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덱)] [목차] == 개요 == 시기는 런칭일~[[WONDERS OF THE SKY]]까지. 듀얼링크스가 나온지 얼마 안되었을 때는 고타점의 몬스터를 불러내기 쉽지 않았고, 특수 소환도 어려웠을 때라 1800~1700이하의 하급 몬스터들이 주요 어태커들로 활약했던 시기다. 이 당시에는 오로지 비트 위주였기 때문에 지금도 자주 쓰이는 카드인 [[에너미 컨트롤러]]와, 유일한 패 트랩인 [[크리보|크리보르]], 비트면에서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 [[은막의 거울벽]]이 필수 카드 취급을 받았으며, 속도는 느려도 어떻게든 마법 / 함정을 견제할 수 있다면 티어덱 취급을 받았다. [[해피(유희왕)|해피]] 덱이 대표적으로 거의 유일한 마법 / 함정 메타 덱이었기에 1티어에 군림했다. == 공룡 비트 덱 == 일반 공룡족 몬스터인 [[두 머리의 킹렉스]]와 [[시체를 먹는 용]]을 중심으로, [[다이나소 용만(유희왕 듀얼링크스)|다이나소 용만]]의 스킬 '공룡 왕국'을 적용하여 하급 몬스터의 공격력을 높여 싸우는 비트 다운 덱이다. 상대가 최상급 몬스터를 소환하거나, 또는 새크리파이스 같은 전투로 처리하기 어려운 몬스터를 소환하면 [[돌격지령]]으로 처리했다. 이 덱이 활약하던 당시에는 특수 소환의 비중이 적었고 하급 몬스터의 공격력이 끽해야 1700~1800이 최대였던 만큼 1900이라는 높은 공격력으로 초반 우위를 점하고 맹위를 떨쳤지만, 파워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티어권 밖으로 밀려났다. == 삐에로 컨트롤 덱 == 표시 형식이 변경되면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를 활용하는 덱. 주력 몬스터로는 [[머더 서커스]], [[드림 삐에로]], [[블레이드 래빗]]이 있으며, 머더 서커스는 공격 표시가 되면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드림 삐에로와 블레이드 래빗은 앞면 수비 표시가 되면 몬스터를 1장을 파괴한다. 발동 조건은 [[사막의 빛]], [[악몽의 미궁]], [[아누비스의 저주]]로 채웠으며, 여기에 [[단두대의 참극]]까지 넣어서 수비 표시가 된 상대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기도 했다. 남은 자리는 사이클 리버스 몬스터인 [[가디언 스태추]]랑 각종 공격 방어 카드들로 채웠다. 딱히 궁합이 좋는 스킬이 없기에 주로 스위처루나 재시작 등 패말림을 줄여주는 스킬을 채용하나, 다른 스킬을 채용해도 무방했다. 심지어는 드림 삐에로, 악몽의 미궁, 단두대의 참극만 빼서 다른 덱하고 섞이기도 했다. 이후에도 업화의 중기사나 현자 케이론 등 다양한 몬스터들을 사용하면서 꽤 오랜 기간 동안 활약하다가 모습을 감췄다. == 해피 덱 == [[메이 발렌타인(유희왕 듀얼링크스)|메이 발렌타인]]의 스킬인 '''해피의 사냥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덱. 해피의 사냥터의 효과로 마법 / 함정 카드를 제거하고, 상대의 고타점 몬스터는 해피 레이디가 일반 몬스터라는 점을 이용해 '''[[돌격지령]]'''으로 제거하면서 우위를 점하는 덱이다. 의식 몬스터인 '''[[새크리파이스(유희왕)|새크리파이스]]'''도 섞어서 사용하는 해피새크리파이스 덱이라는 변종 덱도 있다. 해피의 사냥터의 효과로 능동적으로 새크리파이스에 장착된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다시 상대 몬스터를 장착하는 등의 시너지가 있기 때문. 그리고 이 덱이 듀얼링크스 사상 최초의 '''1티어로 군림했었다.''' 결국 해피의 사냥터가 시작과 동시에 필드에 발동되는 게 아니라 덱의 맨 위로 올라오게 되면서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원래도 패말림이 존재했던 해피 덱에서 1장의 패가 해피의 사냥터로 고정되는 것은 매우 큰 약화였으며, 현재 1티어의 자리를 내주고 난 후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마법 / 함정 견제는 네프티스 덱이 더 수동적이고 범위도 넓으며, 공격력 면에서 좀더 낫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후 해피의 사냥터 스킬이 원래대로 돌아오고 추가지원을 받았으나 강점이었던 마법 / 함정 견제는 어떤 덱에서나 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은 티어권에서 완전하게 사라졌다. 하지만 2021년 해피 레이디 SC와 새로운 해피 카드들이 대폭 지원되면서 반년째 1티어를 유지하며 과거의 영광을 재현중이다. == 해머 비트 덱 == 카드 트레이더로 해머 샤크가 나온 뒤 한동안 랭겜을 마해룡천하로 만든 전적이 있다. 마해룡의 스킬 심해의 전설을 바탕으로 당시로선 상당히 높은 공격력인 1900짜리 몬스터를 전개한다는 것은 상당한 이점이였고 거기에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를 통한 마법 / 함정 파괴도 강력했다. 또한 가격이 싸서 [[나츄르]]가 나오기 전까진 무과금 유저들에게 애용되온 덱이기도 하다. == 스탠바이 번 덱 == [[안수진(유희왕 듀얼링크스)|안수진]]의 스킬 '듀얼 준비 완료'의 효과로 서로의 패를 1장씩 늘리고 각종 번 카드로 원턴 킬하는 덱. 초반부에 운에 의존하긴 하지만 [[컵 오브 에이스]]로 패를 보충하며 효과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들로 모든 화력을 쏟아내는 덱이기 때문에 패가 잘 나오면 상대는 아무 것도 못하고 패배한다. 컵 오브 에이스가 실패해도 상대가 2장 드로우하기 때문에 혁명의 효과 데미지가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원턴 킬에 실패하면 텅 빈 상태에서 상대에게 턴을 넘겨야 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며 이 때문에 효과 데미지를 주는 몬스터 카드(스네이크 포트 등)를 섞기도 했다. 결국 [[대혁명|혁명]]이 듀얼링크스 최초로 제한 카드가 되어 시들해졌다. 먼 미래에 [[사일런트 매지션]]이나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을 이용해 드로우하는 변칙적인 덱이 간혹 보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17년 6월, version=12)]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