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부여군 출신 인물]][[분류:1897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유창열}}}[br]劉昌烈'''}}}}}} || ||<-2> [[파일:유창열.jpg|width=300]] || ||<|2> '''출생''' ||[[1897년]] [[12월 20일]]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산리 || ||<|2> '''사망''' ||[[1980년]] [[4월 25일]] || ||[[충청남도]] [[부여군]]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유창열은 1897년 12월 20일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문산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0년 10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충남지부 특파원을 맡아 청양, 부여 등지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후 1928년경 다시 체포되어 대전지방법원 강경지청에서 재판을 받았지만 그해 5월 25일 혐의없음 판결을 받고 출감했다.[[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316&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1099&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 그후 부여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80년 4월 2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 유창열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