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재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6.svg|width=5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7.sv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1년 한국시리즈|{{{#ffffff 1991}}}]]''' || '''[[1993년 한국시리즈|{{{#ffffff 1993}}}]]''' ||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번}}}''' || || [[백인수|백인호]][br](1987~1988) || {{{+1 →}}} || '''{{{#ff0000 윤재호[br](1989~1992)}}}''' || {{{+1 →}}} || 유진우[br](1994~1996)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6번}}}''' || || [[백인수|백인호]][br](1990~1992) || {{{+1 →}}} || '''{{{#ff0000 윤재호[br](1993)}}}''' || {{{+1 →}}} || 송인호[br](1994~1996)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9번}}}''' || || 송인호[br](1991~1993) || {{{+1 →}}} || '''{{{#ffc81e 윤재호[br](1994~1996)}}}''' || {{{+1 →}}} || [[김성래]][br](1997~1999) || }}} || ||<-2>
'''{{{+2 윤재호}}}[br]尹載晧 | Yoon Jae-ho''' || ||<|2> '''출생''' ||[[1967년]] [[3월 6일]] ([age(1967-03-1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동대문상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9년/신인드래프트#s-3|1989년 2차 1라운드]] ([[해태 타이거즈|해태]]) || ||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 (1989~1993) [br] [[쌍방울 레이더스]] (1994~1996) || || '''지도자''' ||[[제주산업정보대학|제주산업정보대학교]] 야구부 감독 (2005~2010) [br] [[동국대학교 야구부]] 감독 (2011~2012) [br] [[홍익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2018) [br] [[강릉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9) [br] [[여주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태 타이거즈]]-[[쌍방울 레이더스]] 출신의 우투우타 내야수. == 선수 경력 == 데뷔 2년차인 1990년부터 주전 유격수로 출장했고, [[해태 타이거즈|해태]]의 [[1991년 한국시리즈]] 우승에도 기여했던 나름 준수했던 유격수였다. 통산기록을 보면 지금도 유격수나 2루수 중 타격 성적이 부진한 선수들은 매우 많다. 그런 유격수들에 비하면 윤재호의 성적은 도루도 많고 매우 평범하다. 거기다가 볼삼비를 보면 알듯 선구안도 괜찮아서, 팀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타자였다. 화려했던 멤버를 자랑하는 1991년 해태의 주전으로서는 다소 부족했을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30년 후의 도루 능력이 저하된 [[박찬호]]랑 비교하면 조금 낫다.] 나름 팀의 우승에 기여했던 선수다. 1993년 [[이종범]]이라는 초특급 신인이 등장해서 주전 자리가 밀려 백업 내야수가 되었다.[* 직전 3년간 유격수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종범이 입단해서 내가 이런 대접을 받게 된거 아니냐' 항의해도 [[김응용]] 감독 입장에서는 할 말이 없을 듯하다.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서정환]]이 출연하여 당시의 상황을 설명했다. '이종범이 대학 졸업하고 입단할테니 너는 [[2루수]]와 [[3루수]]를 연습해라'고 말을 하자 충격을 받고 3일동안 훈련에 불참했으며 수비력은 좋았는데 타력이 받쳐주지 못했던 선수라고 안타까워했다.] 결국 시즌이 끝난 후 [[쌍방울 레이더스]]로 트레이드되었으며 다음 해 쌍방울의 주전 유격수가 됐다. 하지만, 1995년 [[김호(야구)|김호]]의 복귀로 설 자리를 잃은 채 1996년 후 은퇴했다. 이종범이 해태에 오지 않았다면 김호, [[김민호(1969)|김민호]], [[염경엽]]처럼 질긴 생명력을 가진 유격수로 롱런했을지도 --[[이종범|그리고 해태가 90년도 중반 이후에에 우승을 못했을지도]]-- 모르는 일. 그래도 염경엽보다는 타력이 준수했다. 결과론적인지 모르겠지만 해태는 이종범이 없다면 [[김응룡]]이 [[홍현우]], [[이호성]] 중심으로 다른 타선을 만들었을지도 모르는 일이긴 하다. 종합해보면 [[이종범]]의 존재가 없었거나, 앞의 김호나 [[박계원]], 염경엽, 김민호, [[지화동]]처럼 타력이 약한 유격수를 보유한 팀에서 뛰었으면 좀더 오래 선수생활을 할 수 있었겠지만,[* 나머지 구단에는 [[류중일]], [[류지현(야구)|류지현]]이라는 걸출한 유격수가 있었다.] 해태라는 구단과 이종범에 의해 희생된 안타까운 케이스. == 은퇴 후 == 제주정보산업대학 야구부 감독을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맡았다. 모교인 동국대학교에서 감독 제안이 들어와서 2011년부터 감독을 맡았고 전국대회 우승을 이끌며 감독상을 2년 연속 수상했지만, 2013년 초에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79158.html|고교, 대학 야구 지도자들이 뇌물수수로 인해 줄줄이 경찰에 잡혀가면서]] 당시 배재고 감독 [[이광은]], 한양대 감독 [[천보성]], 연세대 감독 [[정진호(1956)|정진호]] 등과 함께 소속 팀에서 줄줄이 해임되었다. 해임된 뒤로는 야인으로 지내다가, --대학교 선배이자-- 현역 시절 같은 팀 선배였던 [[장채근]]의 제안을 받아들여 2018년부터 홍익대학교에서 인스트럭터를 맡았다. 2019년부터는 [[강릉고등학교 야구부|강릉고등학교]] 코치로 합류했으나 1년 후 팀을 나왔고, 2020년부터 [[여주대학교 야구부]] 코치를 맡고 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삼진}}} || {{{#ffff00 출루율}}} || {{{#ffff00 장타율}}} || {{{#ffff00 OPS}}} || || 1989 ||<|5> [[해태 타이거즈|해태]] || 45 || .215 || 17 || 2 || 0 || 0 || 10 || 3 || 2 || 7 || 0 || 12 || .276 || .241 || .516 || || 1990 || 114 || .260 || 84 || 12 || 2 || 2 || 33 || 39 || 13 || 31 || 4 || 40 || .331 || .328 || .659 || || 1991 || 113 || .242 || 64 || 9 || 2 || 2 || 27 || 34 || 18 || 44 || 5 || 29 || .360 || .314 || .674 || || 1992 || 106 || .232 || 58 || 10 || 1 || 1 || 23 || 30 || 4 || 39 || 5 || 38 || .342 || .292 || .634 || || 1993 || 59 || .096 || 5 || 0 || 0 || 0 || 2 || 2 || 3 || 4 || 1 || 14 || .175 || .096 || .272 || || {{{#ffcc00 연도}}} || {{{#ffcc00 소속팀}}} || {{{#ffcc00 경기수}}} || {{{#ffcc00 타율}}} || {{{#ffcc00 안타}}} || {{{#ffcc00 2루타}}} || {{{#ffcc00 3루타}}} || {{{#ffcc00 홈런}}} || {{{#ffcc00 타점}}} || {{{#ffcc00 득점}}} || {{{#ffcc00 도루}}} || {{{#ffcc00 볼넷}}} || {{{#ffcc00 사구}}} || {{{#ffcc00 삼진}}} || {{{#ffcc00 출루율}}} || {{{#ffcc00 장타율}}} || {{{#ffcc00 OPS}}} || || 1994 ||<|3>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93 || .175 || 32 || 4 || 0 || 0 || 11 || 16 || 6 || 13 || 5 || 21 || .248 || .197 || .444 || || 1995 || 83 || .211 || 34 || 5 || 0 || 0 || 9 || 15 || 4 || 8 || 0 || 29 || .246 || .242 || .488 || || 1996 || 2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8시즌) || 615 || .224 || 294 || 42 || 5 || 5 || 115 || 139 || 50 || 146 || 20 || 183 || .309 || .275 || .58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분류:1989년 데뷔]][[분류:1996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