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계종 25교구)] [include(틀:일제강점기 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전경 국립중앙박물관.jpg|width=100%]]}}}|| || {{{#fff '''일제강점기 은해사 전경'''}}} ||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0052375_52b4ccd9048a4.jpg|width=100%]]}}}|| || {{{#fff '''은해사 극락보전 전경'''}}} || '''한자 : 銀海寺 / 로마자 : Eunhaesa'''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 (치일리 479)에 위치한 [[절(불교)|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팔공산]] [[국립공원]] 동편에 있다. 809년([[신라]] [[헌덕왕]] 1년) 혜철국사가 해안평에 창건한 사찰로 처음에는 해안사(海眼寺)라고 하였다. 그 후 1264년([[고려]] [[원종(고려)|원종]] 5년)에 중창하였다. 1545년(조선 [[인종(조선)|인종]] 1년)에 소실되어 1546년([[명종(조선)|명종]] 1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은 후 법당과 비석을 세워 [[인종(조선)|인종]]의 태실을 봉하고 은해사라고 하였다. 1563년([[명종(조선)|명종]] 18년)에 다시 소실되어 이듬해 중건했다. 1589년([[선조(조선)|선조]] 22년)에 다시 중창하여 큰 절이 되었다. 1847년([[헌종(조선)|헌종]] 13년)에 또다시 불탄 것을 후에 중수하였다. 이때 극락보전 건물을 [[대웅전]]으로 사용해 왔다가 2011년 다시 극락보전으로 변경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보전과 설선당, 심검당, 종루, 보화루, 독성각, 승당, 요사채 등이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486호인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보물 제514호인 운부암 청동보살좌상, 보물 제790호인 백흥암 극락전 등이 있다. 이 밖에도 60여 점의 문화재와 24동(棟)의 건물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기기암, 백흥암, 운부암, 거조암, 중암암 등이 있다. 말사로는 [[경산시]] [[환성사]], [[군위군]] [[인각사]], [[경산시]] [[불굴사]], [[청송군]] [[대전사]], [[제주특별자치도]] [[약천사]] 등이 있다. == 주요 문화재 == === 국보 === ==== 거조암 영산전 ==== [[영천 거조사 영산전]] 문서 참고. === 보물 === ==== 백흥암 극락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정면 2015년 문화재청.jpg|width=100%]]}}}|| || {{{#fff '''백흥암 극락전'''}}} || 1643년(인조 21년) 지어진 건물로 1984년 7월 5일 보물 제790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내부의 수미단 또한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 백흥암 수미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문화재청.jpg|width=100%]]}}}|| || {{{#fff '''백흥암 수미단'''}}} ||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 조선초기의 불상으로 1969년 7월 30일 보물 제514호로 지정되었다. ==== 염불왕생첩경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문화재청 수정.jpg|width=100%]]}}}|| || {{{#fff '''염불왕생첩경도'''}}} || 1750년에 조성된 불화로 2015년 3월 4일 보물 제1857호로 지정되었다. ==== 괘불탱 ==== 1750년(영조 26년)에 그려진 괘불로 18세기를 대표하는 걸작이며 1997년 8월 8일 보물 제1270호로 지정되었다. ==== 청동북 및 북걸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순치3년명 금고 및 금고거 문화재청.jpg|width=100%]]}}}|| || {{{#fff '''청동북 및 북걸이'''}}} || 1646년에 만들어진 북으로 2009년 2월 23일 보물 제1604호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 기기암 신중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기기암 신중도 문화재청.jpg|width=100%]]}}}|| || {{{#fff '''기기암 신중도'''}}} || 1777년 제작된 조선후기의 불화로 2019년 8월 26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은해사 대웅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대웅전 현판 문화재청.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은해사 대웅전 문화재청.jpg|width=100%]]}}}|| || {{{#fff '''은해사 대웅전'''}}} || 19세기 중엽에 지어진 걸로 추정되며 1999년 8월 9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대중교통 == === 버스 ===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20]]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20-1]]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20-2]]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20-3]] * [[영천 버스 222]]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51]] * [[경산 버스 하양-와촌1|경산 버스 와촌1]] 1990년 공동배차제 이전에는 대구 35번(현 [[대구 버스 808|808번]]) 은해사 지선이 있었다. == 기타 == 사찰에서 [[팔공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거리가 매우 길다. 영천 쪽에서 팔공산으로 올 경우 차라리 치산에서 오는 것이 낫다.[* 다만 치산은 산불통제기간에는 등산객의 출입을 통제한다.] 2022년 4월 1일부터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51700|#]] 영천 선화여자고등학교가 원래 은해사 소유 학교였지만 2021년 9월에 [[동국대학교]]에 인수되어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선화여자고등학교로 바뀌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657209?sid=102|#]] == 외부 링크 == * [[http://www.eunhae-sa.org/| '''은해사 홈페이지''']] [[분류:대한불교조계종 본사]][[분류: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분류:영천시의 문화재]][[분류:팔공산]][[분류:한국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