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인동 유씨]][[분류:평산군 출신 인물]][[분류:1848년 출생]][[분류:1910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 {{{+1 유치경}}}[br]兪致慶}}}'''}}} || ||<|2> '''출생''' ||[[1848년]] || ||[[황해도]] [[평산군]] || ||<|2> '''사망''' ||[[1910년]] || ||[[만주]] || || '''본관''' ||[[유(성씨)|인동 유씨]] || || '''자 / 호''' ||원평(原平) / 도진(挑津)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유치경은 1848년생이며 황해도 평산군 출신이다. 그는 시조(始祖) 문안공(文安公) 유승단(兪升旦)의 24세손으로, 1896년 평산에서 신석원(申錫元)[* [[독립유공자]]로 지정된 [[신석원]]과 동명이인이다.]·조두환(趙斗煥) 등 11명의 동지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해 3월 [[유인석]]이 지휘하는 제천의진에 참가했다. 그는 제천의진에서 유인석의 보좌역을 맡았고, 유인석이 요동으로 갈 때 동참했다. 이후에도 유인석을 모시고 만주에서 이필희(李弼熙)·송상규(宋尙奎) 등 동지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청나라의 실력자 [[위안스카이]]와 연대하여 일제 축출을 구상했으나 위안스카이의 비협조로 실패했다. 1907년 5월 7일에는 만주(滿洲)에서 황해도 지역의 유림(儒林)들에게 독립군 기지 개척운동에 동참을 호소하는 서한을 발송하는 등 지속적으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경 만주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5년 유치경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