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희왕 듀얼링크스/덱)]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덱)] [목차] == 개요 == 시기는 [[ENERGY OF GIGARAYS]] 발매 ~ [[SHINING SUNRISE]] 발매 전까지 == 5월 금제 == 4월 27일에 새로운 대규모 금제가 발표되었다. 적용일은 5월 12일부터. * 제한 1: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파괴룡 간드라]] * 제한 2: [[팬텀 나이츠#팬텀 나이츠 래기드글로브|팬텀 나이츠 래기드글로브]], [[레인보우 라이프]], [[홀리 라이프 베리어]], [[로이드(유희왕)#메가로이드 시티|메가로이드 시티]], [[네크로즈#발키리스의 네크로즈|발키리스의 네크로즈]] * 제한 3: [[령수#정령수사 윈다|정령수사 윈다]], [[팬텀 나이츠#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팬텀 나이츠 사일런트부츠]] * 제한 해제: [[시라누이(유희왕)#염신-시라누이|염신-시라누이]] * 스킬 * 상향: 왕의 기억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듀얼 시작 이후 3번째 턴에 스킬이 발동되도록 상향], 소환의 크레스트[* 스킬 발동시 갓오우거스를 패에 넣고, 주사위 눈금의 합이 12 이하일 때 발동되는 효과는 패를 되돌리는 효과만 남고 11 이상일 때 적용되는 것으로 변경.], 기믹 퍼핏 리플레이스[* 덱의 모든 카드가 기계족/어둠 속성 몬스터여야 스킬이 적용되던 것이 몬스터가 모두 기계족/어둠 속성이여야 적용되는 것으로 완화됨. 즉 이전에는 기계족/어둠 속성 몬스터 이외에도 마법/함정 카드를 넣으면 스킬 적용이 안됐는데, 이제는 몬스터만 기계족/어둠 속성으로 통일하면 되고 마법/함정 카드를 넣어도 스킬을 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우선 사기 스킬을 바탕으로 한 신규 티어덱 [[간드라]]는 파괴룡 간드라가 제한을 당했고, 새로이 추가될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가 오프 기준으로도 상당히 강력한 효과를 지녔고, 피안과의 시너지가 매우 우려되어 처음부터 제한을 받고 출시된다. [[죽은 자의 소생]]이라는 매우 강력한 카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기존의 일황 덱인 [[팬텀 나이츠]]는 래기드글로브 준제, 사일런트부츠 3제를 겹쳐 받았다. 원래 넣을 수 있는 몬스터의 수가 스킬의 제약 때문에 많지 않았던 관계로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교활한 함정 속으로]] 등의 2제 카드와의 병행이나 [[코즈믹 싸이크론]] 등의 3제 카드와의 병행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 6월 금제 == 6월 16일에 새로운 대규모 금제가 발표되었다. 적용일은 6월 28일부터. * 제한 1: DD 마도현자 토마스 * 제한 2: DD 마도현자 케플러 * 제한 3: 피안의 악귀 퍼파렐, 스킬 프리즈너 * 제한 해제: 융합 준비 * 스킬 * 상향: 결투! 앤틱 기어[* 2가지 효과를 각각 1턴에 1번 사용할 수 있게 됨.] * 하향: 사위왕의 통솔[* 효과 무효화가 다음 자신의 턴 종료시까지로 조정, DD 펜듈럼 몬스터를 덱에 5장 넣어야 하게 됨.] == 덱 목록 == ===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덱 === * 주요 스킬 : 빛의 궤적-펜듈럼 소환, 데스티니 드로우, 펜듈럼 부스트, 펜듈럼 엑스트라 차지 * 주요 몬스터 :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펜듈럼 몬스터''' * 주요 EX 몬스터 : 범용 4/6/7축 엑시즈 몬스터 * 주요 마법 : '''[[클리포트(유희왕)#새클리포트|새클리포트]]''', [[소환사의 스킬]] * 주요 함정: 범용 함정 카드 Ocg에서도 최초의 펜듈럼 티어 테마였던 클리포트가 마침내 듀얼링크스에 상륙했다. 펜듈럼 테마가 룰 개정 이후 맥을 못추는 경우가 많은데, 듀얼링크스에서도 전개력이 떨어진 문제점은 여전하지만, 애초에 듀얼링크스의 게임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다. 덱 20장 매수제한과 소환사의 스킬을 지원받은 덕에, 클리포트 툴을 잡기가 쉬워지고, 또 범용 함정카드로 상대를 견제하면서 상급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하여 전개하는 패턴. 클리포트 몬스터 특유의 단단한 내성이 은근히 듀링에서는 뚫기 까다로워 나름 티어권 경계선을 넘나들고 있다. 저주받은 하인 프린세스와의 의외의 호궁합도 호평 요인. === [[간드라]] 덱 === * 주요 스킬 : '''싸울 각오''' * 주요 몬스터 : [[간드라]] 몬스터, [[혼원룡 레비오니아]], [[가제트(유희왕)|가제트]] 몬스터, [[썬더 드래곤]], [[검은 숲의 마녀]] * 주요 EX 몬스터 : 범용 4/8축 엑시즈 몬스터 * 주요 마법: [[드래곤 자각의 선율]] 신 스킬을 지원받아 간만에 보는 애니메이션 재현 덱이다. 스킬은 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간드라를 가져오는 건데, 이를 응용해서, 썬더 드래곤을 통해 아드를 보충하는 콤보로 사용하거나, 가제트로 번 패 아드를 소모하여, 간드라를 서치해온다. 문제는 이런 간드라에게 일소권이 한번 더 주어지는데다, 덱 외에서 간드라 몬스터를 덤핑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주면 묘지에 간드라 기가 레이즈의 소재가 될 간드라 3체가 쌓일 공산이 크다. 거기에 3종류의 간드라가 쌓인 기가 레이즈 효과로 서로의 필드 및 묘지 카드를 싹다 제외하고 제외된 수 x 300만큼 증폭된 공격력으로 공격하면 패트랩이 없는 이상 게임이 끝나게 된다. 그리고 검은 숲의 마녀, 골드&실버 가제트, 간드라, 4축 엑시즈 중 어둠, 빛 속성이 많다는 것을 이용하여 혼원룡까지 섞여들어가기도 하는 등, 이래저래 흉악한 콤보가 많다는 것이 입증되어 순식간에 2티어로 급부상하였다. 유저들은 개연성 없이 억지로 가제트와 간드라를 엮은 것도 불편한데, 혼원룡과 썬더드래곤이 섞인 것을 보고, 전성기 썬드의 재림 같다며 불쾌해하는 반응도 많은 편. 약점은 왕가의 골짜기 - 네크로밸리와 견제 함떡 덱인데, 묘지기도 묘지기의 사령관이라는 강력한 지원이 나와서 네크로밸리 서치가 손쉬워졌고, 묘지기의 이능자의 효과로 파괴 내성이 생김으로써 제외가 아닌경우에야 처리가 더욱 힘들어졌다. 거기에 인과절단 등 프리체인 견제함정도 많아져서 집짓기 전에 무너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묘지의 간드라를 견제하고자 DD 크로우를 쓰거나, 유언 효과를 막기위해 스컬 마이스터를 쓰는 등 견제 패트랩도 추가 채용하고 있다. 어찌되었든 2022년 4월달에서 가장 반응이 뜨거운 신 티어덱이라 할 수 있다. ====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황금성]] [[간드라]] 덱 ==== * 주요 스킬 : '''싸울 각오''' * 주요 몬스터 :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가제트(유희왕)|가제트]] 몬스터, [[괴조 그라이프]], [[신데렐라(유희왕)#신데렐라|신데렐라]], [[신데렐라(유희왕)#호박마차|호박마차]] * 주요 EX 몬스터 : 범용 4축 엑시즈 몬스터 * 주요 마법: [[슈트롬베르크의 황금성]] 황금성으로 공격을 버티면서 덱을 갈다가 기가레이즈를 소환해 필드를 클린하고 직공을 날리는 덱이다. === [[퍼니멀]] 덱 === * 주요 스킬 : '''혜안''', '''에지임프 어시스트''', 모든 것을 찢어버리는 전율의 짐승 * 주요 몬스터 : [[퍼니멀]] 몬스터, [[에지임프#에지임프 시저|에지임프 시저]], [[에지임프#에지임프 체인|에지임프 체인]] * 주요 EX 몬스터 : [[데스완구]] 몬스터 * 주요 마법: [[융합(마법 카드)|융합]], [[데스완구#데스완구 퓨전|데스완구 퓨전]], [[퍼니멀#토이팟|토이팟]] * 주요 함정 : [[네크로 퓨전]] [[최하늘(유희왕 듀얼링크스)|최하늘]]의 등장과 [[CROSS DIMENSION]]을 통해 짤 수 있게 되었다. 주 전략은 OCG와 마찬가지로 융합 소환으로 대량전개해서 상대 필드를 작살내고 턴킬을 내는 것이다. 엄청난 패 교환 능력과 전투력을 가지고 있어 후공이 매우 강력하지만, 선공에는 할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 단점은 패 트랩이나 네크로 퓨전으로 어느 정도 보완이 가능하나, 토이팟의 효과로 묘지로 가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이 문제. 그래서 혜안 스킬을 써서 토이팟으로 갈릴 카드를 미리 보기도 한다. 한편 메인 팩 2바퀴 정도면 필요한 파츠를 전부 먹을 수 있어 가격이 저렴하다. === 펜듈럼 [[DD(유희왕/카드군)|DD]] 덱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1년 10월~12월#펜듈럼 DD 덱|ver.2]] === 2022년 3월부터 사위왕의 통솔 상향, 레벨업 보상 추가, [[CROSS DIMENSION]]에서의 지원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다시 티어권에 진입했다. ==== 2022년 4월 ==== * 주요 스킬 : '''사위왕의 통솔''' * 주요 몬스터 : '''[[DD(유희왕/카드군)|DD]] 펜듈럼 몬스터, [[DD(유희왕/카드군)#DDD제패왕 카이젤|DDD 제패왕 카이젤]] * 주요 EX 몬스터 : 범용 5, 10 ~ 12레벨 싱크로 몬스터 카드, 범용 7, 8축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계약서(유희왕)#s-2.1|지옥문의 계약서]]''', [[달의 서]], [[에너미 컨트롤러]] * 주요 함정 : '''[[계약서(유희왕)#s-3.1|발키리의 계약서]]''',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절망의 함정 속으로|절망의 함정 속으로]] 주 전략은 사위왕의 통솔로 펜듈럼 스케일을 세팅하고, 선턴은 [[DD(유희왕/카드군)#DD 도그|DD 도그]]가, 후턴은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이 담당한다. 특히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의 수비력 0 + 관통 효과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범용 마함은 상대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바꿔버리는 카드 위주로 사용한다. ==== 2022년 5월 ==== * 주요 스킬 : '''사위왕의 통솔''' * 주요 몬스터 : '''[[DD(유희왕/카드군)|DD]] 펜듈럼 몬스터, [[DD(유희왕/카드군)#DD 스월 슬라임|DD 스윌 슬라임]] * 주요 EX 몬스터 : [[DDD(유희왕/카드군)|DDD]] 융합, 엑시즈 몬스터, 범용 8축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계약서(유희왕)#s-2.1|지옥문의 계약서]], [[계약서(유희왕)#s-2.2|마신왕의 계약서]]''', [[달의 서]] * 주요 함정 : '''[[계약서(유희왕)#s-3.1|발키리의 계약서]]''' [[CROSS DIMENSION]]에서 지원을 받고 덱 구성이 달라지게 되었다. 큰 특징은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의 투입과 DD 마도현자 토마스,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의 추가로 8레벨 엑시즈를 주축으로 사용하게 된 점, 그리고 범용 카드의 투입을 감소한 점을 꼽을 수 있다. === [[오드아이즈]] [[마술사(유희왕)|마술사]] 덱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2년 1월~3월#오드아이즈 마술사 덱 Ver.2|Ver.3]] === * 주요 스킬 : '''상극과 상생''' * 주요 몬스터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마술사(유희왕)#상극의 마술사|상극의 마술사]], [[마술사(유희왕)#상생의 마술사|상생의 마술사]], [[EM 도크로배트 조커]], [[EM(엔터메이트)#EM 세컨동키|EM 세컨동키]]''',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 [[마술사(유희왕)#귀룡의 마술사|귀룡의 마술사]] * 주요 EX 몬스터 :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4/7축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나선의 스트라이크버스트]]''', [[천공의 홍채]] [[CROSS DIMENSION]]에서의 지원과 함께 추가 스킬을 받으면서 드디어 티어권에 안착했다. === [[엘리멘틀 히어로]] 덱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0년 1월~3월#s-3.5|ver.2]] === * 주요 스킬 : '''페이버릿 듀얼''' * 주요 몬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일반 몬스터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저주받은 하인(유희왕/카드군)#저주받은 하인 프린세스|저주받은 하인 프린세스]],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 주요 EX 몬스터 :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윙맨(유희왕)|윙맨]] 융합 몬스터 카드''', [[네오스]] 융합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네오스 퓨전]], [[싸이크론]]''', 그 외 범용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 '''[[히어로 블래스트]]''', 그 외 범용 함정 카드 === [[유토피아(유희왕)|유토피아]] 덱 === * 캐릭터 - 스킬: '''[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유마]] -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s-6|제알 -수장합체-]] ]''' * 엑스트라 덱: '''[ [[수장합체 라이오 호프레이#s-1|라이오 호프]]×1, [[No.39 유토피아|유토피아]]×2]''' [ [[No.XX 인피니티 다크호프#s-2|10랭크]] [[No.22 프랑켄#s-2|엑시즈]], [[No.33 오파츠 마추 마크#s-2|5랭크]] [[No.61 볼카사우루스#s-2|엑시즈]], [[No.70 데들리 씬#s-2|4랭크 엑시즈]] ] * 몬스터: '''[ [[가가가 시스터]]×3, [[도도도#s-2.1.3|도도도 드라이버]]×3, [[ZW#s-2.4.4|ZW 페가수스]]×1, [[ZW#s-2.4.3|ZW 이글]]×1]''' [ [[희망황 오노마토피아#s-1|오노마토피아]], [[ZW#s-2.4.2|ZW 토네이도]]×1, [[ZW#s-2.4.1|ZW 라이트닝]]×1] * 마법: '''[ [[오노마토페어]]×3, [[가가가#s-6.3|가가가 리벤지]] ]'''[ [[오노마토#s-4.3|오노마토픽]], [[가가가#s-6.1|가가가 볼트]], [[금지된 성창]], [[싸이크론#s-1]] ] * 함정: [ [[마스터 피스(유희왕)#s-1.2|마스터 피스]], [[교활한 함정 속으로|교활]] ] * 2023년 1월 12일 [[SELECTION BOX Vol.6]]에서 [[오노마토페어]]가 출시되었다. * 2023년 5월 1일 '''SOLFLARE LIGHTNING''' 메인 팩에서 [[오노마토#s-4.3|오노마토픽]]이 출시되었다. * 라이오 호프의 필드 장악력이 끔찍하게 강력하다. * ZW 몬스터들을 통해 내성, 혹은 퍼미션 효과를 부여해줄 수 있다. * ZW 몬스터들 덕분에 타점이 무식할 정도로 뻥튀기된다. * 자체적으로 양측턴 프리체인 효과 무효화 빔을 내장하고 있다. * 이하의 손 패를 잡아내면 각 상황에 맞는 결과물의 전개가 가능하다. * '''라이오 호프:''' [[가가가 시스터]] + [[도도도#s-2.1.3|도도도 드라이버]][* 1. 시스터를 일반 소환한 후 효과 발동, 리벤지를 서치한다. 그 후 스킬을 통해 시스터를 소재로 삼아 오노마토피아를 생성시킨다.][* 2. 리벤지를 통해 시스터를 소생, 오노마토피아를 통해 드라이버를 패특소시킨다.][* 3. 드라이버의 효과 발동, 드라이버를 5레벨로, 오노마토피아를 3레벨로 만든다. 그 후 시스터의 효과 발동, 오노마토피아와 시스터를 5레벨로 만든다.][* 필드의 5레벨 몬스터 3마리를 통해 라이오 호프를 정규 소환한다.] * '''라이오 호프:''' [[가가가 시스터]] + [[ZW#s-2.4.3|패가수스]] / [[ZW#s-2.4.3|이글]] / [[가가가 키드#s-2]][* 1. 시스터를 일반 소환한 후 효과 발동, 리벤지를 서치한다. 그 후 스킬을 통해 시스터를 소재로 삼아 가가가 매지션을 생성시킨다.][* 2. 리벤지를 통해 시스터를 소생, 페가수스 / 이글을 자체 패특소시킨다.][* 가가가 매지션의 효과 발동, 매지션을 3레벨로 만든다. 그 후 시스터의 효과 발동, 매지션과 시스터를 5레벨로 만든다. 가가가 키드를 통해 전개를 한다면 이 타이밍에 자체 패특소, 그 후 효과를 발동해 키드를 5레벨로 만든다.][* 필드의 5레벨 몬스터 3마리를 통해 라이오 호프를 정규 소환한다.] * '''5랭크 엑시즈:''' [[가가가 시스터]][* 1. 시스터를 일반 소환한 후 효과 발동, 리벤지를 서치한다. 그 후 스킬을 통해 시스터를 소재로 삼아 가가가 걸을 생성시킨다.][* 2. 리벤지를 통해 시스터를 소생시킨 후 시스터의 효과 발동, 걸과 시스터를 5레벨로 만든다.][* 3. 5레벨 몬스터 2마리를 통해 5랭크 엑시즈를 정규 소환한다.][* 결과물을 불러낼 때 가가가 걸의 효과를 발동시켜 상대 필드몹 1장의 공격력을 0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마추 마크와 궁합이 굉장히 좋으며, 상황만 맞으면 깜짝 킬각을 노릴 수도 있다.] * '''3~10랭크 엑시즈:''' [[가가가 시스터]][* 1. 시스터를 일반 소환한 후 효과 발동, 리벤지를 서치한다. 그 후 스킬을 통해 시스터를 소재로 삼아 가가가 매지션을 생성시킨다.][* 2. 리벤지를 통해 시스터를 소생시킨 후 시스터의 효과 발동, 매지션과 시스터를 3~10레벨로 만든다.][* 3. 3~10레벨 몬스터 2마리를 소재로 삼아 3~10랭크 엑시즈 몬스터를 정규 소환한다.] === [[갤럭시(유희왕)|갤럭시]] 덱 === * 주요 스킬 : '''엑시즈 갤럭시''' * 주요 몬스터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갤럭시 위저드]], [[갤럭시(유희왕)#갤럭시 나이트|갤럭시 나이트]]''' * 주요 EX 몬스터 : '''[[갤럭시아이즈]] 엑시즈 몬스터 카드''', 그 외 범용 8랭크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갤럭시(유희왕)#갤럭시 익스페디션|갤럭시 익스페디션]], [[갤럭시(유희왕)#갤럭시 제로|갤럭시 제로]]''', [[셔플 리본]], 그 외 범용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교활한 함정 속으로|교활한 함정 속으로]] 등 범용 함정 카드 === [[열차(유희왕)|열차]] 덱 === * 주요 스킬 : '''대폭주 열차''' * 주요 몬스터 : '''[[열차(유희왕)# 심야 급행 기사 나이트 익스프레스 나이트|심야 급행 기사 나이트 익스프레스 나이트]], [[중기화열차 데릭크레인]], [[열차(유희왕)#탄환특급 불릿 라이너|탄환특급 불릿 라이너]], [[열차(유희왕)#폭주궤도 플라잉 페가수스|폭주궤도 플라잉 페가수스]]''' * 주요 EX 몬스터 :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 [[초노급포탑열차 저거너트 리베]], [[초거대 공중궁전 강가리다이]]''', 범용 4랭크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주요 마법 : [[싸이크론]], [[달의 서]] 등 범용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 [[데먼즈 체인]], [[열차(유희왕)#소사특공|소사특공]] === [[피안(유희왕)]] 덱 [[유희왕 듀얼링크스/덱/2022년 1월~3월#피안 덱|ver.2]] === * 주요 스킬 : '''플라나즈 마인드''' * 주요 몬스터 : '''[[피안(유희왕)|피안]] 몬스터 카드,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 [[마주사이의 전사]]''' * 주요 EX 몬스터 : '''[[피안의 여행자 단테]], [[피안(유희왕)#피안의 시인 베르기리우스|피안의 시인 베르기리우스]], [[피안(유희왕)#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팬텀 나이츠 브레이크스워드]]''' * 주요 마법 : '''[[달의 서]] 등 범용 마법 카드''' * 주요 함정 : '''[[궁수부대]], [[인과절단]],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s-2.14|절망의 함정 속으로]] 등 범용 함정 카드'''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의 발매로 크게 수혜를 입더니 [[HEART OF XYZ]]에서 추가 지원까지 나오면서 티어권에 진입했다.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