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유송 황제)] ||<-2> '''{{{+1 劉渾 | 유혼}}}''' || || '''작위''' ||여음왕(汝陰王) → 무창왕(武昌王)[br]→ 무창현후(武昌縣侯) || || '''연호''' ||영광(永光, 454년) || || '''성''' ||유(劉) || || '''이름''' ||혼(渾) || || '''자''' ||휴연(休淵)[* [[남사]]에서는 [[고조(당)|당고조]] 이연의 이름을 피휘하여 휴심(休深)으로 나온다.] || || '''부모''' ||부황 [[문제(유송)|문제]](文帝)[br]모친 수의(修儀) 강씨(江氏) || || '''생몰''' ||439년 ~ 455년 8월 29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북조시대]] [[송(남조)|유송]]의 황족으로 문제(文帝) [[유의륭]]의 10남, 수의(修儀) 강씨(江氏) 소생이다. 자는 휴연(休淵). 초왕(楚王)을 참칭했으나 형 [[효무제(유송)|효무제]]에게 자살을 선고받아 죽었다. == 생애 == 유의륭과 수의 강씨의 아들로 447년에 여음왕(汝陰王)에 봉해져 식읍 2천호를 받았다. 처음에 후군장군(後軍將軍)이 되었고 산기상시(散騎常侍)가 더해졌다. 그러나 봉지인 여음군이 [[북위]]의 남침으로 인해 북위로 넘어가면서 무창왕(武昌王)으로 전봉되었다. 453년 유의륭의 태자 유소가 부친을 죽이고 황제에 즉위하자 유혼은 유소에 의해 중서령(中書令)에 임명되었다. 얼마 안가 효무제가 유소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자, 유혼은 정로장군(征虜將軍), 남팽성동해2군(南彭城東海二郡) 태수에 임명되었다. 유혼은 어린 시절부터 성격이 난폭하여 석두(石頭)에 있을 때 부하들을 원망하여 칼로 여러 사람을 죽였다. 게다가 아버지 송문제의 장례식 전날에 관모를 벗었고 산기성(散騎省)으로 들어가 놀았고, 활시위를 당겨 통직랑(通直郞) 주랑(周朗)에게 활을 겨누어 화살이 주랑의 베개에 맞추고 이것으로 재미를 보면서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454년, 사지절(使持節), 감옹량남북진4주형주경릉수2군제군사(監雍梁南北秦四州荊州之竟陵隨二郡諸軍事), 영만교위(寧蠻校尉), 옹주 자사로 옮기고 정로장군은 예전과 같이 받았다. 같은 해에 유혼은 양양(襄陽)을 기점으로 부하들에게 격문을 짓게 했고 초왕(楚王)을 자칭한 다음 연호를 영광(永光)이라 개원했으며 자신만의 논공행상을 실시해 그곳의 군주 노릇을 했다. 유혼의 장사인 왕익지(王翼之)가 유혼의 문서를 효무제에게 보여주자, 효무제는 유혼을 면직하고 폐서인했으며, 황실의 족보에서 유혼의 이름을 삭제하고 시안군(始安郡)으로 유배시켰다. 이후 효무제는 원외산기시랑(員外散騎侍郞) 대명보(戴明寶)를 파견하여 유혼에게 자살을 핍박했고 유혼은 결국 자살했다. 460년, 효무제는 유혼의 유해를 생모 강수의의 묘 근처로 이장시켰으며, [[명제(유송)|명제]]가 즉위한 뒤 유혼은 무창현후(武昌縣侯)로 추봉되었다. == 기타 == 한글 발음이 같은 [[유혼(동진)|유혼]](劉混)과는 한자가 틀리며 劉混은 무창현후의 현조부이다. == 참고 항목 == * [[https://zh.wikipedia.org/wiki/%E5%8A%89%E6%B8%BE|劉渾]] == 둘러보기 == [include(틀:송서)] [include(틀:남사)] [[분류:송(남조)/황족]][[분류:비정통 황제]][[분류:439년 출생]][[분류:455년 사망]][[분류:팽성 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