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마스터 듀얼]][[분류:유희왕/금지 제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include(틀:유희왕 마스터 듀얼)] [include(틀: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목차] == 개요 ==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1월 10일 업데이트 전까지 적용되는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스트. == 12월 업데이트 분석 == === 11월 리스트와의 차이점 === * 제약이 '''{{{#green 적어진 것은 녹색}}}'''으로, 제약이 '''{{{#red 커진 것은 적색}}}'''으로 표기. || '''{{{#white 종류}}}''' || '''{{{#white 레어리티}}}''' || '''{{{#white 카드 이름}}}''' || '''{{{#white 비고}}}''' || || 마법/필드 || UR ||[[루닉#루닉의 샘|루닉의 샘]] || {{{#red 준제한→제한}}} || || 효과/몬스터 || R ||[[참기(유희왕)#참기 다이어|참기 다이어]] || {{{#red 무제한→제한}}} || || 효과/몬스터 || UR ||[[정룡#암정룡-레독스|암정룡-레독스]]|| '''{{{#green 금지→제한}}}''' || || 효과/몬스터 || UR ||[[정룡#폭정룡-타이달|폭정룡-타이달]]|| '''{{{#green 금지→제한}}}''' || || 효과/몬스터 || SR ||[[십이수#십이수 모르모래트|십이수 모르모래트]] || '''{{{#green 금지→제한}}}''' || || 펜듈럼/효과/몬스터 || UR ||[[EM 멍키보드]] || '''{{{#green 금지→제한}}}''' || || 마법/일반 || UR ||[[사이바넷 마이닝]] || {{{#red 무제한→준제한}}} || || 마법/일반 || SR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 {{{#red 무제한→준제한}}} || || 마법/속공 || SR ||[[바렛(유희왕/카드군)#퀵 리볼브|퀵 리볼브]] || {{{#red 무제한→준제한}}} || || 마법/일반 || SR ||[[카오스 테리토리]] || {{{#red 무제한→준제한}}} || || 효과/몬스터 || R ||[[퓨어리#퓨어리|퓨어리]] || {{{#red 무제한→준제한}}} || || 마법/속공 || R ||[[퓨어리#퓨어리 딜리셔스메모리|퓨어리 딜리셔스메모리]] || {{{#red 무제한→준제한}}} || || 효과/몬스터 || N ||[[라뷰린스#라뷰린스 스토피|라뷰린스 스토피]] || {{{#red 무제한→준제한}}} || || 효과/몬스터 || UR ||[[정룡#남정룡-템피스트|남정룡-템피스트]] || {{{#green 제한→준제한}}} || || 엑시즈/몬스터 || UR ||[[십이수 드란시아]] || {{{#green 제한→무제한}}} || || 효과/몬스터 || N ||[[LL#LL-코발트 스패로|LL-코발트 스패로]] || {{{#green 준제한→무제한}}} || || 지속 마법 || UR ||[[십이수#십이수의 회국|십이수의 회국]] || '''{{{#green 금지→무제한}}}''' || * '''제한 카드'''로는 [[루닉#루닉의 샘|{{{#red 루닉의 샘}}}]], [[참기(유희왕)#참기 다이어|{{{#red 참기 다이어}}}]], '''[[정룡#암정룡-레독스|{{{#green 암정룡-레독스}}}]], [[정룡#폭정룡-타이달|{{{#green 폭정룡 타이달}}}]], [[십이수#십이수 모르모래트|{{{#green 십이수 모르모래트}}}]], [[EM 멍키보드|{{{#green EM 멍키보드}}}]]'''가 선정되었다. * '''루닉의 샘'''은 [[루닉]]의 핵심 카드다. 단판전에서 루닉의 강함은 증명이 된 상태라 샘이 준제한이 된 이후에도 왈가왈부가 많았는데, 끝내 OCG를 따라 제한이 됐다. * '''참기 다이어'''는 참기 서큘러에 이어 [[참기(유희왕)|참기]] 덱의 또다른 핵심이다. 선공에 달랑베르시안으로 가져와 개체수를 늘리거나, 초계승으로 나온 라플라시안에게 그 턴 한정 1퍼미션을 부여하는 등 다재다능한 효과를 지니고 있었기에 제한이 됐다. 대부분 사이버스 덱들은 용병 용으로 1장씩 정도 넣던 카드지만 원래부터 2장 이상 넣던 순수 참기 구축에는 다소 불편한 금제. * '''암정룡-레독스''', '''폭정룡-타이달'''은 아래의 남정룡과 같은 정룡의 일원이다. ①번 효과가 염정룡, 남정룡에 비해 강해서 제재가 완화될 기미가 없었지만 염정룡이 아예 석방된 것에 이어 준제한이 되는 남정룡과 함께 풀려났다. * '''십이수 모르모래트'''는 한 때 [[십이수]]의 전개력을 상징하기도 했던 카드로, 라이카와 이번에 같이 풀린 회국과 연계하여 일반 소환권을 사용하지 않고 4랭크 엑시즈 2체를 마련할 수 있어 각종 용병으로 사용되었던 파츠였다. 오프에선 금지된 적 없이 제한으로 남아있었지만 드란시아도 불혼도 금지라 용병으로서의 가치는 사실상 상실한 상황이기도 했는데, 이로 인해 드란시아와 함께 마듀 초창기부터 꼽혀왔던 '''마듀와 OCG의 차이점 하면 제일 먼저 꼽히는 대상'''이기도 했다. 그랬던 카드가 이번에 드란시아의 무제한, 회국의 무제한과 함께 이 카드 역시 제한으로나마 해제되었다. * '''EM 멍키보드'''는 한때 오프 환경을 재패하고 악명을 떨치던 [[EMEm]]의 양대 핵심 카드 중 한 축이다. 이제 와서는 상대적 위력이 꽤 떨어졌고, 오프에서 이미 에오오의 패왕 지원에 맞춰 제한으로 풀린 것에 따라 마듀에서도 금지가 해제된다. * '''준제한 카드'''로는 [[사이바넷 마이닝|{{{#red 사이바넷 마이닝}}}]],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red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 [[바렛(유희왕/카드군)#퀵 리볼브|{{{#red 퀵 리볼브}}}]], [[카오스 테리토리|{{{#red 카오스 테리토리}}}]], [[퓨어리#퓨어리|{{{#red 퓨어리}}}]], [[퓨어리#퓨어리 딜리셔스메모리|{{{#red 퓨어리 딜리셔스메모리}}}]], [[라뷰린스#라뷰린스 스토피|{{{#red 라뷰린스 스토피}}}]], [[정룡#남정룡-템피스트|{{{#green 남정룡 템피스트}}}]]가 선정되었다. * '''사이바넷 마이닝'''은 참기 서큘러를 필두로 한 사이버스 GS덱의 만능 서치 카드다. 이번 셀렉션 팩으로 사이버스 덱이 대거 지원을 받아 티어가 올라갔기에 이를 견제하기 위해 제재가 가해졌다. *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는 강력한 범용 부스팅 카드로, OCG에서는 2년 전에 이미 제재된 카드다. FTK 계열 덱에서 채용되거나 패널티의 타격이 덜한 [[크샤트리라]], [[퓨어리]] 등에서 취향껏 사용되던 카드다. * '''퀵 리볼브''', '''카오스 테리토리'''는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에서 주로 쓰이는 전개용 카드다. 양쪽 모두 전개의 유연성을 늘리고 상대 견제를 소모시키는 공격권으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준제한이 됐다. * '''퓨어리''', '''퓨어리 딜리셔스메모리'''는 [[퓨어리]]의 전개를 잇는 카드들이다. 딜리셔스메모리 준제한은 OCG를 그대로 따라갔으나 추가로 퓨어리 본체도 준제한에 올랐다. 퓨어리의 서치 카드인 마이프렌드는 3장 중 무작위로 1장을 서치하는 구조이기에 준제한만으로도 안정성에 큰 타격이 됐고, 금제 기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축이자 고점을 위해 퓨어리 3장을 채용하던 [[고스트릭]] 퓨어리 또한 고점이 크게 내려갔다. 한편 소재 쌓기에 특화됐고 딜리셔스에 대응하는 에퓨어리인 플럼프 또한 간접 제재를 받은 셈이라 에이스인 엑스퓨어리 누아르의 소환도 조금 힘들어졌다. * '''라뷰린스 스토피'''는 테마 마함을 덱에서 불러오고, 2레벨이라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의 소환에도 유용한, 라뷰린스 운영의 한 축을 맡는 하급 몬스터다. 라뷰린스가 계속해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자 [[라뷰린스]]의 첫 제재 대상이 됐다. * '''남정룡-템피스트'''는 한때 악명 높던 [[정룡]]의 일원이자 드래곤족 만능 서치 요원이다. 오랜 시간 동안 정룡은 준제한부터는 제외 효과로 자기 자신을 서치할 수 있는 구조가 위험시되곤 했으나, 화염 속성을 지원하는 다른 정룡인 염정룡-블래스터가 무제한으로 풀렸음에도 별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보니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지는 바람 속성을 지원하는 남정룡 또한 제재가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 '''제한 해제'''는 [[십이수 드란시아|{{{#green 십이수 드란시아}}}]], '''[[십이수#십이수의 회국|{{{#green 십이수의 회국}}}]]''', [[LL#LL-코발트 스패로|{{{#green LL-코발트 스패로}}}]]가 선정되었다. * '''십이수 드란시아'''는 드란시아 이상의 견제를 하는 카드도 대거 등장한 관계로 제한에서 곧장 무제한으로 풀려났다. * '''십이수의 회국'''은 드란시아에 이은 십이수의 제재 완화성 금제다. 일소권 없이 드란시아를 뽑는데다 각종 파괴 트리거 카드와의 시너지로 인해 TCG권에서는 아예 드란시아와 쌍으로 금지인 카드지만 십이수 자체의 위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고 판단했는지 풀려났다. * '''LL-코발트 스패로'''는 2022년 5월에 LL트라게를 견제하기 위해 제재됐던 카드다. 그러나 LL트라게가 티어권에서 내려온 지 시간이 한참 지났음에도 어째서인지 제재가 완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다가, 이번 금제에서 장장 1년 반 만에 풀려나게 됐다. === 금제 이후 전망 === [[루닉]]은 샘 제한으로 꽤나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샘이 제거되더라도 후긴을 통해 쉽게 다시 서치해 발동하거나 여유가 생겼을 때 게리로 퍼올릴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샘이 한 번이라도 제거되면 회수할 때까지 기믹이 완전히 정지하게 된다. 그나마 파괴되는 경우는 후긴으로 막을 수 있지만 제외 효과는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위험해졌다. 그리 많이 남지는 않았지만 근근이 명맥이 유지되던 싱크로 루닉은 이번 금제로 완전히 몰락했다. 그 다음으로 타격을 입은 덱은 10월 듀얼리스트 컵의 탑티어 덱이었던 [[퓨어리]]로, 금제 자체는 소소해보이나 퓨어리 본체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공격권 자체가 줄어드는 타격을 입고, 딜리셔스 메모리의 준제한으로 마이프렌드로 확정 서치가 불가능해졌으며 퓨어리 본체의 준제한으로 인해 뽑기를 돌릴 기회마저 줄어들었다보니 딜리셔스 메모리에 닿을 확률이 극히 떨어지게 되었다. 특히 개체수와 패 매수를 쉽게 불렸기 때문에 가능했던 고스트릭, 정확히는 리폼까지 채용해 2누아르를 세우는 극고점 축은 크게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이며,[* 3퓨어리 소환으로 아드를 최대한 보충해야 가능한 빌드이기 때문. 그 정도까지의 전개가 필요하지 않은 미래용황+1누아르까지만 굴리는 퓨어리에겐 그렇게 심각한 타격은 아니다.] 슬리피메모리를 전개에 활용하게 할수 있는 [[퓨어리#s-5.1.4|에퓨어리 누아르]]가 발매될때 까진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참기(유희왕)|참기]]는 서큘러가 온전하기 때문에 마이닝이 준제한이 된것은 약간 아쉽지만 초동률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다이어의 제한으로 첫턴부터 손에 서큘러와 다이어를 모두 다 잡을 확률이 낮아졌고 그에 따라 고점플레이를 할 확률이 다소 낮아졌다. 특히 비스테드에 의해 다이어가 제외된다면 원래는 네오 템피스트를 경유해서 묘지에 다시 다이어를 넣어둘수 있었으나 이젠 [[사이바넷#사이바넷 롤백|사이바넷 롤백]] 같은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한 다이어를 그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아직 비스테드에 대한 제재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인도하는 성녀 쿠엠]]같은 낙인의 마지막 지원이 들어와 세를 불린다면 참기 입장에서도 더더욱 크게 부담스러울 것이다. @이그니스터나 파이어월 지원을 사용하는 사이버스GS 같은 경우는 다이어 의존도가 순수축보다 낮기에 이들이 인기를 끌수 있을 것인지 주목되는 부분. 그 이외의 제재 대상이던 드래곤링크, 라뷰린스에 대한 제재 수위는 미묘하다. 드래곤 링크는 비정상적인 공격권을 담당하던 퀵 리볼브와 카오스 테리토리가 모두 제재되긴 했으나 빈 자리에 다른 초동이나 범용카드를 채워넣을 수 있으며, 라뷰린스는 기믹의 핵심인 빅웰컴 라뷰린스가 제재되지 않은 데다 상대하기 부담스러운 퓨어리와 참기가 어느정도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오히려 반사이익을 본 상황. 유력한 금제 후보로 꼽히던 [[크샤트리라]]는 완전 무제재로 넘어갔다. 10월의 듀얼리스트 컵에서 큰 인상을 주지 못한 점과 플레임 오브 퓨리 팩의 판매기간과 관련된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 총평 === 티어덱을 여럿 건드리기는 했지만 대대적인 쳐내기를 위한 금제라기보다는, 운영 측에서 어떤 덱이 티어권인지를 인지하고 있다고 보여준 경고성 금제에 가깝다. 저번 듀얼리스트 컵 상위를 독식하다시피 한 고스트릭 리폼 채용형 퓨어리가 꽤 타격을 입은 것을 제외하면 안정성 너프 위주의 제재가 대부분이라, 특별히 인상적인 내용은 없는 평범한 금제라는 평이 많다. 이와는 별개로 추가 금제로 한 시대를 주름잡던 '''[[십이수]]'''와 '''[[정룡]]'''의 상당한 제재 완화가 발표되자 꽤 화제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오프 환경과는 완전히 다른 실험적인 금제가 되었다. 11기 후반의 역대급 인플레로 인해 현 메타에 이 카드들이 영향을 줄 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이 많으나, 악용 여지를 걱정하는 우려도 소수 의견으로 존재한다. 특히 십이수는 이번에 석방된 회국 덕분에 아제우스 전개가 매우 쉬워진 상황인지라 대다수가 경계하는 상황이다. 12월 듀얼리스트 컵이 끝난 뒤의 평가는 [[정룡]]은 딱히 큰 위협까진 아니지만 [[십이수]]는 꽤 강력해졌단 평가가 많다. 특히 [[스케어클로]]나 [[크샤트리라]]와 섞인 십이수가 이번 달에 열린 듀얼리스트 컵에서 꽤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 덕에 향후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version=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