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jangsaengja.jpg]] {{{+2 [[劉]][[處]][[玄]]}}} 1147년 ~ 1203년 [목차] == 개요 == [[금나라]] 때의 도사. [[전진교]]의 [[전진칠자]] 중 한 사람이자 전진교의 제4대 조사로 자는 통묘(通妙), 도호는 '''장생자(長生子)'''이다. 산동성 동래 출신으로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를 효성있게 모셨으며 부귀영화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하며 1169년에 [[왕중양]]이 동래에 전도하러 왔을 때 그의 제자가 되었다. 왕중양 사후에는 경락에 은거하여 수도하였으며 1188년에는 창양에서 제단을 세우고 기우제를 올리기 위해 초제를 주재하였으며 1198년에는 [[장종(금)|장종]]의 부름으로 궁중에 가서 귀빈으로 대접받았으며 그에게서 영허(靈虛)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그를 따르는 무리들을 [[수산파]]라 불렸으며 그가 죽은 지 한참 지난 시기인 [[원나라]]의 [[쿠빌라이 칸]] 때 그는 장생보화명덕진인으로 봉해졌다. == 대중매체에서 == === [[사조영웅전]]의 유처현 === 천강북두진으로 황약사와 두 번 대결할 때 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 [[신조협려]]의 유처현 === 신조협려에선 다른 육자들에 비해 활약이 미미하다. 체구가 작고 원숭이 같은 용모를 지녔다 한다. 신조협려에서 옥봉밀장을 소용녀로부터 받아오라고 성화를 부리는 주백통에게 한 마디 건넨 것 이외에는 제대로 된 대사도 거의 없다. [[분류:송나라/인물]][[분류:1147년 출생]][[분류:120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