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위대 역대 육상막료장)] ||<-2> '''{{{#fff {{{#ffffff 일본국 제36대 육상막료장}}} [br] {{{+1 湯浅 悟郎}}}[br]유아사 고로 | Yuasa Gor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아사 고로.jpg|width=100%]]}}} || ||<|2> '''출생''' ||[[1959년]] [[12월 6일]] || ||[[도쿠시마현]] || ||<|2> '''재임기간''' ||제36대 [[육상막료장]] || ||[[2019년]] [[4월 1일]] ~ [[2021년]] [[3월 25일]] || ||<-2> '''군사 경력''' || || '''임관''' ||방대 28(육사 40) || ||<|2> '''복무''' ||[[육상자위대]] || ||[[1984년]] ~ [[2021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육상막료장]] {{{-2 (육상자위대)}}} || || '''최종 보직''' ||[[육상막료장]] || || '''주요 보직''' ||제8사단 제21보통과연대장[br][[중부방면대|중부방면총감부]] 막료부장[br][[자위대]] [[서울지방병무청|도쿄지방협력본부장]][br][[육상막료감부]] [[군수참모|장비부장]][br]제9사단장[br][[육군참모차장|육상막료부장]][br][[서부방면대|서부방면총감]][br]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자위관. == 생애 == [[1959년]] [[토쿠시마]]현에서 태어났다. [[1980년]] [[방위대학교]] 28기([[육군사관학교]] 40기)로 입학했다. [[1983년]] 방대 28기(육사 40기)로 졸업과 동시에 임관하여 [[육상자위대]]에 입대했고 3등육위로 임관했다. 1등육좌(대령) 시절에 육상막료감부 인사부 보임과장을 지냈다. 즉 병과는 [[보병|보통과]]이다. [[2009년]]에 육장보로 진급했는데 이는 임관 후에 진급에서 한 번도 떨어지지 않아야 하는 수준.[* 자위대의 경우 [[위관급 장교]]에서 약 9.5년(졸업 직후 바로 임관이 아니라 간부후보생학교에서 반 년 이상 교육을 받고 소위가 된다. 그래서 기간이 애매.), [[영관급 장교]]에서 약 15년을 지내야 [[장성급 장교]]로 진출이 가능하다.]이다. [[2009년]] [[12월 7일]]에는 중부방면 총감부 막료부장으로 임명된 뒤 [[2011년]] [[8월 5일]] 서부방면총감부 막료부장으로 재직한뒤 [[2013년]] [[8월 27일]] 육상막료감부(육군본부) 장비부장으로 재직한 뒤 [[2015년]] [[3월 30일]]에 육장에 진급했다. 육장 진급 후 제9사단장을 지내고 [[2016년]] [[7월 1일]]에 육상막료부장([[육군참모차장]])으로 이동했으며 [[2017년]] [[8월 8일]]에 서부방면총감으로 이동했다. [[2019년]] [[4월 1일]]에 [[야마자키 코우지]]의 뒤를 이어 육상막료장([[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했다. 육상막료장(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하고 [[2021년]] [[3월 25일]] 후임자 [[요시다 요시히데]]에게 지휘봉을 물려주고 전역했다. 임기는 2년 가까이 정상적으로 채운 걸로 보이지만, 사실 거의 경질되었다. 육상자위대에서 수송력 강화를 위해, 수송함을 2023년에 도입하기로 하였는데 그러려면 보통 3년이 소요되어 2020년에 예산안에 반영이 되어야 한다. 유아사는 [[기시 노부오]] 방위상의 이런 의사결정을 무시하였고, 이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자신의 후임으로 [[다케모토 류지]] 서부방면총감을 밀었는데 방위상은 방위대학교 출신이 문제라 여겼는지 일반간부후보생 출신인 [[요시다 요시히데]]를 뽑았다. [[https://biz-journal.jp/2021/03/post_210929.html|#]] [[분류:일본의 자위관]][[분류:1959년 출생]][[분류:도쿠시마현 출신 인물]][[분류:방위대학교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