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위서(북조))] [include(틀:북사)] [목차] == 개요 == 游雅자는 백도(伯度)로 아명은 황두(黃頭). 광평군(廣平郡) 임현(任縣) 출신. == 생애 == 어린 시절에 학문을 좋아했고 남달리 뛰어난 재주를 지녔다. 431년, 유아는 고윤 등과 함께 이름을 알려서 [[태무제]]에 의해 등용된 뒤 중서박사(中書博士), 동궁내시장(東宮內侍長)을 역임했고 저작랑(著作郞)으로 전임되었다. 436년, [[송(남조)|유송]]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산기시랑(散騎侍郞)에 제수되고 광평현자(廣平縣子)에 봉해졌으며, 건위장군(建威將軍)이 더해졌다. 이후 태자소부(太子少傅)로 전임되고 금병을 거느렸으며, 작위가 후(侯)로 올라가고 건의장군(建義將軍)이 더해졌다. 451년, 중서시랑(中書侍郞) 호방회(胡方回) 등과 함께 조칙을 받들어 율령의 개정을 맡았다. 유이는 뒤에 산기상시(散騎常侍), 평남장군(平南將軍), 동옹주(東雍州) 자사로 전출되었고 임시로 양군공(梁郡公)에 봉해졌으며, 임지에서 청렴결백하게 행동했고 선정을 펼쳤다. 유아는 뒤에 비서감(秘書監)으로 임명되어 국사의 편찬을 맡았으나, 저술에 힘쓰지 않아서 결국 완성하지 않았다. 유아는 강직한 성격에 자신을 뽐내고 다른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것을 좋아했다. 고윤은 유아의 문학적 재능을 중시했지만 유아는 고윤의 재능을 경시했는데, 고윤은 성품이 너그러워서 이를 원망하지 않았다. 고윤이 장차 형씨(邢氏) 집안과 혼인하려고 하자, 유아는 고윤에게 자신의 집안과 혼인할 것을 권유했지만 고윤은 유아의 말을 따르지 않았다. 유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람들은 하간(河間)의 형씨(邢氏)를 높이지만 그는 광평(廣平)의 유씨(游氏)에게 미치지 못하오. 사람들은 각자 백도(伯度)를 버리지만, 나는 스스로 황두(黃頭)를 공경하오. 고윤이 징사송(徵士頌)을 지을 때 유아는 징사송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유아는 유학자 진기와 논의를 한 뒤 그에게 원한을 품어서 유아의 일족까지 싸잡아 비난한 일로 인해 당시 학자들로부터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유아는 461년에 죽어서 상주(相州) 자사로 추증되고 선후(宣侯)라는 시호를 받았다. [[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46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