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윤주연}}}'''[br]'''尹柱淵'''}}}}}}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주연.jpg|width=100%]]}}} || || '''자 / 호''' ||세오(世吳) / 마성(蟆城) || || '''본관''' ||[[해남 윤씨]][* 어초은공파(漁樵隱公派) 25세 주(柱) 항렬.] || ||<|2> '''출생''' ||[[1916년]] [[4월 21일]][* 해남윤씨대동보 권4 162쪽에는 4월 22일생으로 오기되어 있다.] || ||{{{-1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해남)|삼산면]] 창리 용두마을 625번지[*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CadastreDetail.do?packid=0000215738&docid=0007772474&mngno=BJCA444828&type=12&want=1&arch_tp_id=12&formType=old&rtURL=%2facreage%2flistOldnameSearch.do%3fpage%3d2%5edepth1%3d%25EC%25A0%2584%25EB%259D%25BC%25EB%2582%25A8%25EB%258F%2584%5edepth2%3d%25ED%2595%25B4%25EB%2582%25A8%25EA%25B5%25B0%5edepth3%3d%25EC%2582%25BC%25EC%2582%25B0%25EB%25A9%25B4%5edepth4%3d%25EC%25B0%25BD%25EB%25A6%25AC%5earch_tp_id%3d12%5eserviceCode%3d1-1-3|1915년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이 지번의 필지는 1915년 당시 윤주연의 아버지 윤부호(尹富浩, 1890. 5. 13 ~ 1968. 8. 18)의 소유였다. 1968년 1월 31일 625-1번지와 625-2번지로 분리되었고, 625-1번지는 1995년 6월 1일 윤주연의 장조카 윤신하(尹新夏, 1936. 7. 22 ~ )에게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625-2번지는 1981년 8월 31일 윤주연의 7촌 재종질(再從姪) 윤순하(尹淳夏, 1960. 1. 25 ~ )에게로 소유권이 이전되어 현재에 이른다.]}}} || ||<|2> '''사망''' ||[[2010년]] [[9월 6일]]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285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 [[기업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서훈되었다. [[어부사시사]]로 유명한 고산(孤山) [[윤선도]]의 9대손이다.[* 윤선도의 다섯째 아들 윤직미(尹直美, 1643. 10. 5 ~ 1724. 3. 23)의 후손이다.] == 생애 == 1916년 4월 21일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창리 용두마을 625번지에서 아버지 윤부호(尹富浩, 1890. 5. 13 ~ 1968. 8. 18)와 어머니 [[연안 이씨]](1887. 1. 21 ~ ?) 사이의 4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해남군 삼산면 창리 상금마을 62번지[* 현재 이 지번의 필지는 62-6번지와 62-7번지로 분리되어 남아 있다. 62-6번지는 1966년 4월 26일 해남토지개량조합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62-7번지 또한 1966년 5월 7일 해남토지개량조합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토지개량조합은 1970년 농지개량조합으로 개칭되었다가 2000년 폐지되고 그 업무는 농업기반공사가 인수했다. 농업기반공사는 2005년 한국농촌공사로 바뀌었다가 2008년 [[한국농어촌공사]]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로 이주해 [[http://elecinfo.nec.go.kr/neweps/ezpdfwebviewe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2F6570646174612F455030362F45434D323030362F30312F45434D303132303036303333392F45434D303132303036303333395F30303336532E706466|본적을 옮겼고]], 상경한 뒤에는 [[경기도]] [[경성부]] [[사직동(종로구)|사직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종로구)|사직동]])에 거주했다. 1981년에는 [[경기도]] [[성남시]] [[수진동]][* 1989년 [[수정구]] [[수진동]]이 되었다.] 456번지에 거주했다.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연희전문학교 상경과]] 재학 중이던 1939년 12월, 경기도 경성부 사직동 자택에서 같은 학교에 재학 중이던 [[김상흠]]·[[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854|서영원]](徐泳源)·[[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2792|김영하]](金永河)·[[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191|김재황]](金在璜)·[[김상협]]·김용운(金龍雲)·[[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187|백재호]](白在鎬)·[[고영완]]·[[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185|이동원]](李東元)·[[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186|민영로]](閔泳魯) 등 50여 명의 학우와 함께 항일비밀결사 조선학생동지회(朝鮮學生同志會)를 조직했다. 이들은 1942년 3월 1일에 [[3.1 운동]]과 같은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하기로 결의하고, 전국 [[13도]] 중요 도시에 세포조직을 설치하는 등 조직을 확대하고자 했다. 또한 남산공원에서 새로 쓴 [[독립선언서]]를 선포하고 [[도쿄]] 등지에서 유학 중인 해외 유학생들과도 연락을 맺는 등 전국적인 거사를 계획했다. 이때 윤주연은 주로 외부 인사들과의 연락을 도맡았다. 이후 1940년 2월부터 1941년 7월까지 회원들과 함께 [[광주시|광주군]] [[남한산성면|중부면]] 산성리(現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남한산성]]과 경성부 [[냉천동|냉천정]](現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냉천동]]) 약수터, [[연희전문학교]] 뒷산, [[고양군]] [[벽제동|벽제면]] [[고양동|고양리]](現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읍내마을 벽제관 등 경성부 근교 각지에서 모임을 갖고 회원들의 독립의식을 고취하기도 했다. 그런데 1941년 7월 원산상업학교에 두었던 동지회의 하부조직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면서 조선학생동지회의 실체가 드러났다. 윤주연은 1941년 9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고, 이어 [[연희전문학교]]에서도 퇴학 처분을 받았다. 체포된 뒤에는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1943년 3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함흥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후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고, 곧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연희전문학교]]로부터 추가졸업장을 수여받았고, [[목포홍일고등학교|목포동광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또한 경기도 [[성남시]]에 사립 중·고등학교를 설립하고[* 이후 인접한 다른 학교에 통폐합되었다고 한다.] 성남시 호남향우회장을 2차례에 걸쳐 연임했고, 한주건설사 대표로서 건재 제조업을 경영했다. 1977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고, 1981년에는 통일민족당에 입당해 같은 해 실시된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족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광주시|광주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민주정의당]] [[오세응]]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동국대학교]]에 출강했으며, [[광복회]] 경기도지부장을 지내기도 했다.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에 서훈되었다, 2010년 9월 6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2010년 9월 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안장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성남시]]·[[광주시|광주군]]) || [include(틀:통일민족당)] || 4,547표 (2.28%) || 낙선 (8위) || ||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해남 윤씨]][[분류:해남군 출신 인물]][[분류:1916년 출생]][[분류:2010년 사망]][[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동국대학교 재직]][[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