친추도 거절한다. 이후 [[김태성(프로게이머)|매그]]와의 스트리머 주루와의 과거의 일이 수면 위로 올라오자, [[QoQ]]와 주루와의 일이 재조명되었다. 결국 러너웨이의 구단주 [[러너]]가 인벤에 사과하였다. 하지만 사과문을 본 여론은 사과문의 내용이 변명으로 일관되었다고 여겨 좋은 반응이 아니었다. >- QOQ선수 사과문 - >안녕하세요. QOQ입니다. >주루님과 경쟁전에서 만났을때 저는 다른 사람과 디스코드로 대화중이었는데 게임보이스가 꺼진줄 알고 "이색기 탱커장인 맞냐?" 라고 하고 욕을 했습니다.(욕은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시바가 들어간거 같습니다) >보이스가 꺼져있었든 켜있었든 욕한건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제 기억에는 당황해서 주루님에게 사과를 드렸었는데 제가 사과를 안했다고 하시니 제가 착각하는걸 수도 있습니다. >(그때 디코하던 선수에게 물어봤는데 사과한게 기억난다구 합니다. 그래도 못들으셨을 수도 있고 제가 마이크 끄고 >얘기했을 수도 있으니 다시한번 죄송합니다) [[http://www.inven.co.kr/board/overwatch/4538/5111152|러너 사과문]] [[http://www.inven.co.kr/board/overwatch/4538/5111796|관련 인벤 게시글]] == 여담 == * 2018년 10월 11일 꽃빈의 트위치 방송에서 러너웨이 2기의 첫 멤버로 발표되었다. * 닉네임인 QoQ는 발음이 부드럽지 않고 줄여 부르기도 애매했는데 꽃빈 방송 시청자가 꾸꾸브리핑에서 착안해 뀨뀨라고 부른 것이 호응을 얻은 후로 뀨뀨라고 불리기도 한다. * [[김민수(1995년 9월 30일)|콕스]]와도 악연이 있는 듯하다. 콕스가 자신이 인성으로 말할 처지는 아니지만 QoQ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다고 언급한 적 있는데, 위의 일화 때문에 안 좋은 쪽으로 조명받고 있다. [[분류:프로게이머/오버워치]][[분류:2000년 출생]][[분류:T1/이적 및 은퇴]][[분류:러너웨이/이적 및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