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서)] 陸瑁 ?~239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의 인물이며 자는 자장(子璋)으로 [[육손]]의 동생. 양주 오군 오현 사람. == 생애 ==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정의를 중시해 주위에 청빈한 친구들인 진융, 복양일, 장찬, 원적 등이 모여들어 육모와 교류하자 육모 또한 작은 물건이라도 나누어 주고 그들과 함께 동고동락 했으며, 심지어는 그와 면식이 없는 같은 군 사람인 [[서원(손오)|서원]]이라는 자는 죽을 때 유서를 남겨 고아가 된 자신의 아이들을 돌봐주기를 부탁하자 육모는 그들을 맞이해 길렀다. 219년에 숙부 [[육적]]이 요절했을 때 고향으로 돌아가 있던 그의 아들 육굉, 육예과 딸 [[육울생]]도 모두 돌아오도록 해 육모가 길러 이들이 모두 성장하자 헤어졌다. 그런 그의 명성 덕분에 주와 군에서 그를 불러 천거했지만 모두 취임하지 않았으며, 당시 인물 품평에 탁월했던 [[글염]]이라는 자가 관리를 선발할 때 사람들의 단점을 공개하자 육모는 편지를 보내 [[공자]]의 사랑과 [[곽태]]의 구제를 본받으라고 말했지만 실행이 불가능한 말이라 실패한다. 232년에 [[손권]]이 직접 공적인 수레로 육모를 초빙하자 육모는 의랑, 선조상서가 되었으며, [[공손연]]이 손권의 사자를 목베고 위나라에 귀부한 일에 손권이 분노해 직접 정벌하려고 하자 상소를 올려 우리가 공손연을 공격하면 공손연이 위와 손을 잡을 것이며 또 바다를 건너 거기까지 가는 것이 불가능한 데다가 본진을 산월족이 뒤치기로 먹힐 수 있음을 들어 반대했다. 그래도 손권이 공격하려고 하자 다시 상소를 올려 지금 위와 산월의 문제가 바로 본진에 있는데, 그 먼 곳까지 군사를 보내는 것이 뭐하는 짓이냐라고 하자 그제서야 손권이 육모의 문장의 이치와 곧고 간절함을 칭찬해 원정 계획을 실시하지 않았다. 239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로는 [[육희]]가 있으며, 손자는 [[육엽]], [[육완]] 등이 있다. 삼국시대 이후 위진남북조시대에 활동했던 대다수의 오군 육씨들은 육모의 후손인 경우가 많다.[* 육손은 유일하게 후사를 남긴 아들 [[육항]]의 후손들이 전부 [[삼국통일]], [[팔왕의 난]] 때 죽어서 대가 끊겼다.] == 창작물에서 == || [[파일:육모.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그냥 남자 사람 수준. [[육손(삼국지 시리즈)|육손]]의 형제인데 불구하고 정규 시리즈에서는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가 [[삼국지 14]]에서 정식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11, 무력 12, 지력 71, 정치 68, 매력 78이며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치면서 위로 올리고 있다. 개성은 교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고승(삼국지)|고승]], 혐오무장은 없다. 안행진이 있어서 원거리 보조용으로 쓰인다. [각주] [[분류:손오의 인물]][[분류:239년 사망]][[분류:장쑤성 출신 인물]][[분류:오군 육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