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고흥 류씨]][[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1891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 {{{+1 유해동}}}[br]柳海東}}}'''}}} || ||<|2> '''출생''' ||[[1891년]] [[11월 22일]] || ||[[강원도]] 춘천도호부 남산외일작면 가정리[br](현재 [[강원도]] [[춘천시]] [[남면(춘천)|남면]] 가정리)[* 인근의 발산리와 함께 [[류(성씨)|고흥 류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유봉석]]·[[유인석]]·[[유중악]]·[[유하석]]·[[유영석(1875)|유영석]]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81년]] [[2월 25일]] || ||[[강원도]] [[춘천시]]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유인석]]의 아들이다. == 생애 == 유해동은 1891년 11월 22일 강원도 춘천도호부 남산외일작면 가정리(현재 [[강원도]] [[춘천시]] [[남면(춘천)|남면]] 가정리)에서 부친 [[유인석]]과 모친 경주 정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1907년경 만주에 있는 아버지를 찾아가 비서직을 맡아 부친을 보좌했다. 한번은 일본군이 유인석의 집에 불을 질러 뛰쳐나오는 남자들을 총으로 쏴 죽이는 일이 있었다. 이때 유해동은 상투를 풀어 긴 머리를 해 여자로 변장해서 간신히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813092300062|#]] 이후에도 유인석이 1915년 사망할 때까지 보좌했으며, 부친이 사망한 후 [[박장호]]를 보좌하여 해외독립운동기지 구축에 진력했다. 또한 1919년 남만주에서 결성된 대한독립단의 총재비서직을 맡기도 했다. 이후엔 만주에서 농사를 지으며 조용히 지내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고향에서 여생을 보내다 1981년 2월 2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유해동에게 건국포장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