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width=100%]]||{{{#fff '''{{{+4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135호}}}'''[br]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35}}} ||}}} || ||<-6> [[파일:냉전기간 핵개발.svg|width=100%&bgcolor=#fff]][br]▲ 냉전 기간 동안의 국가별 핵무기 보유 수량 || || '''일자''' ||<-5>1960년 5월 27일 || || '''주제''' ||<-5>강대국의 비핵화 || || '''결과''' ||<-5>찬성 9표 채택 || ||<-6> '''참여국''' || || '''상임이사국''' || [[대만|중국[br][[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 [[프랑스|프랑스[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영국|영국[br][[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미국|미국[br][[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width=100%]]]] || [[소련|소련[br][[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width=100%]]]] || ||<|2> '''비상임이사국''' ||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100%]]]] || [[스리랑카|실론[br][[파일:스리랑카 국기(1951-1972).svg|width=100%]]]] || [[에콰도르|에콰도르[br][[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width=100%]]]] || [[이탈리아|이탈리아[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100%]]]] || [[폴란드 인민 공화국|폴란드[br][[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width=100%]]]] || || [[튀니지|튀니지[br][[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0년 2월 27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135호 결의안. == 내용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세계는 [[미국]]을 주죽으로한 [[제1세계]]와 [[소련]]을 주축으로한 [[제2세계]]로 나뉘었다. 미국과 소련은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더 많은 [[핵무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국제적 평화를 주제로 한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 정상 회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자 안전보장이사회는 각국 정부에 해결책을 강구할 것을 권고했으며 [[UN 헌장]]과 유엔 총회 결의안 제1378호에 따른 군축 및 핵실험 중단을 요청했다. == 투표 결과 == ||<#cefbc9> {{{#green '''찬성'''}}} ||<#ffa0a0> {{{#B40404 '''반대'''}}} ||<#FFE08C> {{{#ff4800 '''기권'''}}} ||<#ddd,#333> {{{#000,#eee '''불참'''}}} || || 9 || 0 || 2 || 0 || 폴란드, 소련이 기권했다. == 외부 링크 == * [[http://unscr.com/en/resolutions/135|유엔안보리 웹사이트 - 유엔 안보리 결의안 제135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a=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134호, b=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135호,c=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136호)] [[분류: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분류: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