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비디오 게임]][[분류: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분류:2001년 게임]] ||<-2> {{{#ffffff {{{+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6 익스퍼트 2'''}}}[br]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6 エキスパート2[br]''Yu-Gi-Oh! Worldwide Edition: Stairway to the Destined Due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M6-Box-JP.jpg|width=100%]]}}} || || '''{{{#ffffff 개발}}}''' ||<|2>[[코나미|[[파일:코나미 로고.svg|height=16]]]]|| || '''{{{#ffffff 유통}}}''' || || '''{{{#ffffff 플랫폼}}}''' ||[[게임보이 어드밴스|[[파일:게임보이 어드밴스 로고.svg|width=100]]]]|| || '''{{{#ffffff 출시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2001년]] [[12월 20일]]|| || '''{{{#ffffff 장르}}}''' ||대전형 카드게임||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Nhl4qyKl_o)]}}} || || 플레이 영상 || [[2001년]] [[12월 20일]]에 [[코나미]]에서 발매된 [[게임보이 어드밴스]] 전용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소재의 게임 작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시리즈 중 6번째 작품이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 익스퍼트 1]]에 이은 익스퍼트 시리즈의 후속작. 이번에는 원작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의 세계관을 더 세밀하게 재현하고 있으며, 각지를 돌아 캐릭터를 찾아서 듀얼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룰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마스터 듀얼|신 익스퍼트 룰]]에 준거하고 있다. 조작감이나 게임 시스템 등은 전작보다 많이 개선되었으며, 일부 버그나 비상식적인 플레잉 등의 문제점을 빼면 유희왕 비디오 게임 시리즈 중에서도 준수한 완성도를 자랑한다. 후속작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은 다시 비 OCG 룰로 돌아간데다, 직후에 발매된 OCG룰 채용 게임들도 문제가 많았던 터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이 발매되기 전까지는 본작이 가장 많은 호평을 받았다. 현 시점에서는 카드풀이 구식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양작이라고 평할 수는 있는 수준. 수록 카드는 일본판 기준 '[[악몽의 미궁(부스터 팩)|Labyrinth of Nightmare -悪夢の迷宮-]]' 팩까지의 카드가 전부 수록되어 있으며, 카드 총 매수는 듀얼 중 사용할 수 없는 것[* [[듀얼리스트 킹덤#왕국|왕국]], [[듀얼리스트 킹덤#왕국으로의 초대장|왕국으로의 초대장]], [[듀얼리스트 킹덤#왕의 오른손의 영광|왕의 오른손의 영광]], [[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은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다.]까지 포함해서 1111장. 이후 본작을 베이스로 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인터내셔널 월드와이드 에디션(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ワールドワイドエディション / Yu-Gi-Oh! Worldwide Edition: Stairway to the Destined Duel)'이 [[2003년]] [[4월 17일]]에 발매되었다. 기본 버전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해외판과 완전 호환되는 덕분에 통신 대전이 가능하다. 인게임 내에서는 총 6개국어로 변경할 수 있다. * 대사나 카드 텍스트 문장 이외의 게임 내 표기가 영어로 바뀌었다. 카드 일러스트 역시 해외판으로 통일. * 카드 프레임이 3기 이후로 세계적으로 통일된 포맷을 반영하여 변경되었다. 물론 기존과 마찬가지로 현실 카드 포맷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공격력 / 수비력 위치 정도만 바뀐 것 뿐이다. * 일부 캐릭터의 고정 플레이 발생률이 크게 내려가거나 삭제되었다. * 후술할 카이바의 경우 콤보에 필요한 카드가 적다 보니 여전히 눈뜨고 당해버릴 가능성은 있지만 제거 카드까지 패에 잡혀있는 경우가 많이 줄었으며, 초기 덱이라도 [[공격 무력화]] 정도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완화되었다. == 특징 == [[파일:DM6-Map.png]] * 전작과 마찬가지로 OCG 룰을 완전 재현하고 있으며, 카드 팩 시스템 등의 특징도 전작과 동일하다. 또한 본작부터 [[영멸술사 카이쿠]] 등 제외 실행 카드가 늘어난 영향인지 듀얼 필드에 제외 존이 등장하게 되었다. * 원작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편의 세계관을 다루고 있다. 스토리 요소는 거의 희박하지만 실제 [[도미노 시티]]를 배경으로 한 맵 내에서 듀얼리스트나 정보를 주는 NPC가 배치되어 있다. * 전작의 달력 시스템은 없어졌지만 요일 시스템은 건재하다. 또한 게임 진행에 따라 대회가 개최되는 것도 전작과 마찬가지. *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원작에 등장하는 카드 도적단 '[[구울즈]]'가 등장하며, 일반인으로 위장하여 나타난다. 듀얼에서 패배시 레어 카드 중 하나를 빼앗긴다.[* 신의 카드를 가진 상태일 경우 높은 확률로 해당 카드를 가져간다.] 구울즈 멤버들을 얼추 쓰러뜨리면 구울즈의 아지트로 들어가는 이벤트가 발생하며, 덱 편성은 가능하지만 연전을 치루게 된다. 연전에 승리하면 구울즈 멤버들도 일반 듀얼리스트로 등장하게 된다. 본작의 몇 안 되는 스토리 요소. * 행동 패턴이 허술한 탓인지 CPU가 이상한 플레잉을 선보이는 경우가 있다. 가령 [[뉴트]]를 세트한 뒤에도 반전 소환을 하지 않는다거나, [[왕궁의 칙명]]이 깔려있는데도 멍청하게 마법 카드를 연발해대는 등. * 일부 캐릭터의 패가 높은 확률로 강력한 콤보를 날릴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해당 캐릭터들이 초반부터 튀어나오기 때문에 뭣모르고 대책없이 도전했다가 뒷통수를 맞는 경우가 다반사다. 콤보 사용시 해당 캐릭터가 전용 대사를 내뱉는데다, NPC 대사 중에도 '아무리 해도 못 이길 것 같으면 이길 만한 상대를 골라라'라는 말이 있으니 다분히 의도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카드풀 사정상 원작 캐릭터의 실력을 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내린 조치로 보인다. 등장 콤보는 다음과 같다. * [[어둠의 유우기]]: [[마그넷 워리어|마그넷 워리어 α・β・γ]] 3장을 패에서 제물로 바쳐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을 특수 소환, 효과 발동으로 묘지로 보내 묘지에 있는 마그넷 워리어 3장을 특수 소환 → [[죽은 자의 소생]] 등으로 마그넷 발키리온을 소생 → [[번개(유희왕)|번개]]로 상대 필드를 클린 후 합계 8100의 공격력으로 직접 공격하여 [[원턴킬]] * [[카이바 세토]][* 가끔 낮은 확률로 [[카이바 모쿠바]]도 해당 전략을 사용한다. 본인 왈 '형님한테 배운 콤보'라는 듯.]: '''[[번개(유희왕)|번개]], [[해피의 깃털]] 등으로 플레이어의 필드 클린 → [[데블 프랑켄]] 일반 소환, 효과 발동으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특수 소환 → [[거대화(유희왕)|거대화]]를 장착한 후 공격력을 9000으로 올려 [[원턴킬]]''' * [[쿠자크 마이]]: [[해피(유희왕)#해피 레이디·SB|해피 레이디·SB]] 일반 소환 → [[만화경 -화려한 분신-]]으로 [[해피 레이디 세자매]] 특수 소환 → [[속성 필드 마법#데저트 스톰|데저트 스톰]], [[사이버 실드|사이버 본디지]]로 공격력을 증강하여 일제 공격 == 주요 변경점 == 전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 익스퍼트 1]]에서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 D-택틱스 개념이 사라졌다. * 플레이어의 이름을 임의로 바꿀 수 없다. * 패스워드로 카드를 입수하려면 500 DP(듀얼 포인트)가 필요해졌다. * 달력 시스템이 사라졌다. * 맵 개념이 등장하며, 이후 작품에도 등장하여 자유도가 증가했다. * 특정 조건을 채우면 제한 리스트를 없앨 수 있다. * 마법 / 함정 카드에 적용된 일부 이펙트가 폐지되어 진행이 더 매끄러워졌다. == 등장인물 == * 듀얼리스트 *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 * [[죠노우치 카츠야]] * [[바쿠라 료]] * [[마자키 안즈]] * [[쿠자크 마이]] * [[이시즈 이슈타르]] * [[인섹터 하가]] * [[다이나소 류자키]] * [[카지키 료타]] * [[에스퍼 로바]] * 구울즈 * [[마리크 이슈타르]] * [[리시드]] * [[레어 헌터#레어 헌터1|레어 헌터]] * [[판도라(유희왕)|판도라]] * [[레어 헌터#과묵한 인형|과묵한 인형]] * [[레어 헌터#빛의 가면, 어둠의 가면|빛과 어둠의 가면]] * 히든 듀얼리스트 * [[샤디 신|샤디]] [[구울즈]] 아지트 클리어 후 듀얼 할 수 있게 된다.(유우기, 카이바, 이시즈, 마리크 덱 중 랜덤)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툰#툰 월드|툰 월드]] 카드를 입수하면 듀얼 할 수 있게 된다. * [[밴디트 키스]] 히든 듀얼리스트 이외의 캐릭터 전원에게 5승 이상하면 듀얼 할 수 있게 된다. * [[카이바 모쿠바]] 총 10패 이상 하면 듀얼 할 수 있게 된다. 월드 와이드 에디션에서는 5패 이상으로 완화되었다. (가끔 카이바와 같은 전술을 구사하기도 한다.) * [[오토기 류지]] 모든 캐릭터에게 승리하면 듀얼할 수 있게 된다. == 동봉 카드 == 본작을 기점으로 게임 소프트 동봉 카드가 랜덤으로 봉입되는 일이 없어졌으며, 덕분에 게임 하나만 사도 카드를 전부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초회판은 [[시크릿 레어]], 일반판은 [[울트라 레어]] 사양. 전작과는 달리 이들은 인게임에 수록되지 않았다. * [[데스 볼스트걸프]] (예약 한정 특전) * [[툰 블랙 매지션 걸]] * [[이그자리온 유니버스]] * [[길포드 더 라이트닝]] * [[왕가의 신전]] - 공략본 상권 동봉 * [[신성한 몬스터 셀케트]] - 공략본 하권 동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