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호흡기내과 || || 관련증상 ||만성 기침, 호흡장애, 발열, 관절염 || || 포함질병 ||포도막염, [[부정맥]] || '''Sarcoidosis''' [[파일:external/img.medscapestatic.com/16989tn.jpg]] [목차] == 개요 및 원인 == [[類]][[肉]][[腫]][[症]] 여러 세포가 뭉친 염증 조직을 [[육아종]](granuloma)라고 하는데, 유육종증의 경우 비건락/비괴사성 [[육아종]](non-caseating granuloma)[* 건락 육아종의 경우, "치즈"같이 육아종의 안쪽이 하얗게 되어 괴사한 세포들이 발견되게 된다.][* 참고로 건락성/괴사성 육아종의 경우, [[결핵]] 등에서 발견된다]의 형태를 띈 염증 조직이 전신에서 발견되는 질병이다. 전신에서 발견될 수 있는 질병이지만, [[폐]]를 침범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고 그 외에도 [[안구]], [[피부]], [[신경]], [[심장]] 등에도 침투하여 관련 질병들을 일으키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흉부 X선 촬영을 통해 발견된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40세 이하의 [[흑인]] 여성들에게 자주 발병한다고 하며, 병의 경과가 좋아 75% 이상의 환자들이 이 질병에서 개선된다고 한다. == 증상 == 전신적으로 침투하는 질병이기에, 여러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력함, 발열, 식욕부진, 체중저하 등의 증상이 보이며,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간질성 폐 질환]]의 증상이 나타난다[* 호흡곤란, 기침 등]. 그 외의 증상들은 관련된 장기들로 나누어 서술한다. || 피부 || '''결절성 홍반(erythema nodosum)''' : 하지에서 발견되는, 완두콩 크기 정도의 결절인데 누르면 상당히 아프다고 하며 몇 주일에 걸쳐 그 크기가 줄어들다가 없어진다고 한다. || || 안구 || '''앞포도막염(anterior uveitis)''' : 포도막이란 안구의 홍채(iris), 모양체(ciliary body)와 맥락막(choroid)을 뜻하는데, 이곳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 '''[[결막염]](conjunctivitis)''' : 눈을 외부에서 감싸는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 || || 심장[* 심장에 침투하는 경향은 드물긴 하나, 유육종증이 사망에 이르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심장으로의 침투이다.] || '''[[부정맥]]''', '''급성사망''' || || 근육과 골력 || '''[[관절염]]''' || || 신경기관 || '''[[안면마비]](Bell palsy)''', '''울혈유두(papilledema)''', '''[[말초신경병]]''' || == 진단 및 치료 == 가장 먼저 흉부 [[X-ray]]를 통해 양쪽 폐문의 림파절증(bilateral hilar adenopathy)이 유육종증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난다[* 약 95% 이상의 환자에게서 보이는 현상]. 그 외 피부 무력증(anergy), 혈액 내 ACE 수치 증가, 과칼슘뇨증/고칼슘혈증(hypercalcinuria/hypercalcemia) 등이 보이기도 한다. 정확한 진단은 조직검사를 통해 내리며, 폐기능검사를 통해 [[간질성 폐 질환]]의 패턴을 찾아내기도 한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2년 안에 완화되기에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폐질환이나 심장, 피부 등에 침투하여 악화될 경우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게 된다. [[분류:질병]][[분류:육아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