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모바일 레전드/영웅/역할군 정렬)] || {{{-1 {{{#fff 이전 영웅: [[루오 리|{{{#cefcfe 루오 리}}}]]}}}}}} || '''{{{#fff ▸ }}}''' || {{{-1 {{{#fff 다음 영웅: [[칼리드(모바일 레전드)|{{{#cefcfe 칼리드}}}]]}}}}}} || ||<-3> '''{{{#fff 모바일 레전드의 96번째 영웅}}}''' || ||<-3> {{{#gold {{{+1 '''유 정''', 흑룡 }}} [br] '''Yu Zhong''', Black Fierce Dragon }}} || ||<-3> [[파일:Yu_Zhong_wall.jpg|width=100%]] || || '''{{{#fff 역할군}}}''' || '''{{{#fff 포지션}}}''' || '''{{{#fff 특성}}}''' || || [[모바일 레전드/영웅#s-3.2|[[파일:ML-fighter.png|width=55]]]] [br] {{{#ffc1bc '''전사'''}}} || [[파일:EXPLaner.png|width=40]] {{{#gray | }}} [[파일:Roamer.png|width=40]] || {{{#fff 회복 / 대미지 }}} || ||<-3> {{{#fff 기타 정보}}} || || '''{{{#fff 소속}}}''' ||<-2> [[모바일 레전드/유니버스#s-2.7|{{{#44b2c1 '''카디아 강가'''}}}]]{{{#white :}}} [[모바일 레전드/유니버스#s-2.7.1|{{{#b4c35c '''용의 둥지'''}}}]] || || '''{{{#fff 출시일}}}''' ||<-2> {{{#fff 2020년 6월 19일}}} || || '''{{{#fff 성우}}}''' ||<-2> {{{#fff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px]] Cian Hoyne {{{#gray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아베카와 켄지로(Kenjiro Abekawa) }}} || || '''{{{#fff 영웅 가격}}}''' ||<-2> [[파일:BattlePoints.png|width=15px]] {{{-1 {{{#f3e2a9 32000}}}}}} {{{#gray | }}} [[파일:Diamonds.png|width=16px]] {{{-1 {{{#skyblue 599}}}}}} {{{#gray | }}} [[파일:HeroFragment.png|width=14px]] {{{-1 {{{#orange 120}}}}}} || ||
'''{{{#fff 영웅 소개 영상}}}''' || || [youtube(ULsrg07avgg, width=1000, height=400)] || ||<-3> '''{{{#8ec6f0 영웅 능력치}}}''' || || {{{#fff '''속성'''}}} || {{{#fff '''1레벨 능력치 [br] (+레벨 당 성장)'''}}} || {{{#fff '''15레벨 능력치'''}}} || || {{{#78e09a '''체력'''}}} || {{{#f0f0e7 '''2898'''(+215)}}} || {{{#f0f0e7 '''5908'''}}} || || {{{#78e09a '''체력 회복'''}}} || {{{#f0f0e7 '''11.8'''(+0.48)}}} || {{{#f0f0e7 '''18.6'''}}} || || {{{#789ce0 '''마나'''}}} || {{{#f0f0e7 '''-'''}}} || {{{#f0f0e7 '''-'''}}} || || {{{#789ce0 '''마나 회복'''}}} || {{{#f0f0e7 '''-'''}}} || {{{#f0f0e7 '''-'''}}} || || {{{#f5b35f '''공격력'''}}} || {{{#f0f0e7 '''129'''(+11.7)}}} || {{{#f0f0e7 '''293'''}}} || || {{{#f5b35f '''공격 속도'''}}} || {{{#f0f0e7 '''1.00'''(+0.78%)}}} || {{{#f0f0e7 '''1.11'''}}} || || {{{#99dd06 '''물리 방어력'''}}} || {{{#f0f0e7 '''21'''(+3.57)}}} || {{{#f0f0e7 '''71'''}}} || || {{{#e650ea '''마법 저항력'''}}} || {{{#f0f0e7 '''10'''(+1.64)}}} || {{{#f0f0e7 '''33'''}}} || || {{{#f5ecce '''사거리'''}}} || {{{#f0f0e7 '''1.0'''(-)}}} || {{{#f0f0e7 '''1.0'''}}} || || {{{#f5ecce '''이동 속도'''}}} || {{{#f0f0e7 '''245'''(-)}}} || {{{#f0f0e7 '''245'''}}} || ||<-3> '''{{{#gold 공식 평가}}}''' || || '''{{{#white 생존 능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9f5d0 80%, #2e2e2e 0%)" }}}|| || '''{{{#white 공격 능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9f5d0 72%, #2e2e2e 0%)" }}}|| || '''{{{#white 스킬 효과}}}'''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9f5d0 82%, #2e2e2e 0%)" }}}|| || '''{{{#white 난이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4.2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9f5d0 72%, #2e2e2e 0%)" }}}|| [목차] [clearfix] == '''영웅 특징''' == 설명 == '''스토리''' == > '''"우리가 서로를 진심으로 신뢰한다면, 우린 무적이 될 수 있어."''' > ---- > '''[[루오 리]]''' 흑룡의 모습으로 깨어난 유정은 처음에는 흑룡과 관련된 기억이 없었다. 대룡이 그를 제자로 받아들인 후, 유정은 모험을 찾아 여명의 대륙으로 갔고 그곳에서 루오 리를 만나 그녀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깨우쳤다. 그 후 유정은 흑룡의 역린을 되찾기 위해 금지된 구역으로 가 완전한 흑룡이 되었다. ---- {{{#!folding [ 스토리 전문 보기 ] [br] 설명}}} === '''마스터리 코드''' === > 플레이어가 구매하여 소유한 모든 영웅에는 '마스터리 코드'가 있습니다. 마스터리 코드는 영웅에 대한 숙련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총 4개의 챕터가 있습니다. 각 챕터에는 전투에서 수행할 수 있는 퀘스트와 함께 영웅별로 더 자세한 스토리가 담겨 있습니다. {{{+1 '''챕터 1: 정글의 법칙''' }}} > 스토리 내용 >---- > '''퀘스트: [용의 꼬리]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로 총 25000의 피해를 가하세요.''' >---- > [[파일:마스터리 코드.png|width=20px]] {{{#ca9514,#f3dea4 500}}} [[파일:성광 코인1.png|width=27px]]{{{#gray,#e7e7e7 2}}} {{{+1 '''챕터 2: 금지된 구역''' }}} > 스토리 내용 >---- > '''퀘스트: [샤 영향] 게이지를 가득 채우세요. 30회 완료.''' >---- > [[파일:마스터리 코드.png|width=20px]] {{{#ca9514,#f3dea4 600}}} [[파일:성광 코인1.png|width=27px]]{{{#gray,#e7e7e7 2}}} {{{+1 '''챕터 3: 역린[* 인게임 번역인 '역 스케일'은 오역으로, 영어로 Reverse Scale은 용의 역린(급소)을 뜻한다.]의 복원''' }}} > 스토리 내용 >---- > '''퀘스트: 동양의 전사([[조자룡(모바일 레전드)|조자룡]], [[벡시아]], [[링(모바일 레전드)|링]], [[완완(모바일 레전드)|완완]])를 상대로 승리하세요.[* 동양의 전사 4명 중 1명만 적팀에 있어도 퀘스트가 완료된다.] 3회 완료.''' >---- > [[파일:마스터리 코드.png|width=20px]] {{{#ca9514,#f3dea4 700}}} [[파일:성광 코인1.png|width=27px]]{{{#gray,#e7e7e7 2}}} {{{+1 '''챕터 4: 흑룡의 귀환''' }}} > 스토리 내용 >---- > '''퀘스트: [용의 형태][* 궁극기 종료 후 10초 동안]가 지속되는 동안 트리플 킬을 달성하세요. 3회 완료.''' >---- > [[파일:마스터리 코드.png|width=20px]] {{{#ca9514,#f3dea4 800}}} [[파일:성광 코인1.png|width=27px]]{{{#gray,#e7e7e7 4}}} === '''인물 관계''' === || [[루오 리|[[파일:Luo_yi-icon.png|width=60px]]]] ||{{{#1d5bb2,#92b6ff '''루오 리''' }}} [br][br] 설명 || || [[완완(모바일 레전드)|[[파일:wanwan-icon.png|width=60px]]]] ||{{{#b23c1d,#ffa992 '''완완''' }}} [br][br] 설명 || || [[조자룡(모바일 레전드)|[[파일:Zilong-icon.png|width=60px]]]] ||{{{#b23c1d,#ffa992 '''조자룡''' }}} [br][br] 설명 || || [[벡시아|[[파일:Baxia-icon.png|width=60px]]]] ||{{{#b23c1d,#ffa992 '''벡시아''' }}} [br][br] 설명 || || [[링(모바일 레전드)|[[파일:Ling-icon.png|width=60px]]]] ||{{{#b23c1d,#ffa992 '''링''' }}} [br][br] 설명 || == '''대사''' == 모바일 레전드에서 가장 말이 많은 영웅. 특수 대사를 포함하여 총 27개의 서로 다른 대사가 있으며, 본섭 출시 전에는 무려 31개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NHG_UHe5o1E| 영어 음성]] [[https://www.youtube.com/watch?v=cOMnHDw1-rM| 일본어 음성]] > '''영웅 선택 시'''[br] '''[[조조|"I would rather betray the world, than let the world betray me."]]''' [br] (차라리 내가 천하를 등질지언정, 천하가 나를 등지게 하지는 않겠다.) > '''"Kindness is the surest path to ruination."''' [br] (친절함은 파멸로 이끄는 가장 확실한 길이다.) > '''랜덤 재생 대사'''[br] '''"Justice, what a pretty word to fool the weaklings."''' [br] (정의라, 약자들을 기만하기 위한 얼마나 예쁜 말인가.) > '''"Fret not, you can't escape the inevitable."''' [br] (초조해 할 것 없어, 운명으로부터 결국 벗어날 수 없거늘.) > '''"Doubt my intentions as you please, in the end, only the victor will be remembered."''' [br] (내 목적을 의심하는 것은 네 자유다. 결국 승자만 기억될 것이니.) > '''"Give me a break or you will suffer a miserable death."''' [br] (멈추지 않으면, 너는 비참한 죽음을 맞게 될 거다.) > '''"I only demonstrate my true strength when necessary."''' [br] (나는 필요할 때만 모든 힘을 발휘하지.) > [[프리드리히 니체|'''"What doesn't kill me makes me even stronger."''']] [br]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들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 '''"Stubbornness would be your undoing, Great Dragon."''' [br] (대룡이여, 당신의 완강함은 결국 당신의 패배를 초래할 것이오.) > '''"I don't give a damn if the world is against me."''' [br] (세상이 나를 버린다고 해도 그건 내 알 바 아니야.) > '''"Me? No, It's you who put yourselves in danger."''' [br] (나? 아니, 너를 위험에 빠뜨리는 건 너 자신이야.) > '''"Hmm.. There is no right or wrong, only consequences."''' [br] (옳고 그름이 아닌 오직 결과만이 있을 뿐.) > '''"In time, the world will bow before me!"''' [br] (곧 천하는 내 앞에 고개숙일 것이다!) > '''"Nonsense! Dragon Altar is the true peril of Cadia Riverlands."''' [br] (어처구니 없구나! 용의 제단이야말로 [[모바일 레전드/유니버스#s-2.7|카디아 강가]]의 진정한 위협이다.") > '''"Soon, a new world will be dawning."''' [br] (곧 새로운 세상이 개벽할 것이다.) > '''스킬 사용 시'''[br] '''"Suffer!"''' [br] (고통받거라!) > '''궁극기 사용 시'''[br] '''"The Black Dragon has arisen!"''' [br] (흑룡이 깨어났다!) > '''흑룡 상태에서의 대사'''[br] '''"My conquest starts from now!"''' [br] (나의 정복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 '''"The Black Dragon has arrived!"''' [br] (흑룡이 도착했다!) > '''"Reverse scales are taking over me!"''' [br] (역린이 나를 장악하고 있다!) > '''"I don't take chances! I am the inevitable!"''' [br] (나는 가능성을 재지 않아, 나는 불가항의 존재야!) > '''영웅 사망 시'''[br] '''"Is it my fate to fall on this day.."''' [br] (오늘 패배하는 것이 내 운명인가..) > '''"Ah... So close to the grand victory.."''' [br] (아.. 위대한 승리를 아깝게 놓쳤군...) > '''삭제된 대사'''[br] '''"Hmph, fighting beside you is the last thing I would've expected."''' [br] (흠, 당신 곁에서 싸우는 것이 내가 기대했던 마지막 일이오.") > '''"Ahh, Didn't think I'd fight my brethren someday."''' [br] (아, 언젠가 내 형제들과 싸울 줄은 몰랐지.") > '''"There is only one of us who can rule Cadia Riverlands, Great Dragon."''' [br] (대룡이여, [[모바일 레전드/유니버스#s-2.7|카디아 강가]]를 지배할 수 있는 자는 오직 하나뿐이오. > '''"Mercy helps nothing in this world, the weak is meant to be eliminated."''' [br] (자비로움은 이 세상에서 쓸모없으며, 약자는 결국 축출되어야 할 대상일 뿐이다.") === 특수 대사 === 동양의 전사 영웅이 상대 팀에 있을 때 출력되는 대사의 목록이다. 서로 가까이 접근하거나 공격하면 발동한다. > '''동양의 전사 영웅과 상호작용 시: '''[br] '''"[[조자룡(모바일 레전드)|Zilong]], your kindness is worth nothing."''' [br] ([[조자룡(모바일 레전드)|조자룡]], 너의 친절함은 쓸모없어.) > '''"You are doomed to fail for your banality and cowardice, [[벡시아|Baxia.]]"''' [br] (진부함과 비겁함 때문에 결국 실패할 운명이군, [[벡시아]].") > '''"Both you and me have walked on a path of no return, [[링(모바일 레전드)|Cyan Finch]]."''' [br] (너와 나 모두 돌아갈 수 없는 길을 걸었다, [[링(모바일 레전드)|시안 핀치]].") > '''"Don't be blinded by the appearance of this benighted world, [[완완(모바일 레전드)|Wanwan.]]"''' [br] (미개한 세상의 모습에 눈이 멀지 않기를 바란다, [[완완(모바일 레전드)|완완]].) == '''스킬''' == === '''패시브: 저주의 접촉''' === ||
[[파일:Yu_Zhong-PSV.png|width=50px]] || '''{{{#gold 저주의 접촉 (Cursing Touch)}}}''' [br] {{{-1 {{{#!html 버프}}} {{{#!html 버스트 딜 }}}}}} || ||<-2> {{{#f0f0e7 유정은 적에게 피해를 가할 때마다 {{{#a79dd6 샤 영향}}}을 얻습니다. 가득 채울 시 유정은 30%의 {{{#57b4e1 추가 이동 속도}}}와 10%의 추가 {{{#78e09a 스킬 흡혈}}}을 얻습니다. [br][br] 유정은 적 영웅에게 피해를 가할 때마다 대상에게 {{{#a79dd6 샤 조각}}}을 남깁니다. {{{#a79dd6 샤 조각}}}은 5번 중첩되면 활성화되며, 조각이 없어질 때마다 대상은 30{{{#f5b35f (+20% 추가 물리 공격력)}}} + {{{#d85200 '''대상의 잃은 체력의 2%'''}}}의 {{{#ff8f74 물리 피해}}}를 두 번 입고 유정은 잃은 체력의 6%를 {{{#78e09a 회복}}}합니다. [br][br] {{{#a79dd6 샤 영향}}}은 활성화된 후 6초에 걸쳐, {{{#a79dd6 샤 조각}}}은 활성화된 후 0.5초마다 하나씩 급속히 사라지지만, 적에게 피해를 입힐 때마다 {{{#a79dd6 샤 영향}}}과 {{{#a79dd6 샤 조각}}}을 일시적으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 }}} || ||<-2>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wFtVH7TaH5Y, height=180)]}}} || 여러 성능을 죄다 갖다붙인 패시브라 굉장히 복잡하며, 어수선한 번역까지 겹치면서 난해한 부분이 있다. 용어 정리부터 하자면, 문서에는 ''''샤 조각''''이라는 용어와 ''''샤 영향''''이라는 용어 두 개만을 사용하였다. '''샤 조각'''은 적에게 가해지는 중첩의 이름으로, 파티클 이펙트와 함께 적 영웅의 발밑에 새겨진다. 이것이 5번 쌓이면 폭발하며 0.5초마다 하나씩 사라진다. 이 기간 동안 유정은 추가 공격으로 스택을 계속 누적시킬 수 있으며,[* 기본 공격이 0.5초 이하마다 발동하도록, 즉 공격 속도를 2.00 이상으로 맞춘 공속 빌드를 타면 이론상으로는 무한히 패시브를 발동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유정의 공격 속도는 굉장히 느린 편이므로 유의미한 빌드는 아니다.] 활성화되는 동안 0.25초마다 대상의 잃은 체력에 비례한 물리 피해를 주고, 유정이 샤 조각을 흡수하면 잃은 체력에 비례해 회복한다. 두 번째 '''샤 영향'''은 체력바 밑에 위치한 게이지의 이름으로, 가득 채울 시 보라색으로 빛나며 유정에게 추가 이속과 피흡을 제공한다. '''샤 영향''' 역시 추가 공격으로 누적시킬 수 있다. 샤 조각과 샤 영향은 기본 공격과 스킬로 중첩시킬 수 있지만, 아이템의 패시브 효과[* 칼날 갑옷의 복수 딜이나 저주받은 투구의 지속 대미지]나 복수 스펠의 대미지로는 발동하지 않는다. === '''스킬 1: 용의 꼬리''' === ||
[[파일:Yu_Zhong-Q.png|width=50px]] || '''{{{#gold 용의 꼬리 (Dragon Tail)}}}''' [br] {{{-1 {{{#!html 그룹 피해}}}}}} || ||<-2> {{{#f0f0e7 유정이 권세를 망토에 불어넣어 무기로 변환시킵니다. 잠시 후 그는 망토를 휘둘러 내부 영역에 있는 적들에게 200{{{#f5b35f (+100% 추가 물리 공격력)}}}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히고 {{{#a79dd6 샤 조각}}}을 1회 중첩시키며, 날카로운 가장자리에 맞은 적들에게 250%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히고 {{{#a79dd6 샤 조각}}}을 2회 중첩시킵니다. [br][br] 용의 꼬리는 미니언에게 40%의 {{{#78e09a 스킬 흡혈}}}만 적용됩니다.}}} || ||
{{{#f0f0e7 [[파일:재사용 대기 시간.png|width=10px]] {{{}}} 7.0 / 6.5 / 6.0 / 5.5 }}} || {{{#f0f0e7 {{{#5ba6ff ■}}}{{{}}} - }}} || ||<-2> {{{#f0f0e7 200 / 260 / 320 / 380 {{{#f5b35f (+100% 추가 물리 공격력)}}} - 내부 영역 피해량 }}} || ||<-2> {{{#f0f0e7 '''500 / 650 / 800 / 950 {{{#f5b35f (+250% 추가 물리 공격력)}}} - 가장자리 피해량''' }}} || ||<-2>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_Xvohdccbeg, height=180)]}}} || 사용 시 0.75초의 선딜레이 후 망토를 휘둘러 구역 내의 적들에게 물리 피해를 입힌다. 선딜이 있지만 정신 집중은 아니기에 기본 공격을 제외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스킬 범위 가장자리로 맞춘 적에게 추가 피해가 들어가는 특징 때문에 적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며, 상황에 따라 돌진기나 점멸과 연계하기도 한다. 부가 효과는 전혀 없지만, 피해량이 뛰어나며 패시브 스택을 쌓기 용이해 대부분 선마한 후 라인전에서 활용하는 스킬이다. 가장자리로 맞추면 스택 두 개가 한꺼번에 쌓이기 때문에 평타 두세 방 날리고 견제용으로 긁어 주면 패시브를 쉽게 터뜨릴 수 있다. 한타 상황에서도 스택을 잘 쌓아놓았다면 망토 한방으로 광역 피흡을 할 수도 있다. 단점으로는 시전 시간 동안 상대가 대처할 수 있다는 것. 민첩한 영웅들은 범위 밖으로 빠져나가거나, 근딜들은 거리를 좁혀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 '''스킬 2: 영혼 지배''' === ||
[[파일:Yu_Zhong-W.png|width=50px]] || '''{{{#gold 영혼 지배 (Soul Grip)}}}''' [br] {{{-1 {{{#!html 제어}}} {{{#!html 대시 }}}}}} || ||<-2> {{{#f0f0e7 유정이 용의 영혼을 해방해 일직선 상의 적들에게 150{{{#f5b35f (+120% 추가 물리 공격력)}}}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히고 1초 동안 60% {{{#c8ad19 둔화}}}시킵니다. 목표를 맞추면, 유정의 다음 기본 공격은 강화되어 하나의 대상에게 108{{{#f5b35f (+120% 추가 물리 공격력)}}}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br][br] 강화된 기본 공격은 {{{#gold '''영혼 지배'''}}}로 맞힌 적의 수에 따라 피해량이 최대 200%까지 증가하며, 맞힌 대상에게 {{{#a79dd6 샤 조각}}}을 최대 5회까지 중첩시킬 수 있습니다. }}} || ||
{{{#f0f0e7 [[파일:재사용 대기 시간.png|width=10px]] {{{}}} 14 / 13 / 12 / 11 }}} || {{{#f0f0e7 {{{#5ba6ff ■}}}{{{}}} - }}} || ||<-2> {{{#f0f0e7 150 / 200 / 250 / 300 {{{#f5b35f (+120% 추가 물리 공격력)}}} }}} || ||<-2> {{{#f0f0e7 108 / 144 / 180 / 216 {{{#f5b35f (+100% 전체 물리 공격력)}}} ~ 216 / 288 / 360 / 432 {{{#f5b35f (+200% 전체 물리 공격력)}}} - 강화된 기본 공격의 피해량 }}} || ||<-2>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tkt6cpWhWik, height=180)]}}} || 스킬 툴팁이 이상하게 설명되어 있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전방의 적을 공격하는 '''용의 해방''' 스킬로 적 영웅 다수(몬스터, 미니언 포함)를 맞힐 경우, 맞힌 적 하나당 강화된 기본 공격의 물리 피해는 40% 증가하고, 기본 공격을 가하는 적에게 '''샤 영향'''을 추가로 1스택 부여한다. 즉, '''용의 해방'''으로 적 5명을 맞힐 경우, 기본 공격의 피해량은 200%, '''샤 영향'''은 5스택 증가한다. === '''스킬 3: 맹렬한 다이브''' === ||
[[파일:Yu_Zhong-E.png|width=50px]] || '''{{{#gold 맹렬한 다이브 (Furious Dive)}}}''' [br] {{{-1 {{{#!html 제어}}} {{{#!html 대시 }}}}}} || ||<-2> {{{#f0f0e7 유정이 지정된 구역으로 도약하고, 구역 내의 적들에게 180{{{#f5b35f (+90% 추가 물리 공격력)}}}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히고 조이스틱 방향으로 짧게 돌진합니다. [br][br] 1초 후, 지면이 폭발하며 구역 내에 남아있는 적들에게 동일한 {{{#ff8f74 물리 피해}}}를 한번 더 입히고 1초 동안 {{{#c8ad19 공중으로 띄웁니다.}}} [br][br] {{{#gray ''나는 이 기술을 [[완완(모바일 레전드)|한 소녀]]에게 전수한 적이 있습니다.''}}} }}} || ||
{{{#f0f0e7 [[파일:재사용 대기 시간.png|width=10px]] {{{}}} 12 / 11.5 / 11 / 10.5 }}} || {{{#f0f0e7 {{{#5ba6ff ■}}}{{{}}} - }}} || ||<-2> {{{#f0f0e7 180 / 210 / 240 / 270 {{{#f5b35f (+90% 추가 물리 공격력)}}} }}} || ||<-2>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l8oNYeYiPUI, height=180)]}}} || 도약 후 에어본이라는 점에서 귀네비어의 [[귀네비어(모바일 레전드)#s-4.3|공간 이동]]과 비슷하지만, 맹렬한 다이브는 선딜이 긴 대신 범위가 더 넓다. 인게임 내 오류가 있다. 스킬 3은 3번 찍을 수 있는 것처럼 되어있지만 정상적으로 4번 찍는 게 가능하다. === '''궁극기: 흑룡 상태''' === ||
[[파일:Yu_Zhong-ULT.png|width=50px]] || '''{{{#gold 흑룡 상태 (Black Dragon Form)}}}''' [br] {{{-1 {{{#!html 변형}}} {{{#!html 버프}}}}}} || ||<-2> {{{#f0f0e7 0.6초의 정신 집중 후, 유정은 7초 동안 흑룡으로 변신하여 {{{#78e09a 최대 체력}}}을 600{{{#f5b35f (+200% 추가 물리 공격력)}}}만큼 증가시키고, {{{#57b4e1 추가 이동 속도}}}를 얻습니다. 이동하는 동안 그는 {{{#ff489e 지형을 무시}}}하고 {{{#ff489e 모든 군중 제어 효과에 면역}}}이 되며, 길목에 있는 적들에게 180{{{#f5b35f (+80% 전체 물리 공격력)}}}의 {{{#ff8f74 물리 피해}}}를 입히고 {{{#c8ad19 뒤로 밀쳐냅니다.}}} [br][br] 7초 후, 유정은 착지하며 10초 동안 {{{#5760e1 '''흑룡의 형태'''}}}에 돌입합니다. {{{#5760e1 '''흑룡의 형태'''}}}가 지속되는 동안, 유정은 모든 스킬의 {{{#f5ecce 사거리와 범위}}}를 증가시킵니다. [br][br] {{{#gray ''흑룡의 형태가 종료되면, 유정의 최대 체력과 스킬 사거리는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 || ||
{{{#f0f0e7 [[파일:재사용 대기 시간.png|width=10px]] {{{}}} 85 / 75 / 65 }}} || {{{#f0f0e7 {{{#5ba6ff ■}}}{{{}}} - }}} || ||<-2> {{{#f0f0e7 600 / 800 / 1000 {{{#f5b35f (+200% 추가 물리 공격력)}}} - 최대 체력 증가 }}} || ||<-2> {{{#f0f0e7 180 / 245 / 310 {{{#f5b35f (+80% 전체 물리 공격력)}}} }}} || ||<-2> {{{#!wiki style="width: 320px; margin: 0px auto;" [youtube(rL50vTzdZNA, height=180)]}}} || 인게임 내 오류가 있다. 스킬을 4번 찍을 수 있는 것처럼 표시되지만, 3번까지만 배울 수 있다. 또 스킬 툴팁에 적혀 있는 무적 상태는 오류며, 궁극기 형태에서도 온전한 피해를 받는다. 과거에는 무적 상태였지만, 사기성이 짙어 너프되었다. 종합선물세트 스킬답게 모바일 레전드 내에서 가장 긴 쿨타임도 특징. 갖춘 성능들을 보기 좋게 나열해 놓고 보면 '''지속 피해, 넉백, 이속 증가, 감속 면역, CC 면역, 지형 무시, 최대 체력 증가, 사거리 증가'''로 공격, 수비, 로밍, 이니시, 한타, 추노, 다이브, --딸피 추격-- 등 무수한 전투 상황 속에서 활용할 수 있다. 과거 [[하리스(모바일 레전드)|하리스]]의 스킬셋에 필적할 정도. 그렇지만 유정의 궁극기는 쿨타임이 세배 가까이 되므로 너프 정도로--(?)--[* 하리스는 모바일 레전드를 통틀어 가장 너프를 많이 당한 영웅 독보적 1위다. 체력부터 스킬 성능까지 무수히 많은 핫픽스와 너프로도 밸런스가 잡히지 않던 그시절 적폐 하리스 전성기를 경험해 본 유저들이라면 공감할 만하다.] 밸런스가 해결되었다. 용 변신 후 타이밍을 잘 맞춰 포탑으로 들어간 후 착지하여 이동하지 않으면 '''포탑 공격을 맞지 않는 버그'''가 존재한다! 그러나 멈춰 있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실제 전투에서 사용하기 힘들며, 발동도 매우 드물다. 참고로 하리스 맞먹는 너프를 먹었다. 아주 심하게 패시브는 발동 시간이 1초나 너프되고 회복량이 절반 이상으로 너프됐으며 2스는 쿨타임이 3초 너프되었고 궁극기는 데미지감소와 용의 형태 지속시간이 너프되었고 심지어는 궁극기 쿨타임이 초반 70~80으로 너프되었다. 하지만 몇몇 유저는 필벤이여더 사용하지 못하였던 시절보다 지금이 전성기라고 하며 실제로도 지금도 최상위 티어에 속할만큼 좋다. 하지만 너프전에 비하면 매우 약해진 것이다. 안젤라와 함께 궁을 쓰면 그냥 5대1은 씹어먹는다. 물론 초기에 나왔을때 == '''평가''' == '''한줄 정리''' 모바일 레전드 세계관에서 동양의 전사 등장 후 최종보스격으로 나온 영웅답게 스킬셋이 말이 아니다. 한마디로 개사기. 처음 나올때부터 5대1은 기본일 정도의 사기챔으로 너프를 심하게 4번 먹기 전까진 필벤을 했어야 했고 안하는 순간 유정을 빼앗기면 졌다고 보면 될 정도였다. 하지만 지금은 벨런스 패치로 인해 역대급 너프를 4번이나 먹고 필벤에서 내려왔지만 지금도 복수를 키고 잘 싸우면 성장차가 나지 않는 이상 5대1이 가능한 챔프중 하나였다. 심지어 오래 싸워도 피 흡으로 그야말로 탱커가 된다. 과거 하리스가 처음으로 나와 날뛰던 시절을 다시금 떠올리게 해준 제 2의 최악의op 캐릭터 였었다. 시즌 21은 여러 번의 너프로, 루비, 피키토에 밀리는 2티어 쯤으로 평가받지만 여전히 사기적인 궁극기 때문에 사이드챔으로 고평가 받는 챔프이다.현시점 파키토와 더불어 유일무이한 1티어 탑캐릭이다. === '''장점''' === * ''' 장점 1 ''' 가끔 다수vs1로 싸워 이기기도 하는데 이는 패시브와 피흡 덕분이다. 하지만 충분히 실력이 받쳐줘야 된다. 그리고 지금은 여러 번의 너프로 괜히 혼자 들어가다가 죽지말고 무조건 팀이랑 같이 한타를 해야한다. * ''' 장점 2 ''' 딜템을 적게는 한 두개를 들어도 기본적인 딜이 갖춰져 있기에 충분히 강하다. 그러니 괜히 극딜템트리 간다고 탱템도 안두른 물몸으로 설치다가 죽지 말자. * ''' 장점 3 ''' 쿨타임이 짧은 1스킬과 패시브 피흡으로 오래 버틸 수 있고 사기적인 궁극기에 탱커로서의 역할도 하기에 장기간 한타 때 영향력이 큰 편이다. *'''장점 4''' 초반 딜과 탱 능력이 상당하며 극초반 갱도 웬만해선 위협되지 않는다. * '''궁극기''' 너프 전에는 매우 긴 궁극기 시간 때문에 절대 잡을 수가 없었다. 현재는 기동성 빠른 몇몇의 영웅은 쫓아가서 때릴 수 있지만, 성장차가 나지 않는 한 방템가서 단단해진 유정이 궁극기만 있으면 사이드든 어디든 라인관리하거나 백도하다가 위기를 느낀 경우 벨라와 같이 cc기에 맞지 않고 궁극기만 있으면 웬만해서는 잡히지 않는다.[* 다만 벨라는 좀 불안하며 실력이 받쳐 줘야 한다. 번외로 알두스도 궁극기만 있으면 도주할 수 있지만, 적 5명이 근접해 있거나 뭉쳐서 알두스를 잡으러 오면 살기 힘들다. 그리고 카자 같은 하드카운터가 있으면 더더욱 마찬가지. --팬니는 말이 안되는 적폐-- ] 적들이 좀 못할 경우. 계속 잡으러 쫓아가다가 아군이 합류하여 역관광 당하는 경우도 흔하다. === '''단점''' === 초중반에 힘을 키워놔야 후반에 팀을 이끌어 갈 수 있기에 그만큼의 실력이 필요하며, 상술했듯이 사기적인 지속딜링 스킬을 갖춘만큼 난이도가 높으며 유정의 힘이 부족할 땐 팀에서 그 빈자리가 너무 커서 다루기 어렵다. 또한 후반에는 힘이 많이 빠진다는 것도 문제. 사실상 딜템 다 팔고 다 탱템으로 도배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 그래서 아군조합을 보고 유정을 골라도 팀이 초반부터 밀려서 --아니면 너무 못해서 밀리고 있는데 어찌어찌 그래도-- 후반까지 갈 경우. 유정 골라도 할 수 있는게 없었고 후반에도 거의 할 수 있는게 없어서[* 후반가면 포지션을 적의 원딜이나 마법사를 잡으면 좋지만 유정이 먼저 녹을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들어가기 보단 치고 빠지는 서브탱커 포지션이다. ] 괜히 유정을 골랐다는 생각 밖에 안 든다. == '''상성''' == {{{+1 '''아군과의 조합'''}}} * '''조합 1'''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조합 2'''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1 '''상대하기 쉬운 영웅'''}}} * '''특징 1'''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특징 2'''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조합 3'''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1 '''상대하기 어려운 영웅'''}}} * '''조합 1''' : 설명 * [[완완: 너무 날뛰어서 잡기 힘들다.]],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조합 2'''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조합 3''' : 설명 *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1]],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2]], [[영웅 이름(모바일 레전드)|영웅 3]] 등 == '''역사''' == >이곳은 영웅의 출시 이후로부터 변화한 평가를 서술하여 놓은 문단입니다. >연도/버전별 패치 노트를 참고하여 영웅의 스킬 변동과 밸런스 조정을 중심으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 '''2017년''' === === '''2018년''' ===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 '''장비''' == === '''추천 스펠''' === 복수 [[모바일 레전드/전투 스펠#s-12|[[파일:복수2.png|width=60]]]] [br][br] 설명||유정은 한타 때 진입해서 적진을 무너뜨리는 데에 능하다. 따라서 딜도 챙기고 탱도 챙기는 복수를 스펠로 가장 많이 채용한다. 다른 스펠을 들 경우, 딜, 탱 둘 중 하나는 애매해진다. === '''아이템 빌드''' === ##유의: 아이템 빌드 란에는 '기본 빌드'를 서술하는 것이 원칙이나, 추천 장비 및 아이템 빌드를 별도로 서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플레이어마다 생각하는 바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을 등재하여야 하냐는 문제로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적합한 템트리를 논의할 때는 '토론'을 적극 활용하세요. 토론 없는 수정전쟁이 발생할 경우 전체적인 문서의 질이 떨어지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쟁이 잦은 아이템 빌드의 경우 모바일 레전드의 디폴트 템트리를 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별적인 아이템 빌드를 제작하기 어려우실 경우, 아래의 '추천 아이템' 란을 활용하세요.## >이곳은 해당 영웅에게 가장 적합한 아이템 빌드를 종류별로 서술해 놓은 문단입니다. 경기의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표준적인 빌드이므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br][br] 아이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모바일 레전드/장비]]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영웅에게 적합한 장비 및 빌드는 아이템 패치, 메타 변화, 영웅 스탯 조정 등으로 인해 뒤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수정이 필요합니다. 현 메타와 너무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되는 빌드는 업데이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빌드 1''' ==== ||<-6> {{{#gold '''특성 분배 - 물리 인장 ''' }}} || ||<|3> ||<|3> [[파일:MLBB물리.png|width=50]] ||<|3> || [[파일:일반특성-활력/내구성.png|width=50]] [br] {{{-2 {{{#white 특성 1}}}}}} ||<|3> [[파일:최종특성-생명력 흡수.png|width=50]] [br] {{{-2 {{{#f3a9a9 특성 3}}}}}} ||<|3> || || {{{-2 {{{#white ▼}}}}}} || || [[파일:일반특성-활력/내구성.png|width=50]] [br] {{{-2 {{{#white 특성 2}}}}}} || ||<-6> || ||<|6> ||<-5> '''{{{#gold 추천 장비}}}''' ||<|6> || || {{{#white 1}}} ||<-2> {{{#white 2}}} || {{{#white 3}}} ||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1}}}}}}''' ||<-2>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2}}}}}}'''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3}}}}}}''' || || {{{#white 4}}} ||<-2> {{{#white 5}}} || {{{#white 6}}} ||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4}}}}}}''' ||<-2>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5}}}}}}'''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6}}}}}}''' || ||<-5> || 설명 * '''인장:''' 설명 * '''아이템 빌드:''' 설명 ==== '''빌드 2''' ==== ||<-6> {{{#gold '''특성 분배 - 물리 인장 ''' }}} || ||<|3> ||<|3> [[파일:MLBB물리.png|width=50]] ||<|3> || [[파일:일반특성-활력/내구성.png|width=50]] [br] {{{-2 {{{#white 특성 1}}}}}} ||<|3> [[파일:최종특성-생명력 흡수.png|width=50]] [br] {{{-2 {{{#f3a9a9 특성 3}}}}}} ||<|3> || || {{{-2 {{{#white ▼}}}}}} || || [[파일:일반특성-활력/내구성.png|width=50]] [br] {{{-2 {{{#white 특성 2}}}}}} || ||<-6> || ||<|6> ||<-5> '''{{{#gold 추천 장비}}}''' ||<|6> || || {{{#white 1}}} ||<-2> {{{#white 2}}} || {{{#white 3}}} ||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1}}}}}}''' ||<-2>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2}}}}}}'''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3}}}}}}''' || || {{{#white 4}}} ||<-2> {{{#white 5}}} || {{{#white 6}}} ||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4}}}}}}''' ||<-2>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5}}}}}}''' ||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br]'''{{{#white {{{-2 아이템 6}}}}}}''' || ||<-5> || 설명 * '''인장:''' 설명 * '''아이템 빌드:''' 설명 === '''추천 아이템''' === ==== '''핵심 아이템''' ==== '''공격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000000,#dddddd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 '''마법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방어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로밍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정글링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고려할 만한 아이템''' ==== '''공격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마법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방어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로밍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정글링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비추천 아이템''' === '''공격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마법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방어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로밍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정글링 계열''' ||[[파일:전사의 신발-MLBB.png|width=60px]] ||'''아이템 이름''' [br][br] 설명|| == '''다른 맵에서의 플레이''' == === '''난투전''' === 설명 === '''아수라장 모드''' === 설명 == '''스킨''' == === '''조각상 - 스킨명''' === ||<-2> {{{#gold '''스킨명 (영문명)''' }}} || ||<-2>[[파일:Johnson-statue.jpg|width=100%]] || || {{{#fff7da '''신성한 조각상'''}}} || [[파일:성광 코인1.png|width=35px]] {{{#e7e7e7 50}}} || * 영웅의 조각상(Sacred statue)이 있는 경우에만 이미지를 등록해 주세요. 없는 경우 해당 문단은 삭제해 주세요. * 이미지 파일은 {{{[[파일:Tigreal-statue.jpg]]}}} 형식입니다. === '''일반 스킨''' === ||<-2> {{{#gold '''스킨명 (영문명)''' }}} || ||<-2> [[파일:스킨미정.jpg|width=100%]] || || {{{#white '''일반 스킨'''}}} || [[파일:Diamonds.png|width=17px]] {{{#skyblue 269}}} || * 영웅 스킨의 이미지 파일은 '''영웅 한글명-한글 스킨명'''의 형식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가령, {{{[[파일:추-이오리 야가미.png]]}}}로 등록된 이미지는 추의 KOF 스킨인 '이오리 야가미'를 의미합니다. === '''엘리트 스킨''' === ||<-3> {{{#gold '''스킨명 (영문명)''' }}} || ||<-3> [[파일:스킨미정.jpg|width=100%]] || || {{{#00d737 '''엘리트 스킨'''}}} || [[파일:Diamonds.png|width=17px]] {{{#skyblue 599}}} || [[https://www|동영상]] || === '''에픽 스킨''' === ||<-3> {{{#gold '''스킨명 (영문명)''' }}} || ||<-3> [[파일:스킨미정.png|width=100%]] || || {{{#9400d7 '''에픽 스킨'''}}} || [[파일:Diamonds.png|width=17px]] {{{#skyblue 899}}} || [[https://www.|동영상]] || >'''"전용 대사"''' === '''스페셜 스킨''' === ||<-3> {{{#gold '''스킨명 (영문명)''' }}} || ||<-3> [[파일:스킨미정.jpg|width=100%]] || || {{{#00d7c0 '''스페셜 스킨'''}}} || [[파일:Diamonds.png|width=17px]] {{{#skyblue 749}}} || [[https://www.|동영상]] || === '''성광 스킨''' === ||<-3> {{{#gold '''스킨명 (영문명)''' }}} || ||<-3> [[파일:스킨미정.jpg|width=100%]] || || {{{#e70069 '''성광 스킨'''}}} || {{{-1 {{{#gold '''yyyy/dd 성광 회원'''}}}}}} || [[https://www.|동영상]] || === '''전설 스킨''' === ||<-3> '''[include(틀:글무리, 둘레=5, 그림자=#FFF0CA, 글자=gold, 내용=스킨 이름)]''' || ||<-3> [[파일:스킨미정.jpg|width=100%]] || ||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FFF0CA, 글자=gold, 내용=전설 스킨)]''' || '''[include(틀:글무리, 둘레=4, 그림자=#FFF0CA, 글자=gold, 내용=한정 이벤트)]''' || [[https://|'''[include(틀:글무리, 둘레=5, 그림자=#189A18, 글자=#008800, 내용=동영상)]''']] || == 여담 == [[분류:모바일 레전드/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