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b0029 0%, #ab0029)" {{{+1 {{{#ffc600 '''창원 LG 세이커스 No.10'''}}}}}}}}} || ||<-3> {{{#ffffff '''CHANGWON LG SAKER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원상2023-24.png|width=100%]]}}} || ||<-3> '''{{{+2 {{{#white 윤원상}}}}}}[br]{{{#white 尹元相 | Yoon Won Sang}}}''' || ||<|2><-2> {{{#ffc600 ''' 출생 ''' }}} ||[[1998년]] [[7월 2일]] ([age(1998-07-02)]세) || ||[[울산광역시]] || ||<-2> {{{#ffc6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c600 ''' 신체 ''' }}} ||[[키(신체)|키]] 181cm|[[체중]] 74.5kg |[[윙스팬]] 186cm[* 2020 KBL 신인드래프트 컴바인] || ||<-2> {{{#ffc600 ''' 포지션 ''' }}}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 ||<-2> {{{#ffc600 ''' 학력 ''' }}} ||삼신초등학교 {{{-2 (졸업)}}}[br][[화봉중학교]] {{{-2 (졸업)}}}[br]무룡고등학교 {{{-2 (졸업)}}}[br][[단국대학교]] {{{-2 (체육교육과 17 / 학사)}}} || ||<-2> {{{#ffc600 ''' 프로입단 ''' }}} ||[[2020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20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6순위, [[창원 LG 세이커스|창원 LG]])}}} || ||<-2> {{{#ffc600 ''' 소속 ''' }}} ||[[창원 LG 세이커스]] (202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원 LG 세이커스]]에서 뛰고 있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포지션은 [[가드]].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무룡고등학교를 졸업후 [[단국대학교]]에 입학하였다. 고등학교 레벨에서 좋은 평가를 받던 선수였고 선수층이 얇은 단국대에 진학하였기에 1학년 때부터 주전급으로 출장했다. 팀의 주축으로 1학년때는 4학년 선배인 하도현, 홍순규, 전태영과 함께 단국대의 상위권 도약을 도왔다. 4학년 셋이 모두 프로에 진출한 2학년부터는 권시현과 함께 팀의 에이스 역할로 고군분투하였다. 3학년때는 권시현마저 프로에 진출하며 거의 원맨팀 수준으로 득점 비중이 늘어나며 득점왕에 올랐다. 3학년 때의 활약이 워낙 인상적이어서 잠깐 로터리픽 후보에 오르기도 했지만 4학년 때 여러 부상이 겹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에 평가가 다소 내려갔다. 이러한 평가 절하의 이유로는 단국대 대학농구리그 득점왕 출신들이 프로에서 부진해왔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부분도 있다. === [[창원 LG 세이커스]] === [[파일:윤원상230201.jpg|width=500]] 2020-2021시즌 신인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6순위로 [[창원 LG 세이커스]]에 지명되었다. 2020년 12월 6일에 열린 [[안양 KGC인삼공사]]와의 홈경기에서 2쿼터에 선발로 데뷔 첫 경기를 치뤘다. 2점슛 3개와 3점슛 2개를 던졌으나 베테랑 [[양희종]]에게 블락을 당하는등 데뷔 첫 득점에는 실패하였다. 데뷔 첫 경기 기록은 4분 38초 출장 0득점 1리바운드이다. 2021년 1월 1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서울 삼성 썬더스]]와의 경기에 선발 출장해 13득점 3어시스트 3스틸을 기록 팀의 84-77의 승리를 이끌고 연패를 끊었다. 그 이후에도 좋은 모습을 잘 보여줬고 , 아쉽게 21-22시즌에는 기회를 잘 못받았지만 22-23시즌에 조상현 감독 부임하고 나서 현재 강력한 기량발전상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 플레이 스타일 == 고등학생 때부터 폭발력을 인정받았고 중위권 팀인 단국대에 진학하여 신입생때부터 주전으로 뛰었다. 181cm의 신장임에도 1번보다는 2번에 가까운 플레이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슛 레인지가 길고 릴리즈가 빠르며 패스를 받아 무빙슛, 스텝백 등의 스킬로 혼자서 만드는 슛에 모두 강점이 있는 선수이다. 하지만 대학교 4년 내내 홀로 리딩을 하는 경우가 없었다. 보조 리딩에는 무리가 없다는 평이나 1번을 맡기에는 조금 불안한 드리블과 부족한 시야가 발목을 잡았다. 성실한 선수로 알려져 있다. 다만 부상이 잦아서 많은 경기에 나온 적이 없다. 22-23시즌에는 좋은 수비력과 슈팅능력을 바탕으로 3&D 자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시즌별 성적 == ||<-11>
{{{#ffc600 역대 성적}}} || || {{{#ffc600 시즌}}} || {{{#ffc600 소속팀}}} || {{{#ffc600 경기수}}} || {{{#ffc600 2점슛}}} || {{{#ffc600 3점슛}}} || {{{#ffc600 자유투}}} || {{{#ffc600 득점}}} || {{{#ffc600 리바운드}}} || {{{#ffc600 어시스트}}} || {{{#ffc600 스틸}}} || {{{#ffc600 블록슛}}} || || 2020-21 ||<|3> [[창원 LG 세이커스|LG]] || 23 || 20/48 [br] (41.67%) || 18/51 [br] (35.29%) || 18/19 [br] (94.74%) || 112 || 23 || 25 ||12 || 0 || || 2021-22 || 20 || [br] || [br] || [br] || || || || || || || 2022-23 || 54 || [br] || [br] || [br] || || || || ||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3시즌) || 97 || || [br] || [br] || [br] || || || || || == 여담 == * 별명이 '아삭이' 인데, 선수단 사이에서 '아삭아삭 씹어주고 싶게 생겼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팬들은 [[강병현(1985)|강병현]]이 지어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창원 LG 세이커스]]에서 뛰었던 [[박병우]], [[이원대(농구)|이원대]]와 같은 울산 출신이며 화봉중과 무룡고 또한 같다. 그렇지만 루키 시즌 이후 박병우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이원대는 서울 SK 나이츠로 이적하면서 고향 형들과 이별을 했다. * 자신을 뽑아준 [[조성원]] 감독의 아들인 조종민 선수는 중앙대에서 편입한 후배다. 그러나, 조종민 선수는 끝내 지명을 받지 못했다. * 1998년 생으로 호랑이띠다. 평소 호랑이 답게 목소리도 씩씩한 편이다. * 울산에서 나고 자라선지, 사투리가 심하다. * 준수한 외모로, 팬들이 좋아하는 선수중 하나이다. * 팬서비스가 매우좋은 선수로, 원정경기 버스탑승하기까지 모든 팬 하나하나 사인과 사진을 잘 찍어주기로 유명하다. * [[2022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22년 드래프트]]에 지명된 같은 팀 후배 [[양준석]]과는 같은 울산 출신에다가, 화봉중-무룡고 출신이기도 하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8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포인트 가드]][[분류:슈팅 가드]][[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창원 LG 세이커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