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재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0번}}}''' || || 조학진[br](2015) || {{{+1 →}}} || '''유재유[br](2016~2017)''' || {{{+1 →}}} || [[문광은]][br](2018.8.1.~201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63번}}}''' || || [[최원준(1994)|최동현]][br](2017) || {{{+1 →}}} || '''유재유[br](2018)''' || {{{+1 →}}} || [[변시원|변진수]][br](2019)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19번}}}''' || || [[강동연]][br](2018.9.12.~2018) || {{{+1 →}}} || '''유재유[br](2019~2019.5.10.)''' || {{{+1 →}}} || [[권혁]][br](2019.6.7.~2019)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3번}}}''' || || [[라울 알칸타라|알칸타라]][br](2020) || {{{+1 →}}} || '''유재유[br](2021)''' || {{{+1 →}}} || [[박소준]][br](2022)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42번}}}''' || || [[윤명준]][br](2019~2021) || {{{+1 →}}} || '''유재유[br](2022~2022.7.10.)''' || {{{+1 →}}} || [[최지강]][br](2022.8.25.~)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산유재유.jpg|width=100%]]}}} || ||<-2> '''{{{+2 유재유}}}[br]柳在裕 | Yoo Jae-Yoo''' || ||<|2> '''출생''' ||[[1997년]] [[3월 3일]] ([age(1997-03-03)]세)||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갈산초등학교|갈산초]][* 인천 서림초에서 전학] - [[양천중학교|양천중]]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 '''신체''' ||181cm, 86kg||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 입단''' ||[[KBO 리그/2016년/신인 드래프트#s-3.2|2016년 2차 1라운드]] (전체 7번, [[LG 트윈스|LG]])|| || '''소속팀''' ||[[LG 트윈스]] (2016~2017) [br] [[두산 베어스]] (2018~2022)||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9~2021)|| || '''SNS''' ||[[https://www.instagram.com/jae_yu___9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에이전트''' ||[[https://www.instagram.com/yiseo_company/|[[파일:이서컴퍼니_logo.png|width=60]]]]|| || '''가족''' ||[[부모님]], 형, 외사촌동생 [[고우석]][* 유재유의 어머니가 고우석의 아버지와 남매이다.], 사촌 제수 이가현, 오촌 조카 고태현||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충암고 야구부에서 2승 2패 32이닝 36피안타 13볼넷 35탈삼진 10자책점, 평균자책점 2.81을 기록했다. 143km/h에 이르는 패스트볼이 주무기이다. 2015 제 27회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의 국가대표로 뛰었다. === [[LG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wnloadfile-104.jpg|width=100%]]}}} || ==== 2016 시즌 ==== 2016년 드래프트에서 2차 1라운드로 지명되었으나, LG 트윈스의 스프링캠프나 [[LG 트윈스/2군|2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하는 대신 입단 동기들과 함께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의 피칭아카데미에서 훈련을 받았다. 7월 1일 [[장진용]]이 말소되면서 프로 데뷔 처음으로 1군에 콜업되었다. 7월 3일 잠실 SK전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했다. 8회초 1아웃 상황에서 등판해 ⅔이닝 1피안타 무실점 기록했다. 7월 30일 창원 NC전에서 9회말 무사 1루에 타석에 들어선 [[박민우]]를 상대하다가 미끄러지는 바람에 투구 동작이 꼬여 꽈당 보크를 범하고 말았다. 그 결과 1루에 있던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가 2루로 갔다가 박민우의 땅볼을 틈타 3루로 갔고 그 다음 [[나성범]]을 상대하다가 폭투를 던져 김종호를 홈인시켜 1실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다만 나성범 땅볼과 [[조영훈]] 뜬공으로 더 이상의 출루 허용 없이 경기를 끝내기는 했다. 8월 3일 2군으로 내려갔다가 8월 25일 다시 1군으로 콜업되었다. 8월 31일 롯데전에서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선발 투수로 등판했으나, ⅓이닝 3실점으로 완벽히 실패한 성적을 올리고 말았다. 팀이 스코어 1:9로 대패하면서 패전 투수가 되었다. 9월 13일 부진한 [[신승현]]을 대체하여 1군으로 콜업되었다. 시즌 성적은 7경기 6⅔이닝 1패, ERA 13.50을 기록했다. ==== 2017 시즌 ==== 5월 16일 1군으로 콜업되었고 17일 KIA전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이 후 딱히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1군에서 단 3경기만 뛴 후 시즌을 마감하게 된다. 원래는 2017 시즌을 마치고 군대에 갈 계획이었다고 한다. 최종 성적은 3경기 5이닝 ERA 3.60. === [[두산 베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재유.jpg|width=100%]]}}}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76&aid=0003196273|[오피셜] 두산, 김현수 보상 선수로 '우완 유재유 지명']]''' LG로 이적한 외야수 [[김현수(1988)|김현수]]의 보상선수로 지명되었다. 구장은 같으나 옷만 바꿔 입은 격. 두산 이적 후 호주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었는데, [[함덕주]]와 룸메이트가 되었다. ==== 2018 시즌 ==== 3월 17일 시범경기에서 ⅓이닝만 던지고도 7회 7득점을 내준 타선 덕에 얼떨결에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18일 옆구리 부상을 당한 [[이용찬]] 대신 1군에 올라왔고, 18일 임시선발을 맡게 되었다. 아마도 [[이영하(야구선수)|이영하]]와 1+1 선발을 맡을 듯. 경기 내용은 2이닝 1실점으로 나쁘지 않았으나 손가락 물집부상으로 예상보다 더 빠르게 마운드를 내려오게 되었다. 그래도 희망을 봤다는 평이 주류. 5월 15일 한화전에 불펜등판해 1이닝 2피안타 1실점을 했다. 제구도 안 좋고 실점도 했으나 마지막 아웃카운트에 [[이성열(1984)|이성열]]을 삼진으로 돌려 세우는 장면은 기대할만한 대목. 간간히 1군에도 모습을 비췄지만 시즌 전체적으로는 퓨쳐스리그에서 [[박신지]]와 함께 착실하게 선발 수업을 받고 있다. 이천 베어스의 에이스 노릇을 하는 중. 9월 16일 다시 1군에 콜업되었다. 그러나 9월 28일 한화전 10회말에 등판하여 볼넷을 허용하고 안타를 맞으며 주자를 쌓다 결국 결승타를 얻어맞고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리고 10월 1일 말소되었다. 1군에서는 5경기 평균자책점 7.11로 다소 고전하기는 했으나, 2군에서는 주로 선발로 등판해 4승 5패 3.51의 좋은 평균자책점을 찍으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퓨처스리그에서 이닝당 볼넷 개수가 0.2개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 고무적이다. ==== 2019 시즌 ==== 5월 11일 군보류선수로 공시되었고 2021년 중반까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다. ==== 2021 시즌 ==== 소집해제 이후 6월 9일 이영하, [[박세혁]]과 같이 1군에 등록되었다. 6월 15일, 잠실 삼성전 5회초 1아웃 3루 상황에서 선발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의 뒤를 이어 시즌 첫 등판했으나 [[오재일]]에게 적시타를 허용하고 이후 2아웃 1, 2루 상황에서 [[김지찬]]의 타구를 맞고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814398&redirect=true|영상]] 2루 주자가 태그 아웃되며 이닝은 종료되었고, 최종 성적은 ⅔이닝 1볼넷 1피안타 무실점.[* 이날 상대 투수 [[김대우(1988)|김대우]]도 [[박건우]]의 타구를 맞고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광대 골절 진단을 받고 6월 16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10월 14일 kt전 9회초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10월 21일 SSG전에서는 8회말 2아웃 2루 상황에서 [[이교훈]]의 뒤를 이어 마운드에 올랐고, [[최주환]]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승계주자를 불러들였다. 더 이상의 추가 실점 없이 이닝을 마무리하며 최종 성적은 ⅓이닝 무실점. 10월 22일 SSG전 2회 1사 만루 상황에 등판하여 희생플라이로 [[추신수]]를 홈으로 들여보냈다. 이후 3회 2사까지 잘 잡았지만 볼넷-홈런-볼넷-홈런으로 격차를 벌여놓고 [[윤명준]]과 교체. ==== 2022 시즌 ====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임의해지 신청서와 굿바이두산 이라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다. 그리고 7월 11일 은퇴 기사가 게재됐다. [[https://sports.v.daum.net/v/20220711110457844|#]] 어깨 부상이 심해지면서 더 이상 야구를 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마지막에는 [[한국도핑방지위원회]]에 신청을 해서 주사 치료까지 받아 봤었다고 하지만 끝내 차도가 없어서 결국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등번호였던 42번은 [[최지강]]이 물려받았다. == 피칭 스타일 == 평균 142km/h, 최고 148km/h의 패스트볼과 더불어 깔끔하고 유연한 투구폼에서 나오는 포크볼, 커브, 슬라이더 등 다양한 변화구 레퍼토리가 인상적인 투수이다. 2017 시즌 퓨처스에서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21경기 1승 4패 5세이브 ERA 8.07), 볼넷은 적고 삼진은 많이 잡아내는 등 피해가기보다는 정면 승부를 즐기는 성향도 있었다. 어린 나이에도 마운드 위에서 표정의 변화가 크지 않고 위기관리 능력이 탁월한 것이 장점이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6 ||<|2> [[LG 트윈스|LG]] || 7 || 6⅔ || 0 || 1 || 0 || 0 || 0.000 || 13.50 || 10 || 2 || 7 || 3 || 10 || 10 || 2.55 || || 2017 || 3 || 5 || 0 || 0 || 0 || 0 || 0.000 || 3.60 || 6 || 0 || 4 || 1 || 2 || 2 || 2.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8 ||<|5> [[두산 베어스|두산]] || 5 || 6⅓ || 0 || 1 || 0 || 0 || 0.000 || 7.11 || 11 || 1 || 6 || 5 || 5 || 5 || 2.21 || || 2019 ||<-15> 1군 기록 없음 || || 2020 ||<-15> 군복무 ([[사회복무요원]]) || || 2021 || 4 || 3⅓ || 0 || 0 || 0 || 0 || - || 10.80 || 4 || 2 || 5 || 1 || 4 || 4 || 2.70 || || 2022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br](4시즌) || 19 || 21⅓ || 0 || 2 || 0 || 0 || 0.000 || 8.86 || 31 || 5 || 22 || 10 || 21 || 21 || 2.34 || == 여담 == * [[LG 트윈스]] 소속 [[고우석]]이 외종 사촌 동생이다. 그리고 고우석이 2023년 1월 [[이정후]]의 여동생 이가현과 결혼하면서 이정후 일가[* 이정후의 아버지인 [[이종범]]이야 말할 필요도 없는 한국 야구계의 래전드고, 이종범의 조카이자 이정후의 사촌형인 [[윤형준]]도 야구선수다.]와도 같은 야구인 집안이 되었다. * 얼굴이 래퍼 [[빈지노]]를 닮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동구(인천) 출신 인물]][[분류:양천중학교 출신]][[분류:충암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이종범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