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사카키 유우야)]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YuyaSakaki-DULI.png|height=400]] >'''한국판 소개''' >---- >약소 듀얼 학원인 『유승 학원』에 다니는 14살 소년. 아버지인 『유승』같은 엔터테인먼트 듀얼리스트가 되는 것을 꿈꾸고 있다. 아버지에게서 받은 팬던트의 진자(펜듈럼)로부터 발동한 힘으로 펜듈럼 소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소환법의 선구자로서 한순간에 각광을 받게 된다. 에이스 몬스터는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목차] == 개요 == [youtube(rXO_Jf90vFI,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홍범기]] * '''일본판 성우''' : [[오노 켄쇼]]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듀얼 월드 (ARC-V) 해금 * '''캐릭터 해금 미션''' : 듀얼 월드 (DM) 스테이지 9 부터 진행 가능[* 캐릭터 해금 미션을 달성 시 듀얼 월드(ARC-V)도 같이 해금] ||
'''미션1''' ||레벨(랭크)7 이상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1회 일반 소환/특수 소환한다 || == [[https://www.evernote.com/shard/s395/sh/ce6abf09-bbab-4fe3-98bf-d64b15375e05/ee5d7e7a171e30836427f29ea8453314|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_S55QaIQUU,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nlhjufhCq4,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NnGdcL7u48,width=480,height=270)]}}}|| || {{{+1 '''한국어'''}}} || {{{+1 '''일본어'''}}} || {{{+1 '''영어'''}}} || * '''몬스터'''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오드아이즈 드래곤]], [[다크 레퀴엠 엑시즈 드래곤]],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 [[오드아이즈 판타즈마 드래곤]], [[오드아이즈#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 [[오드아이즈#오드아이즈 미라지 드래곤|오드아이즈 미라지 드래곤]], [[오드아이즈 랜서 드래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오드아이즈#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 [[EM 오드아이즈 유니콘]], [[EM 오드아이즈 싱크론]], [[오드아이즈#EM 오드아이즈 디졸버|EM 오드아이즈 디졸버]],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스워드 피시|EM 스워드 피시]], [[EM 디스커버 히포]],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프렌동키|EM 프렌동키]],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올커버 히포|EM 올커버 히포]], [[EM 윕 바이퍼]],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아멘보트|EM 아멘보트]],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헤이타이거|EM 헤이타이거]], [[EM 세컨동키]], [[EM 트럼프 위치]],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도라고양이|EM 도라고양이]], [[EM 깜짝 깨구리]],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치어몰|EM 치어몰]],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트램펄링크스|EM 트램펄링크스]], [[EM 트럼프 걸]],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리저드로우|EM 리저드로우]], [[EM 실버 크로우]],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락다운|EM 락다운]],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드라고 리모라|EM 드라고 리모라]],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파트나가|EM 파트나가]],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카레이드스콜피온|EM 카레이드스콜피온]], [[EM 멍키보드]], [[시간을 읽는 마술사]], [[별을 읽는 마술사]], [[마술사(유희왕)#상생의 마술사|상생의 마술사]], [[마술사(유희왕)#상극의 마술사|상극의 마술사]], [[마술사(유희왕)#각검의 마술사|각검의 마술사]], [[마술사(유희왕)#곡예의 마술사|곡예의 마술사]], [[마술사(유희왕)#강룡의 마술사|강룡의 마술사]],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브레이브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 [[조율의 마술사]], [[엔라이트멘트 파라딘]],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 '''마법''' : [[나선의 스트라이크버스트]], [[EM(엔터메이트)#EM 캐스트 체인지|EM 캐스트 체인지]], [[EM 드라마틱시어터#OCG|EM 드라마틱시어터]], [[EM(엔터메이트)#EM 팝업|EM 팝업]], [[EM(엔터메이트)#일루전 벌룬|일루전 벌룬]], [[EM(엔터메이트)#엔터메 밴드 허리케인|엔터메 밴드 허리케인]], [[EM(엔터메이트)#엔터메 플래시|엔터메 플래시]], [[초히포 카니발]], [[어메이징 펜듈럼]], [[스마일 월드]], [[스마일 유니버스]], [[스마일(유희왕)#스마일 액션|스마일 액션]], [[펜듈럼 스톰]], [[영혼의 펜듈럼]],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엔터메듀얼]], [[천공의 홍채]], [[모노마넨도]], [[원더 벌룬]], [[셔플 리본]], [[히포 카니발]], [[매지컬 스타 일루전#OCG|매지컬 스타 일루전]], [[드로우 머슬]] * '''함정''' : [[EM(엔터메이트)#EM 리바이벌|EM 리바이벌]], [[EM(엔터메이트)#EM 콜|EM 콜]], [[EM(엔터메이트)#EM 핀치헬퍼|EM 핀치헬퍼]], [[EM(엔터메이트)#EM 쇼다운|EM 쇼다운]], [[EM(엔터메이트)#급캔슬|급캔슬]], [[스마일(유희왕)#스마일 포션|스마일 포션]], [[펜듈럼 디멘션]], [[결별(유희왕)|결별]], [[분단의 벽]]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용맹하고 아름답게 빛나는 두 색의 눈동자''' || ||<-5> {{{+2 '''{{{#white 메인 덱}}}'''}}} ||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자그라|자그라]][br]x3 || N [[우정(유희왕)|우정]][br]x3 || N [[퓨저니스트#영험한 양|영험한 양]][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그늘의 협력자|그늘의 협력자]][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스픽|스픽]][br]x3 || || R [[용기의 깃발]][br]x1 || R [[파이어 볼(유희왕)#OCG|파이어 볼]][br]x1 || R [[함정 해제]][br]x1 || N [[레드 포션#OCG|레드 포션]][br]x1 || N [[블루 포션#OCG|블루 포션]][br]x1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1''' || [[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유야[br][[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용맹하고 아름답게 빛나는 두 색의 눈동자''' || '''16''' || SR [[EM 실버 크로우]] ||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 ||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3''' || R [[EM 디스커버 히포]] || '''18''' || UR [[오드아이즈 어드밴스 드래곤]] || '''33''' || UR [[EM 도크로배트 조커]] || || '''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25px]]: 유야 ||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오드아이즈 에볼루션''' || '''35''' || UR [[EM 도크로배트 조커]] || ||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21''' || UR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도라고양이|EM 도라고양이]] ||<-2><|10> || || '''7''' || SR [[EM 실버 크로우]] ||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23''' || R [[EM 디스커버 히포]] || ||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 ||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 '''10''' || UR [[오드아이즈 어드밴스 드래곤]][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25''' || SR [[EM 실버 크로우]] || || '''11''' || UR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도라고양이|EM 도라고양이]] ||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25px]]: 유야 ||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빛의 궤적-펜듈럼 소환''' ||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14''' || R [[EM 디스커버 히포]] ||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파일:듀링_아이콘.png|width=25px]]: 유야 (Ver.2) || '''30''' || UR [[오드아이즈 어드밴스 드래곤]][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스킬 == ||<-2>
[[파일:듀링스킬.png|width=20px]] {{{+2 '''{{{#white 레전드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용맹하고 아름답게 빛나는 두 색의 눈동자'''[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 외부에서 "[[별을 읽는 마술사]]", "[[시간을 읽는 마술사]]"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합니다.[br]②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2장 이하로 있을 경우,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합니다.[br]③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EM(엔터메이트)]]' 몬스터,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레벨 1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빛의 궤적-펜듈럼 소환'''[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자신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같은 세로열의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시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오드아이즈 에볼루션'''[br]① : 원래 카드명이 "[[오드아이즈 드래곤]]"인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펜듈럼 카드가 자신의 펜듈럼 존에 있지 않으며, 펜듈럼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공개합니다.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원래 카드명이 "[[오드아이즈 드래곤]]"인 몬스터 1장을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으로 바꾸고 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벌룬 플러스'''[br]① : "[[원더 벌룬]]"이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원더 벌룬]]"을 1장 고르고, 해당 카드에 벌룬 카운터를 1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스마일 월드''' [br]① :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덱 외부에서 "[[스마일 월드]]"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후, 상대의 다음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스마일(유희왕)|스마일]]' 마법 / 함정 카드 이외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엔터메 스테이지 체인지''' [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이하이고, '[[EM(엔터메이트)]]' 펜듈럼 몬스터,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펜듈럼 카드 2장이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펜듈럼 존에서 카드를 1장 선택하여, 해당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넣습니다. 그 후, 자신의 몬스터 존에 앞면 표시로 있고 원래 카드명에 '[[EM(엔터메이트)]]' 또는 '[[마술사(유희왕)|마술사]]' 또는 '[[오드아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을 수 있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엔터메 캐스트 체인지''' [br]① : 레벨이 다른 펜듈럼 몬스터 3장이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몬스터를 전부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고, 엑스트라 덱에 넣은 몬스터들의 원래 레벨의 합계와 같은 레벨이 되도록, 통상 소환 가능한 '[[EM(엔터메이트)]]' 펜듈럼 몬스터,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패에서 가능한 한 선택하여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EM(엔터메이트) 카니발''' [br]① : '[[EM(엔터메이트)]]'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EM(엔터메이트)]]'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EM(엔터메이트)]]' 몬스터 수 × 1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게이저'''[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EM(엔터메이트)]]' 몬스터,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몬스터가 합계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br][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별을 읽는 마술사]]" 또는 "[[시간을 읽는 마술사]]"가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는 경우, 듀얼 시작 후 3번째 턴 이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해당 카드를 패에 넣습니다.[br]③ : 이 스킬의 ②의 효과를 사용한 후, 상대의 다음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이 스킬의 ②의 효과로 자신의 패에 넣은 카드 및 그 카드와 같은 카드명을 가진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셔플'''[br]① : 펜듈럼 카드 2장이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고, 펜듈럼 몬스터가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카드를 모두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넣습니다. 그 후,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몬스터를 무작위로 2장 선택하여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놓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퓨전 or 어드벤트'''[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EM(엔터메이트)]]' 몬스터,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오드아이즈]]' 몬스터가 합계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br][br]①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고, 자신의 패에 "[[융합(마법 카드)#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융합]]" 또는 의식 마법 카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펜듈럼 존에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1장과 자신의 패에서 "[[융합(마법 카드)#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융합]]" 또는 의식 마법 카드 1장을 각각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립니다. 그 후, 이 스킬의 효과로 덱으로 되돌린 카드의 종류에 따라, 아래의 효과를 적용합니다. * "[[융합(마법 카드)#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융합]]" : 자신의 덱 외부에서 "[[오드아이즈 퓨전]]"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 * 의식 마법 카드 : 자신의 덱 외부에서 "[[오드아이즈 어드벤트]]"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각성의 섬광'''[br]이 스킬은 엑스트라 덱에 "[[엔라이트멘트 파라딘]]"을 포함하는 싱크로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하는 덱을 설정하고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 사용과 적용을 할 수 있습니다.[br][br]① : 듀얼 개시시에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자신 필드에 "[[마술사(유희왕)#각검의 마술사|각검의 마술사]]"가 존재할 경우, 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덱에서 "[[조율의 마술사]]" 1장을 패에 넣습니다. * 자신 필드의 레벨 3 이하의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의 레벨을 4로 합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고, 자신 필드의 마법사족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올립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싱크로 소환을 4번 실행합니다.]||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데스티니 드로우: 죽은 자의 소생'''[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이하일 때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덱에서 "[[죽은 자의 소생]]" 1장을 드로우합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하기 전, 공격력이 3,000 이상인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 이 스킬은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에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라이프 포인트가 2,500 이하인 상태로 승리를 3번 달성하세요.]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상극과 상생'''[br]① : 듀얼 개시시에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 ② : 듀얼 중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격력 2,500 이하의 '[[오드아이즈]]'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서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어, 패/덱에서 "[[마술사(유희왕)#상극의 마술사|상극의 마술사]]"와 "[[마술사(유희왕)#상생의 마술사|상생의 마술사]]"를 1장씩 펜듈럼 존에 놓습니다. 그 후, 자신의 펜듈럼 존의 "[[마술사(유희왕)#상생의 마술사|상생의 마술사]]"의 펜듈럼 스케일을 8로 합니다. [br]이 스킬은 레벨 4/7의 몬스터가 각각 5장 이상 존재하고, 덱의 몬스터가 전부 '[[EM(엔터메이트)]]', '[[오드아이즈]]' 몬스터 및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인 덱(엑스트라 덱을 제외하고)을 설정하여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만 사용과 적용할 수 있습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 캐릭터를 사용하여, 레벨(랭크) 7 이상의 드래곤족의 몬스터를 20회 일반 소환/특수 소환합니다.]||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구속의 끈'''[br]① :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해당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자신의 필드 위에 있는 몬스터 수 × 1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이 스킬은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드로우 센스: 마법/함정'''[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카드명이 다른 마법 / 함정 카드가 3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000 감소할 때마다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무작위의 마법 카드 또는 함정 카드를 드로우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체인지: 노멀'''[br]이 스킬은 덱에 일반 몬스터가 3종류 이상 존재하는 덱을 설정하고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 사용 및 적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듀얼 개시시에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일반 몬스터 카드 1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무작위로 그 카드와 카드명이 다른 일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습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펜듈럼 소환을 5번 실행합니다.]||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트리즌 팬텀'''[br]이하의 효과를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패에서 '[[팬텀 나이츠]]' 몬스터 총 2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그 중에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팬텀 나이츠]]'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냅니다. 이 턴에, 자신이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엑시즈 소환할 경우, '[[팬텀 나이츠]]' 몬스터의 레벨을 4로서 취급할 수 있습니다.[br]② : 자신 필드의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1장에서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립니다. 다음 상대 턴에 자신은 엑시즈 몬스터의 효과를 1번밖에 발동할 수 없습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랭크 4 이상의 드래곤족 엑시즈 몬스터를 3회 엑시즈 소환합니다.]||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유나이트'''[br]듀얼 개시 시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한다. 또한,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골라 펜듈럼 존에 놓고, 그 몬스터와 원래 이름이 다르고 원래 종족이 같은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펜듈럼 존에 놓는다. 그 후, 그 카드들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이 스킬을 사용하는 턴에 자신은 펜듈럼 소환 외에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br]이 스킬은 덱(엑스트라 제외)의 절반 이상이 같은 종족인 펜듈럼 몬스터 덱을 설정하고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레벨(랭크) 7 이상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1번의 듀얼 중에 3회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다.]||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레이징 펜듈럼'''[br]듀얼 개시시에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한다[br]또한 자신의 펜듈럼 존에 「[[EM(엔터메이트)]]」, 「[[마술사(유희왕)|마술사]]」, 「[[오드아이즈]]」 카드가 2장 존재할 경우, 엑스트라 덱에서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과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1장씩 상대에게 보여주고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br]덱 외의 「[[EM(엔터메이트)]]」 몬스터 3종류 중에 1장을 무작위로 패에 넣고, 패/덱에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1장과 「[[마술사(유희왕)|마술사]]」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 넣는다. 이 듀얼중에 자신이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을 엑시즈 소환할 때,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를 레벨 7 몬스터로서 취급할 수 있다.||평생 미션[*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3번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아카이브 스킬/스피드 듀얼)] == CPU == [[파일:SakakiYuya-DECK.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br]x2 ||<:> [[시간을 읽는 마술사]][br]x1 ||<:> [[별을 읽는 마술사]][br]x1 ||<:>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슬라이핸드 매지션|EM 슬라이핸드 매지션]][br]x1 ||<:> [[흉성의 마술사]][br]x1 || ||<:> [[EM 실버 크로우]][br]x1 ||<:> [[EM 깜짝 깨구리]][br]x1 ||<:>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카레이드스콜피온|EM 카레이드스콜피온]][br]x1 ||<:>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 이외)#EM 헤이타이거|EM 헤이타이거]][br]x1 ||<:> [[EM 디스커버 히포]][br]x1 || ||<:> [[마술사(유희왕)#천룡의 마술사|천룡의 마술사]][br]x1 ||<:>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골드 팽|EM 골드 팽]][br]x1 ||<:> [[EM 펜듈럼 매지션]][br]x1 ||<:> [[EM 도크로배트 조커]][br]x1 ||<:> [[마술사(유희왕)#용혈의 마술사|용혈의 마술사]][br]x1 || ||<:> [[원더 벌룬]][br]x1 ||<:> [[매지컬 스타 일루전#OCG|매지컬 스타 일루전]][br]x1 ||<:> [[초히포 카니발]][br]x1 ||<:> [[EM(엔터메이트)#급캔슬|급캔슬]][br]x1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오드아이즈 랜서 드래곤]] || SR [[흉성의 마술사]] || SR [[토이 매지션]] || SR [[구원의 마술사 거울]] || SR [[EM(엔터메이트)/효과 몬스터 (펜듈럼)#EM 치어몰|EM 치어몰]] || || SR [[매직 블래스트]] || R [[일루전 시프#OCG|일루전 시프]] || R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자그라|자그라]] || N [[데스 사탄]]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그늘의 협력자|그늘의 협력자]] || == 미션 == ||<-2><:>
[[파일:듀링_카드 슬리브.png|width=40px]] {{{+1 '''{{{#white 카드 슬리브}}}'''}}}|| ||<:>'''카드 슬리브: 유야'''||평생 미션[* "유야" 레벨 5 달성]|| ||<:>'''카드 슬리브: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평생 미션[* "유야" 100회 듀얼]|| ||<-2><:>[[파일:듀링_플레이매트.png|width=40px]] {{{+1 '''{{{#white 플레이매트}}}'''}}}|| ||<:>'''플레이매트: 유야'''||평생 미션[* "유야" 레벨 12 달성]|| ||<:>'''플레이매트: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평생 미션[*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100회 소환]|| ||<-2><:>[[파일:듀링_유희왕 카드 아이콘.png|width=30px]] {{{+1 '''{{{#white 카드}}}'''}}}|| ||<:>[[파일:覇王烈竜オッドアイズ・レイジング・ドラゴン.jpg|width=100]][br]'''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br]{{{-1 {{{#gray (레어도:엑스트라 프리미엄)}}}}}}||평생 미션[* 듀얼 월드(ARC-V)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10회 특수 소환] || == 평가 == '스마일 월드' 스킬은 코나미가 [[안수진(유희왕 듀얼링크스)|DM 안수진]]의 '듀얼 준비 완료!'의 전례를 망각했는지[* 높은 범용성 때문에 '첫 번째 턴에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란 너프를 받았다가 후술할 아마노이와토 고문덱이 성행했고 결국 첫 번째 턴 일반 소환 불가능이라는 추가 하향을 받았다. '밸런스' 등의 첫 패 조작 부류의 스킬들이 단체로 하향되었을 때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는 시기가 '첫 번째 턴 종료 시까지'가 아니라 '자신의 첫 번째 메인 페이즈가 끝날 때까지'인 것도 '듀얼 준비 완료!'의 전례 때문이다.] '스마일' 마법 / 함정 카드 외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 그리고 애초에 이 게임에 있는 "스마일" 마법/함정은 아직 스마일 월드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사실 스마일 월드 한 장 넣고 그걸 재외한 모든 효과의 발동을 봉인하는 것. 고문 덱이여도 대부분 [[패 트랩]]이나 함정카드에 의존하는 편인데 이쪽은 실패하면 다음 상대의 턴에 데미지를 막지도 못하고 그냥 발릴수도 있다.] 가 역으로 소환된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패로 되돌아가는 [[아마노이와토(유희왕)|아마노이와토]]의 디메리트를 무시하는 형태로 악용되고 있다. 다만 디메리트가 상대 턴 종료 시까지라 이와토를 케어해줄 마법/함정의 사용도 어느 정도 제한되기에 당하는 입장에서 끔찍하긴 해도, 그 시절의 명성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 위안거리. == 기타 == 유야 한정으로, [[펜듈럼 소환]]시에 진자가 움직이는 연출과 함께 펜듈럼 소환시 진자들이 등장한다. 펜듈럼 소환의 창조자라는 원작 설정을 재현한 듯. 유야라는 캐릭터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유저들 한정으로 '[[오동동(아따맘마)|동동이]]'라고 불리고 있다. [[성우 개그|성우가 같기 때문.]] 작중에서 [[패왕흑룡]]과 [[패왕열룡]]을 부를 때는 대부분이 다 위급한 상황이거나 분노한 상태여서인지 목소리가 무거운 편이었는데, 여기의 녹음본에선 상당히 밝게(...) 보이스가 나오다 보니 위화감이 드는 편. 패왕흑룡이야 라스트 듀얼에서 불렸을 때의 비슷한 사례가 있긴 한데 패왕열룡은...[* 소환 대사인 "분노의 화염으로 지상의 모든 것을 불태워라!"라는 말을 웃으면서 하니 오히려 섬뜩하다.] 2021년 10월 기준으로 유희왕 공식 트위터에서 역린 유야의 이미지 유출이 떴다. 아직까지 거의 2년이 지난 후 출시 소식이 없다. 2023년 5월 기준으로 유타와 함께 "레이징 펜듈럼" 스킬이 새로 생겼다.[* 패왕열룡을 소환하는 스킬.] 왜인지는 불명이나 풀네임은 신유야인데 성씨가 없다.[* 전작 주인공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유마]]도 성씨가 없다.] [각주]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ARC-V)]][[분류:사카키 유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