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간선급행버스체계)] ||<-2><)>{{{#!wiki style="margin: 0px -5px"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파일:NGWB_SQ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ffffff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Yutorito_Line_logo.png|width=100]]||{{{#1b50a2 {{{+1 '''ゆとりーとライン'''}}}[br]'''Y'''utorito Line[br]유토리토 라인}}}||}}}|| ||<-2><:>[[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AGOYA_guideway_bus001.jpg|width=100%]] ----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스타]](2세대)||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Yutorito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유도버스|가이드웨이 버스]] 운행계통|| ||<:>'''기점'''||[[오조네역]]|| ||<:>'''종점'''||[[코조지역]]|| ||<:>'''정류장 수'''||37|| ||<:>'''노선 기호'''||{{{#1b50a2 {{{+1 '''Y'''}}}}}} (전용궤도구간)|| ||<:>'''개통일'''||2001년 3월 23일|| ||<:>'''소유자'''||[[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파일:NGWB_logo.png|width=180]][br]{{{#004ea2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운영자'''||고가구간(시가미선):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파일:NGWB_logo.png|width=180]][br]{{{#004ea2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br]평면구간(일반도로): [[나고야시 교통국|[[파일:NagoyaTB_logo.svg|width=200]][br]{{{#1e569b 나고야시 교통국}}}]]|| ||<:>'''사용차량'''||[[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스타]][br][[히노 블루리본]]|| ||<:>'''차량기지'''||나고야 시영 버스 오모리 영업소|| ||<:>'''사용동력'''||내연기관 (디젤)|| ||<-2><:>{{{#!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시다미선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2><:>{{{#1b50a2 '''{{{+1 [ruby(志段味線, ruby=しだみせん)]}}}'''[br]Shidami Line | 시다미선}}}|| ||<-2><:>'''{{{#ffffff 노선 정보}}}'''|| ||<:>'''분류'''||<(>[[유도버스|가이드웨이 버스]] 노선|| ||<:>'''기점'''||<(>[[오조네역]]|| ||<:>'''종점'''||<(>[[오바타료쿠치역]]|| ||<:>'''정류장 수'''||<(>9|| ||<:>'''노선 기호'''||<(>{{{#1b50a2 {{{+1 '''Y'''}}}}}}||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6.5k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동력'''||<(>내연기관 (디젤)|| ||<:>'''최고속도'''||<(>60km/h||}}}}}}}}}|| ||<:>[[파일:Yutorito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유토리토 라인}}}|| ||<:>[youtube(QKH7xU9ei7g,width=100%)]|| ||<:>{{{#ffffff 코조지→오조네 계통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이치현]] [[나고야시]] [[히가시구(나고야)|히가시구]]의 [[오조네역]]부터 [[모리야마구]] [[오바타료쿠치역]]을 거쳐 [[카스가이시]]의 [[코조지역]]까지 이르는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의 가이드웨이버스 운행계통이다. 전용궤도 구간인 오조네~오바타료쿠치 간은 '시다미선'(志段味線)'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시다미선은 궤도법에 따른 특허구간이며, 신도시 교통 시스템을 고려하여 전구간이 고가로 건설되어 있다. 건설비는 km당 54억엔이며, 가이드웨이버스 치고는 다소 높은 땅값이 필요하였다. 시설 및 차량은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가 보유하며, 전용궤도 구간의 차량 운전은 당사에서 [[나고야시 교통국]]에게 위탁을 주고 있다. == 상세 == 노선 자체는 '[[유도버스#s-2.1.2|구속형 유도버스 시스템]][* 흔히 가이드웨이 버스로 지칭되는 교통수단. Guided Rapid Transit으로 GRT라고도 통용된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일종…인데 BRT보다도 더 고규격인 물건으로써 전용선을 갖춘 [[도시철도]] 수준의 속도와 경전철 정도의 수송력 및 비용과 노선버스의 유연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국]]과 [[일본]]을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차세대 신교통수단' 이라고 꽤나 오래 전부터 나온 개념이지만,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와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으로 [[간선급행버스체계]]로 운용되고 있다. (내연기관차를 이용하지만, 법적으로는 [[무궤도전차]]로 분류) 하지만 회사는 철궤도회사 중 하나로 분류된다. 따라서 나고야 지하철내 노선망 안내도에서 해당 노선은 시다미선 구간만 표시되며, 이마저도 표시되지 않는 곳도 있다. 구글 지도에서도 전용 궤도 구간을 포함한 모든 구간을 버스노선으로 취급하며, 전용 궤도 구간내 역도 버스 정류장으로 취급한다. 한때 일본 유일이었으나, 시코쿠의 [[아사 해안철도]]에도 비슷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단, 이쪽은 기존 선로를 그대로 활용하며, 궤도법이 아닌 철도법이 적용된다. == 운행 형태 == * {{{#4fbfff ●}}} 오조네↔오바타료쿠치 계통 (시다미선 구간내 운행) * {{{#ee5b5c ●}}} 오조네↔나카시다미 계통 * {{{#6ccc71 ●}}} 오조네↔시다미 사이언스파크↔나카시다미 계통 * {{{#6b6b6b ●}}} 오조네↔코조지 계통 * 입출고차량 계통 : 인바(印場) - 아사히사쿠라가오카(旭桜ケ丘) - 히가시오와리병원미나미(東尾張病院南) - 히가시오와리병원(東尾張病院) - ・・・ - 카미지마(동)(上島(東)) - ・・・ - [[코조지역|코조지]] == 이용 == 전 구간에서 [[manaca]] 및 [[Suica]]를 포함한 IC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고야 시영 지하철-버스 패스 이용자는 시다미선 구간요금 220엔(오조네역 탑승 기준)을 별도로 지불해야 하므로, 탑승시 정리권을 뽑아야 한다. == 역/정류장 목록 == === 전용궤도(시다미선) === * 전구간 [[아이치현]] [[나고야시]]내 소재. ||<-5><:>{{{#ffffff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유토리토 라인'''}}}|| ||<:>{{{#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Y01||<:>[[오조네역|오조네]][br]大曽根||<:>0.0||¶[[JR 도카이]] [[파일:JRC-CF.svg|width=17]][[츄오사이선|츄오선]](CF04)[br]¶[[나고야 시영 지하철]] [[파일:NGYSub-M.svg|width=17]][[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죠선|메이죠선]](M12)[br]¶[[나고야 철도]] [[파일:MT-ST.svg|width=25]][[메이테츠 세토선|세토선]](ST06)||<|3><:>[[히가시구(나고야)|히가시구]]|| ||<:>Y02||<:>[[나고야돔마에야다역|나고야돔마에야다]][br]ナゴヤドーム前矢田||<:>1.0||¶[[나고야 시영 지하철]] [[파일:NGYSub-M.svg|width=17]][[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죠선|메이죠선]](M13)|| ||<:>Y03||<:>[[스나다바시역|스나다바시]][br]砂田橋||<:>1.6||¶[[나고야 시영 지하철]] [[파일:NGYSub-M.svg|width=17]][[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죠선|메이죠선]](M14)|| ||<:>Y04||<:>[[모리야마역(아이치)|모리야마]][br]守山||<:>2.7||¶'''[[모리야마지에이타이마에역]]''' : [[나고야 철도]] [[파일:MT-ST.svg|width=25]][[메이테츠 세토선|세토선]](ST08)||<|6><:>[[모리야마구]]|| ||<:>Y05||<:>[[카나야역(아이치)|카나야]][br]金屋||<:>3.3||<:>|| ||<:>Y06||<:>[[카와미야역|카와미야]][br]川宮||<:>4.3||<:>|| ||<:>Y07||<:>[[카와무라역(아이치)|카와무라]][br]川村||<:>5.1||<:>|| ||<:>Y08||<:>[[시라사와케이코쿠역|시라사와케이코쿠]][br]白沢渓谷||<:>6.0||<:>|| ||<:>Y09||<:>[[오바타료쿠치역|오바타료쿠치]][br]小幡緑地||<:>6.5||<:>|| ||<:>↓||<-4>일반 도로([[코조지역]] 방면)|| === 도로 구간 === * 본선 : [[오바타료쿠치역|오바타료쿠치]] - 류센지구치(竜泉寺口) - 류센지(竜泉寺) - 킷코구치(吉根口) - 시모지마(下島) - 킷코(吉根) - '''카미지마(서)(上島(西))''' - 카미지마(동)(上島(東)) - 시다미니시소학교(志段味西小学校) - 아라타(荒田) - '''텐노바시(天王橋)''' - 시다미시쇼키타(志段味支所北) - 나카시다미(中志段味) - 후지츠카(藤塚) - 테라바야시(寺林) - 카미시다미(上志段味) - 신토고쿠바시미나미(新東谷橋南) - 토고쿠바시(東谷橋) - [[코조지역|코조지]] * 사이언스파크 지선 : '''카미지마(서)(上島(西))''' - 히라이케미나미(平池南) - 타이코가네(太鼓ヶ根) - 히가시오와리병원(東尾張病院) - 나가하자마(長廻間) - 킷코주택(吉根住宅) - 타마노가와학원(玉野川学園) - 시다미 스포츠랜드(志段味スポーツランド) - 시다미 사이언스파크(志段味サイエンスパーク) - 아나가호라(穴ヶ洞) - 시마노구치(島の口) - '''텐노바시(天王橋)''' == 차량 == [[히노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저상버스인 [[히노 블루리본#s-2.3.2|LNG-HU8JLGP계]]를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형식은 GB-2100형이며,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어 있다.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가 소유하고 있는 유토리토 라인 전용 차량은 2009년 10월 1일부터 나고야 시영 버스 오모리 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렇지만 엄연히 궤도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형식이 존재하고, 모든 차량에 일련번호가 있다. 또한 전면 유리창에 버스 내구연한 스티커도 부착되어 있다. 모든 차량의 전륜 및 후륜 부근에 차량을 유도하는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 도로 주행중에는 안내차륜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안정성과 곡선부에서의 궤도 추종성을 높이기 위해 안정화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차량 고장시 후속 차량과 중련을 실시하므로, 이를 위한 연결기도 설치되어 있다. == 기타 == 시다미선을 운행하는 모든 기관사/기사는 도로 구간 주행을 위한 대형 제2종 면허([[운전면허/일본#s-2.1|운전면허]])와 전용 선로 주행을 위한 [[무궤도전차]] 운전면허(동력차조종자 면허)를 취득했다. 이 때문인지 실제 운행시, 전용 선로 구간에서는 버스임에도 [[지적확인]]을 한다. 2001년 개업 이래 처음으로 일반 차량이 전용궤도에 침입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0TC6uaCYUfo|#]]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version=60)] [[분류:일본의 궤도]][[분류:일본의 BRT 시스템]][[분류:200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시다미선(유토리토 라인)]][[분류:유도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