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http://yjh.or.kr/|유재하 음악 장학재단 홈페이지 l 유재하음악경연대회 신청]] [[유재하]]의 사후 유족들은 1집인 "사랑하기 때문에" 의 수익금을 이용해 유재하 음악 장학회를 세우고 1989년부터 유재하 음악경연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2005년에는 재정 문제로 중단되었으나 2006년에 [[싸이월드]]의 후원으로 재개되었다. 2013년부터 싸이월드의 사세가 기울면서 스폰서를 구하지 못해 경연대회 개최가 힘들었으나, 100명에 가까운 이른바 '동문(역대 수상자들)'의 힘을 모아 겨우 개최가 가능하게 되었다. 근데 후원단체가 고정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계속 힘들어질 상황. 2015년부터 대기업인 CJ의 도움으로 앞으로도 개최할 수 있게 되었다. 유재하 음악경연대회는 그동안 수많은 음악인들을 배출해 냈다. 단순히 음악인이 아니라 한국 음악계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물들. 그 라인업이 대단한데 [[조규찬]], [[유희열]], 조윤석([[루시드폴]]), [[고찬용]], [[김연우]], [[이한철]], [[스윗소로우]], [[정준일]]. [[최유리]] 등이 대표적 인물이며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고, [[방시혁]]도 여기서 동상을 수상하였다. * 유재하의 모교인 [[한양대학교]] 백남음악관에서 개최된다. * 참가 자격 * 만 17세 이상 개인 혹은 팀 작사, 작곡, 편곡, 연주가 가능한 개인 혹은 팀 EP 1장 이하 발매 뮤지션 (기획사 소속 가능) 한국에서 연예활동이 가능한 자 * 유재하음악 대상, CJ문화재단상 수상자 지원 EP앨범은 타 지원프로그램의 지원으로 공동 제작 불가 * 과거에는 수상자에게 앨범 발매를 해주었다. 대표적으로 조규찬과 유희열도 이 기회를 통해 데뷔하였다. ==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수상자 중 대표적인 뮤지션 == 2회부터 금상 위에 대상이 추가되었다. 수상자 명단 전체가 궁금하다면 [[http://www.yjh.or.kr/History|홈페이지]] 참고. || '''회차''' || '''수상명''' || '''곡명''' || '''수상자''' || ||<|2> 1회 (1989년) || 금상 || 무지개 || [[조규찬]] || || 은상 || 나의 하늘 || 정혜선[* [[장윤정]]의 '어머나', [[슈퍼주니어]] 트로트의 '로꾸거' 등을 작곡한 윤명선씨의 부인이다.] || ||<|2> 2회 (1990년) || 대상 || 거리풍경 || [[고찬용]][* [[이소라(가수)|이소라]]가 데뷔하였던 보컬그룹 '낯선 사람들'의 리더. 천재 뮤지션으로 손꼽히는 인물이었지만 1996년 [[공황장애]]를 앓으면서 낯선 사람들이 해체되었고, 10년만인 2006년 솔로 1집을 발표하며 돌아온다.] || || 동상 || 소녀 이야기 || [[나들|박영렬]][* [[015B]] 3집에 객원 싱어로 참여했고, 바로 다음 대회 은상 수상자인 강현민과 함께 [[일기예보(그룹)|일기예보]]를 결성해 여러 히트곡을 남겼다.] || || 3회 (1991년) || 은상 || 작은 꿈 || [[강현민]]([[러브홀릭]]) || ||<|2> 4회 (1992년) || 대상 || 달빛의 노래 || [[유희열]][* 후에 유재하 음악경연대회 심사위원이 된다.] || || 은상 || 키 작은 나무 || [[심현보]] || ||<|6> 5회 (1993년) || 대상 || 계절 그 쓸쓸함 || 지영수[* 해당 대회 최초의 팀 단위 대상 수상자로 '아라'로 활동했고, 현 유재하 장학회 이사이며, 호원대학교 실용음악학부 전임교수], 허성안 || || 금상 || || 김석준 || || 은상 || 그루터기 || 정수월([[말로(재즈 뮤지션)|말로]]) || || 동상 || 당신의 눈빛의 의미 || [[이규호(가수)|이규호]] || || 동상 || 겨울이 오면(연주곡) || [[이한철]]([[불독맨션]])[* 그룹 '불독맨션''지퍼' 를 거쳐 현재는 솔로로 활동. 대표곡으로 [[슈퍼스타#s-8]], [[바티스투타]] 등이 있다.], [[윤영배]][* 기타리스트이자 포크 록 뮤지션. 네덜란드 기타 유학을 다녀온 후 오랫동안 프로듀서와 세션맨으로만 일하다가 2010년 1집을 냈다. 3집 '위험한 세계'로 2014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상을 포함한 3관왕을 받았다. [[제주도]]에서 농사를 지어 살고 있으며, [[이효리]] - [[이상순]] 부부의 제주도 정착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 || 동상 || 거울의 노래 || 조윤석([[루시드폴]]) || ||<|3> 6회 (1994년) || 은상 || 비 오는 날 || 길은경 || || 동상 || 연가 || [[방시혁]](작곡가, [[빅히트]] 프로듀서) || || 동상 || 가을에는 || [[오소영]] || ||<|2> 7회 (1995년) || 대상 || 나의 고백 || 나원주[* 정지찬과 함께 자화상이란 그룹으로 활동했었다. 그의 음악은 저평가 되었으나 작곡가, 편곡가로서는 알아준다. 이소라, 박정현, 성시경, 존박, 장나라 등의 노래의 작곡, 편곡에 참여하고 나는 가수다에서 박정현의 '이젠 그랬으면 좋겠네' 를 편곡했다.] || || 금상 || 다가오는 이별 || 김학철([[김연우]]) || || 8회 (1996년) || 대상 || 네가 날 볼수 있게 || [[정지찬(음악인)|정지찬]][* 작곡가 겸 가수. 나원주와 '자화상'이라는 그룹으로 활동했고, 현재 [[박원]](2008년도 유재하 음악제 '''대상''' 수상)과 함께 원모어 찬스로 활동 중.] || ||<|2> 9회 (1997년) || 대상 || 아이처럼 || 김혜능[* 불후의 명곡 ‘미망’을 남긴 ‘스토리’, ‘더 그린티’로 활동. 현 백석대학교 실용음악학부 전임교수] || || 은상 || 감사해 || [[전영호(키보디스트)|전영호]] || ||<|1> 10회 (1998년) || 은상 || 텅 빈 냉장고와 구멍난 양말 || 류휘만([[CROOVE]]) || ||<|1> 11회 (1999년) || 금상 || TELL ME MAMA || 전지한([[피터팬 컴플렉스]]) || ||<|2> 12회 (2000년) || 대상 || 그댈 남겨 둘게요 || 임재웅 || || 은상 || 그런 사람 || 김정환([[루빈]])[* 프로듀서이자 싱어송라이터] || ||<|4> 13회 (2001년) || 금상 || I wait for you || 곽유니(키스피아노) || || 동상 || 이를테면 || [[더필름|황경석(더필름)]][* '괜찮아', '사랑, 어른이 되는 것'이라는 노래로 많이 알려진 가수. ] || || 동상 || 바다이고 싶다 || 정보용(디지탈레코드 대표) || || 장려상 || 내 마음 속 풍경 || 장세용 || ||<|2> 14회 (2002년) || 은상 || 가려진 마음 || 임주연[* '하찌와 TJ' '우쿨렐레 피크닉' 등의 활동으로 알려진 조태준의 부인.] || || 동상 || rainy morning || 박경환([[재주소년]]) || ||<|3> 15회 (2003년) || 대상 || 사랑했는지 || [[허민(1981)|허민]] || || 금상 || 나 네게로 간다 || 곽은기(은휼) || || 동상 || 너의 기억 || [[임헌일]]([[메이트]]) || ||<|3> 16회 (2004년) || 대상 || sweet sorrow || [[스윗 소로우]][* 당시 심사위원인 유희열은 "'이렇게 연주하고 노래하는 그룹이 드디어 우리나라에서도 탄생하는구나' 하고 충격을 받았다. 결국 나를 포함한 심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대상의 영광을 안았던 팀" 이라고 스케치북에 스윗소로우가 출연했을 때 얘기했다.] || || 금상 || 세월은 걸음보다 빠르다 || 파란난장(장제헌, 빌리 어코스티)[* '파란난장'이란 밴드로 수상하였으나 현재 각각 작곡가와 싱어송라이터로 활동중.] || || 은상 || 내게 || [[정준일]] || ||<|3> 17회 (2006년) || 대상 || 마음을 다해 부르면 || 오윤아[* 유재하의 모교인 한양대학교 작곡과 졸업. 이후 보스턴 버클리 음대 재즈작곡과, 피아노과 졸업.] || || 은상 || 뒤돌아보다 || [[노 리플라이]] || || 동상 || Love Song || [[오지은(가수)|오지은]] || ||<|2> 18회 (2007년) || 대상 || 그대가 불러준 노래 || 울음 큰 새 || || 금상 || 왜일까 || 정동현 || ||<|2> 19회 (2008년) || 대상 || Like A Wonder || 아르페지오([[박원]]) || || 장려상 || 가누나 || [[박세진(옥상달빛)|박세진]]([[옥상달빛]]) || || 20회 (2009년) || 대상 || 空(공) || 둘이서 만드는 노래 || || 21회 (2010년) || 대상 || 하늘 || 하늘 || || 22회 (2011년) || 대상 || 독백 || 김거지([[김정균(음악인)|김정균]])[* 김거지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나, 2014년부터 본명 김정균으로 이름을 바꾸어 활동했다.] || || 23회 (2012년) || 대상 || 얼룩 || 조강지처 || ||<|5> 24회 (2013년) || 대상 || 서울여자 || 강민주 || || 금상 || 운다 || 이설아[* [[K팝 스타 시즌4]]에 나와서 화제가 된 인물] || || 동상 || 봄아 || [[홍이삭]] || || 동상 || 깊은 밤 || 다방(D'AVANT) || || 장려상 || 그대의 우주 || 이예린 || ||<|3> 25회 (2014년) || 대상 || 그 때 그 마음으로 || 이신영 || || 금상 || 꼬까신 || 조소정[* [[멜로망스]]가 소속되어있는 민트페이퍼 산하 레이블인 '광합성'에서 활동중이며, 아래 16년도 대상인 장희원과 합동콘서트를 가지기도 하였다.] || || 동상 || 한 여름밤의 꿈 || [[김므즈]] || || 26회 (2015년) || 대상 || 오아시스 || 공세영 || ||<|3> 27회 (2016년) || 대상 || 나무에 걸린 물고기 || 장희원팀(장희원)[* 장희원, 윤덕호로 이루어진 그룹이지만 현재는 장희원만 [[멜로망스]]가 소속되어 있는 민트페이퍼 산하 레이블 '광합성'에서 활동 중이다.] || || 동상 || 위로 || [[민수(가수)|김민수]] || || 장려상 || 취해서 그래 || [[박소은(가수)]] || ||<|3> 28회 (2017년) ||<|2> 금상[* 공동수상.] || Beautiful Night || 김지범(ZEEBOMB) || || 모화(母花) || 이호재팀 || || 동상 || 알지 못한 채 || [[시옷과 바람|허정혁]] || ||<|3> 29회 (2018년) || 대상 || 푸념 || [[최유리(가수)|최유리]] || || 동상 || 늦여름 || [[예빛|공예빈]] || || 동상 || 혼잣말 || [[시옷과 바람|해파]] || ||<|3> 30회 (2019년) || 대상 || 고향 || 김효진 || || 동상 || 하루종일 || [[제이유나]] || || 장려상 || 가득 빈 마음에 || 신지훈 || || 31회 (2020년) || 대상 || Blue || 터치드(Touched) || ||<|3> 32회 (2021년) || 대상 || 소년만화 || [[김승주(가수)|김승주]] || || 은상 || 날 두고 가버린 것들 || 김효린 || || 장려상 || 할아버지의 꽃 || 강민 || ||<|4> 33회 (2022년) || 대상 || A Brilliant Day || 황다정 || ||<|3> 동상[* 공동수상] || 밤, 꿈 || [[주태중]] || || 이름 없는 내일 || 이형주 || || 푸르른 이 여름 지나 || [[장은정]] || ||<|5> 34회 (2023년) || 대상 || 사랑하나보다 || 나르디스(Nardis) || || 금상 || 향수 || 김의엽 || || 은상 || 마주앉아 || 앤리(Anlee) || || 동상 || 가면놀이 || 한이 || || 장려상 || 너의 아름다움이 저물어간다 || 이스트워터(Eastwater) || [[분류:가요제]][[분류:유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