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구라색 아티팩트)] ||<-3> {{{#ffffff '''으스름달'''}}} || || '''제목''' ||<-2> {{{#!html 朧月}}} (으스름달) || || '''가수''' ||<|3><-2> [[마후마후]] || || '''작곡''' || || '''작사''' || || '''일러스트''' ||<-2> 챠챠고마 || || '''영상 ''' ||<-2> MONO-Devoid || || '''페이지''' ||<-2> [[http://sp.nicovideo.jp/watch/sm32746679|[[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8oBp3OLXQ8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18년]] [[2월 16일]] || ||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금영노래방]][br][[TJ미디어]] || 44263[br]28845 || [목차] [clearfix] == 개요 == >'''「今は不香の花でありたい」''' >「지금은 향기 없는 눈꽃으로 있고 싶어」 [* [[니코니코 동화]] 투고 코멘트] [[마후마후]]의 오리지널 곡. [[유곽]]에 팔려간 상황에서도 과거의 연인을 잊지 못하지만 비참한 현실을 벗어날 수 없는 [[유녀]]의 마음을 표현한 일본풍 곡이다. 朧月를 음독으로는 로우게츠(ろうげつ)라고 읽지만, [[마후마후]]가 트위터에서 음독이 아닌 훈독으로 읽힌다고 언급하였다.[[https://twitter.com/uni_mafumafu/status/964079238369361921|#]] 그래서 로우게츠가 아닌 오보로즈키(おぼろづき)라고 읽는다. 따라서 한국어 번역으로는 '농월'이 아닌 '으스름달'로 옮긴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32746679)] * 유튜브 [youtube(8oBp3OLXQ8Q)] == 가사 == || {{{#ffffff 馴れ初めを知らぬまま}}} || || {{{#000000,#e5e5e5 나레소메오 시라누마마}}} || || {{{#000000,#e5e5e5 사랑의 시작을 모른 채}}} || || {{{#ffffff 薄紅点した宵時雨}}} || || {{{#000000,#e5e5e5 우스베니 사시타 요이시구레}}} || || {{{#000000,#e5e5e5 분홍 연지를 바른[* (薄)+(紅点した)로 보았을 때 뺨을 붉게 물들인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초저녁 가을비}}} || || {{{#ffffff 朔日に洗われて}}} || || {{{#000000,#e5e5e5 츠이타치니 아라와레테}}} || || {{{#000000,#e5e5e5 초하루에 씻기어}}} || || {{{#ffffff 真白になれたら}}} || || {{{#000000,#e5e5e5 마시로니 나레타라}}} || || {{{#000000,#e5e5e5 새하얗게 된다면}}} || || {{{#ffffff 幼き日々は貴方の傍}}} || || {{{#000000,#e5e5e5 오사나키 히비와 아나타노 소바}}} || || {{{#000000,#e5e5e5 어린 시절의 나날은 당신의 곁에서}}} || || {{{#ffffff 悠々 夢の果て}}} || || {{{#000000,#e5e5e5 유우유우 유메노 하테}}} || || {{{#000000,#e5e5e5 멀고 먼 꿈의 저편으로}}} || || {{{#ffffff 今宵は誰がために踊るのでしょう}}} || || {{{#000000,#e5e5e5 코요이와 타가 타메니 오도루노 데쇼-}}} || || {{{#000000,#e5e5e5 오늘 밤은 어느 분을 위해 춤추는 것일까요}}} || || {{{#ffffff 霞む 私は朧月}}} || || {{{#000000,#e5e5e5 카스무 와타시와 오보로즈키}}} || || {{{#000000,#e5e5e5 희미해지는 나는 으스름달}}} || || {{{#ffffff 手繰り寄せる朱殷の糸口よ}}} || || {{{#000000,#e5e5e5 타구리 요세루 슈안노 이토구치요}}} || || {{{#000000,#e5e5e5 더듬어 당기는 핏빛[* 朱殷의 본래 뜻은 도장을 찍을 때 쓰는 '''인주'''지만 '인주빛'과 같은 단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핏빛, 검붉은 색이라고 번역한다.]의 실마리여}}} || || {{{#ffffff 貴方に続けと願う}}} || || {{{#000000,#e5e5e5 아나타니 츠즈케토 네가우}}} || || {{{#000000,#e5e5e5 당신에게 이어지길 바라}}} || || {{{#ffffff 華やかな景観に}}} || || {{{#000000,#e5e5e5 하나야카나 케이칸니}}} || || {{{#000000,#e5e5e5 화려한 경관에}}} || || {{{#ffffff 当てられ世人は列なる}}} || || {{{#000000,#e5e5e5 아테라레 요히토와 츠라나루}}} || || {{{#000000,#e5e5e5 눈이 끌려 사람들은 늘어서}}} || || {{{#ffffff 愛しみは幾匁}}} || || {{{#000000,#e5e5e5 카나시미와 이쿠몬메}}} || || {{{#000000,#e5e5e5 슬픔은 몇 돈일까}}} || || {{{#ffffff 花は一匁}}} || || {{{#000000,#e5e5e5 하나와 이치몬메}}} || || {{{#000000,#e5e5e5 꽃[* 이 노래에서 화자를 지칭한다]은 한 돈인데}}} || || {{{#ffffff 知らぬ吐息を浴び 軋む帷}}} || || {{{#000000,#e5e5e5 시라누 토이키오 아비 키시무 토바리}}} || || {{{#000000,#e5e5e5 모르는 한숨을 뒤집어써 삐걱이는 장막}}} || || {{{#ffffff 今は不香の花でありたい}}} || || {{{#000000,#e5e5e5 이마와 후쿄-노 하나데 아리타이}}} || || {{{#000000,#e5e5e5 지금은 향기 없는 눈꽃으로 있고 싶어}}} || || {{{#ffffff 顔の無い人影に絆されて}}} || || {{{#000000,#e5e5e5 카오노 나이 히토 카게니 호다사레테}}} || || {{{#000000,#e5e5e5 얼굴 없는 사람 그림자에 얽매여}}} || || {{{#ffffff 手折られてしまうのなら}}} || || {{{#000000,#e5e5e5 타오라레테 시마우노나라}}} || || {{{#000000,#e5e5e5 꺾이고 마는 것이라면[* 앞에서 화자를 꽃에 비유했으므로 꺾인다는 것은 팔려 간다, 순결을 잃다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 || {{{#ffffff 袖口の手毬は転ぶ暗がりの方へ}}} || || {{{#000000,#e5e5e5 소데구치노 테마리와 코로부 쿠라가리노 호-에}}} || || {{{#000000,#e5e5e5 소맷부리의 색실공은 굴러가 어두운 곳으로}}} || || {{{#ffffff ねえ お願い}}} || || {{{#000000,#e5e5e5 네에 오네가이 }}} || || {{{#000000,#e5e5e5 저기, 부탁이야}}} || || {{{#ffffff ひとりにしないで}}} || || {{{#000000,#e5e5e5 히토리니 시나이데}}} || || {{{#000000,#e5e5e5 나를 혼자 두지 말아줘}}} || || {{{#ffffff 雲間に消える}}} || || {{{#000000,#e5e5e5 쿠모마니 키에루}}} || || {{{#000000,#e5e5e5 구름 사이로 사라져}}} || || {{{#ffffff 愛しい 愛しいよと木霊した}}} || || {{{#000000,#e5e5e5 이토시이 이토시이요토 코다마시타}}} || || {{{#000000,#e5e5e5 어여쁘다[* 가엾다는 뜻도 있다.], 어여쁘다고 끊임없이 말한}}} || || {{{#ffffff 日々は想うほどに遥か}}} || || {{{#000000,#e5e5e5 히비와 오모우 호도니 하루카}}} || || {{{#000000,#e5e5e5 날들은 떠올릴수록 아득히}}} || || {{{#ffffff 冷めぬ心に霏霏と 六つの花}}} || || {{{#000000,#e5e5e5 사메누 코코로니 히히토 뭇츠노 하나}}} || || {{{#000000,#e5e5e5 식지 않는 마음에 풀풀 쌓이는 눈꽃송이}}} || || {{{#ffffff 芽吹きと共に}}} || || {{{#000000,#e5e5e5 메부키토 토모니}}} || || {{{#000000,#e5e5e5 새싹이 움트는 계절과 함께}}} || || {{{#ffffff あの人のもとへ 帰ろう}}} || || {{{#000000,#e5e5e5 아노 히토노 모토에 카에로-}}} || || {{{#000000,#e5e5e5 그 사람의 곁으로 돌아가자}}} || || {{{#ffffff 遊里に咲く雪月花}}} || || {{{#000000,#e5e5e5 유우리니 사쿠 세츠케츠카}}} || || {{{#000000,#e5e5e5 유곽에 피어나는 설월화[* 눈, 달, 꽃을 뜻하며,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 || {{{#ffffff 霞む 私は朧月}}} || || {{{#000000,#e5e5e5 카스무 와타시와 오보로즈키}}} || || {{{#000000,#e5e5e5 어렴풋해지는 나는 으스름달}}} || || {{{#ffffff 手繰り寄せる朱殷の糸口よ }}} || || {{{#000000,#e5e5e5 타구리 요세루 슈안노 이토구치요}}} || || {{{#000000,#e5e5e5 더듬어 당기는 핏빛 실마리여}}} || || {{{#ffffff 貴方に続けと願う}}} || || {{{#000000,#e5e5e5 아나타니 츠즈케토 네가우}}} || || {{{#000000,#e5e5e5 당신에게 이어지기를 바라}}} || || {{{#ffffff 千切れぬ明日に}}} || || {{{#000000,#e5e5e5 치기레누 아스니}}} || || {{{#000000,#e5e5e5 끊기지 않는 내일에}}} || || {{{#ffffff 契りなどない}}} || || {{{#000000,#e5e5e5 치기리나도 나이}}} || || {{{#000000,#e5e5e5 혼인의 약속조차 없는}}} || || {{{#ffffff 薄月の色}}} || || {{{#000000,#e5e5e5 우스즈키노 이로}}} || || {{{#000000,#e5e5e5 엷은 구름에 가려진 으스름달의 색}}}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농월(마후마후), version=19, paragraph=3)] [[분류:창작 사이트/오리지널 곡]][[분류:마후마후]][[분류:2018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