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width=100%]]||{{{#fff '''{{{+4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8호}}}'''[br]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48}}} ||}}} || ||<-6> [[파일:유엔분할안.png|width=100%]][br]▲ 유엔 분할안에 따른 팔레스타인의 지도 || || '''일자''' ||<-5>1948년 4월 23일 || || '''주제''' ||<-5>팔레스타인 내전 || || '''결과''' ||<-5>찬성 8표 채택 || ||<-6> '''참여국''' || || '''상임이사국''' || [[중화민국|중국[br][[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 [[프랑스 제4공화국|프랑스[br][[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100%]]]] || [[영국|영국[br][[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미국|미국[br][[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100%]]]] || [[소련|소련[br][[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100%]]]] || ||<|2> '''비상임이사국''' ||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100%]]]] || [[벨기에|벨기에[br][[파일:벨기에 민간기.svg|width=100%]]]] || [[캐나다 자치령|캐나다[br][[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width=100%]]]] || [[콜롬비아|콜롬비아[br][[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100%]]]] || [[시리아|시리아[br][[파일:320px-Flag_of_Syria_(1932–1958,_1961–1963).svg.png|width=100%]]]]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SSR[br][[파일:1920px-Flag_of_the_Ukrainian_Soviet_Socialist_Republic_(1937-1949).svg.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8년 4월 23일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48호 결의안. == 내용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이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에서 군을 철수시키며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해체가 시작되었다. 1947년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 지역을 아랍계와 유대계로 나눈 분할안이 통과되자 아랍인들은 이에 반발했고 11월 30일, 아랍계 갱단이 버스에 탑승한 유대인들에게 총격을 가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팔레스타인 내전]]이 발발했다. 결의안 제48호에서는 팔레스타인인 단체와 유대인 단체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6호|결의안 제46호]]를 따라 휴전할 것을 요구했으며 이를 돕기 위해 [[예루살렘]]에 [[영사]]를 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엔 휴전 감독기구를 창립했다. == 투표 결과 == ||<#cefbc9> {{{#green '''찬성'''}}} ||<#ffa0a0> {{{#B40404 '''반대'''}}} ||<#FFE08C> {{{#ff4800 '''기권'''}}} ||<#ddd,#333> {{{#000,#eee '''불참'''}}} || || 8 || 0 || 3 || 0 || 콜롬비아, 우크라이나 SSR, 소련이 기권했다. == 외부 링크 == * [[http://unscr.com/en/resolutions/48|유엔안보리 웹사이트 - 유엔 안보리 결의안 제48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a=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7호, b=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8호,c=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제49호)] [[분류: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분류: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분류:이스라엘의 역사]][[분류:팔레스타인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