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윤병호}}}'''[br]'''尹炳浩'''}}}}}}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병호(정치인).jpg|width=100%]]}}} || || '''호''' ||창남(滄南) || || '''본관''' ||[[파평 윤씨]] || ||<|2> '''출생''' ||[[1889년]] [[8월 5일]][* [[http://db.history.go.kr/id/im_108_20634|다른 자료]]에는 1888년 8월 3일생 또는 1889년 8월 3일생으로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 ||[[경상도]] [[남해군|남해현]] [[설천면(남해)|설천면]] 문의리[br](現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남해)|설천면]] 문의리)[* [[파평 윤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윤주순]]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74년]] [[7월 13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개봉동]] 광복아파트 자택[br](現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 철산동광복현대아파트) || || '''묘소'''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남해)|설천면]] 문의리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이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9년 8월 5일 경상도 남해현 설천면 문의리(現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문의리)에서 [[https://hangeul.or.kr/%EC%9D%B8%EB%AC%BC%EC%9E%90%EB%A3%8C/3080852|태어났다]]. 이후 [[부산광역시|부산부]] 본정3정목(現 [[부산광역시]] [[중구(부산)|중구]] [[동광동3가]])로 이주하여 본적을 옮겼다. 1911년 [[보성전문학교]] [[경제학과|경제과]], 1915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를 졸업했다. 1909년 [[만주]]로 건너가 [[안희제]]·[[남형우]]·[[서상일]]·[[김동삼]]·[[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876|이동하]](李東廈)·[[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965|이시열]](李時說)·[[박중화]]·[[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824|배천택]](裵天澤) 등 80여 명의 동지들과 함께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신민회]] 계열의 비밀 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을 창립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1 운동]] 직후에는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부산부]]에서 안희제가 설립한 백산상회의 [[지배인]] 겸 [[취체역]]이 되어 실질적으로 회사를 관리했고, 이후에는 백산무역주식회사로 개편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고 국내외로 연락하는 기관으로 삼았다. 또 동지들을 비밀리에 파견하기도 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안희제와 함께 기미육영회(己未育英會)를 조직해 많은 청년들을 인재로 양성하고 외국 유학을 위한 학자금을 지원했다. 1920년 [[동아일보사]]가 창립되었을 때 발기위원으로 참가했다. 1926년 경상남도 평의원으로서 평의회에서 1면에 보통학교 1개를 설립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때 통영군 출신 도평의원 김기정(金淇正, 1884. 9. 7 ~ ?)[* [[http://db.history.go.kr/id/im_101_01160|조선신사대동보]]에 수록되었을 정도로 애당초 친일 성향이 짙었던 사람이다.]이 "조선 사람에게는 교육이 필요치 않다"라는 말로 설화(舌禍)를 일으켜 "김기정 징토사건"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1929년 10월 [[조선어연구회]]가 조선어사전 편찬회를 조직하자 이에 가입하여 사전 편찬사업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그 뒤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 때 조선어학회에 재정 지원을 해준 혐의로 같은 달 23일 [[함경남도]] [[홍원군|홍원]]경찰서에 [[http://db.history.go.kr/id/su_013_1942_10_23_0500|검거되어]] 이후 [[함흥시|함흥]]경찰서 등지에서 2년 간 고초를 겪었고, 1943년 9월 18일 [[기소유예]]로 출옥하였다. [[8.15 광복]] 후 [[경상남도청]] 농림국장 및 농정과장 등을 지내다가 사임하고 조선염직 관리인, 원주잠사주식회사 사장 등으로 기업을 경영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남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이후에 [[민주당(1955년)|민주당]]에 입당했다. [[제5대 국회의원]]이던 [[최치환]]이 [[3.15 부정선거]]와 관련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하여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자 치러진 [[1961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남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김종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고, 1974년 7월 13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개봉동 광복아파트[* 개봉동은 1980년 [[구로구]]가 영등포구에서 분리, 신설되면서 구로구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광복아파트는 이후 뜬금없이 시흥군 서면 철산리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30200239107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03-02&officeId=00023&pageNo=7&printNo=15969&publishType=00010|편입되었다]]. 시흥군 서면 철산리는 1980년 시흥군 광명출장소 철산리를 개편되었다가 1981년 광명시 철산동이 되었다.]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4071400239107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7-14&officeId=00023&pageNo=7&printNo=16392&publishType=00010|별세했다]].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남해군) || [include(틀:무소속)] || '''16,994표 (38.24%)''' || '''당선 (1위)''' || '''초선''' || || 1961 || [[1961년 재보궐선거]] (경남 남해군)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4,155 (20.58%) || 낙선 (2위) || ||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파평 윤씨]][[분류:남해군 출신 인물]][[분류:1889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고려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