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飮食方文.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요리책. 같은 이름을 가진 두 종류의 요리서가 있는데 둘은 명칭만 같을 뿐 서로 다른 요리책이다. == 정영혜씨 소장 음식방문 == 2016년 현재 소장자의 이름을 따 정영혜씨 소장본 음식방문이라 불리고 있으며, 술 주조법만 따로 떼어낸 술방문이라는 책과 셋트로 이루어져 있다. [[충청도]] 지방의 고조리서인 [[주식시의]] - [[우음제방]] 셋트와 그 형식이 유사하다. === 개요 === 작자 미상의 [[한글]]로 쓰여진 요리책. 저자는 알 수 없으나 책의 마지막에 “병진 오월 이십삼”이라 기록되어 있어 편찬 연대는 추측이 가능한데 병진(丙辰)이면 1820년, 1880년, 1940년이다. 이중 1940년은 책에 나오는 음식의 내용이나 한글의 형태가 전혀 맞지 않아 제외되었고, 1820년과 1880년 중 하나인데 학자들은 대부분 1880년이라 추정 중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에 거주하던 정영혜 씨가 시어머니로부터 물려받아 소장하던 책으로, 크게 음식방문과 술방문의 2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국의 고전 요리책 거의 대부분이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이나 수도 [[서울]]에만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음식방문의 발견으로 [[경기도]] 지방에서도 각 지방 고전 요리책을 대표하는 작품이 나오게 되었다. === 내용 === 책의 앞부분이 일부 누락되어 있는데 원래는 더 많은 음식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었으나 일부가 유실된 것으로 추정 중이다. 책의 순서는 맨 먼저 90여종의 음식을 만드는 법과 조리 시 유의사항이 기술된 후, 10종의 염색하는 법과 세탁법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시 음식에 관한 기록이 나오고, 이후 등불을 밝히는 법과 방구들을 놓는 법, 의복의 얼룩을 제거하는 법 등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또 다시 음식에 관한 기록이 있다. 이에 따라 음식 부분은 총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처음에는 다른 여러 책을 붙인 것이 아닌가 의심했지만 지속적인 연구 결과 문장의 단락이 나뉘어져 있지 않고, 글씨체는 한사람이 쭉 써온 것이 확인되어 한 사람이 수십년을 살아가면서 계속 덧붙여 기록한 것이란 결과가 나왔다. === 구성 === 총 144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음식을 만드는 법은 94종, 식품을 가공하고 저장하는 방법이 17종, 식품의 성질이나 효능, 식품의 독, 섭취 시 금기사항, 장(醬)이나 식초를 담그는 길일(吉日) 등에 대한 기록이 11종으로 음식 관련 항목은 모두 125종이다. 기타로는 섬유에 염색을 하는 법과 세의법, 풀을 먹이는 법, 옷에 묻은 얼룩을 제거하는 법 등이 17종, 온돌의 구들을 놓고 방을 도배하거나 어두운 밤을 밝히기 위한 등불을 피우는 법 등이 5종이 있다. * 주식류 * [[죽]] : 호두죽, 삼합미음, 율무의이, 갈분의이 * [[국수]] : [[냉면]] * [[만두]] : 변씨만두, 준치만두 * 부식류 * [[국(요리)|국]] / [[탕]] : 완자탕, 왕배탕, 되조미탕, 메기탕, 화돈, 추포깨국탕, 잉어탕 * 찌개 : 어물지지는 법, [[열구자탕]], [[승기악탕]] * [[찜]] : 증돈법, 돼지새기집찜, 아저찜, 양찜, 봉총찜, 증구법, 칠향계, 닭찜, 메추리찜, 생선찜(붕어찜), 게찜, 게 찌는 법. 송이찜 * [[구이]] / [[적]] : 설하멱, 제육구이, 고기 굽는 법, 생치구이, 봉총구이, 참새고기구이, 붕어 굽는 법, 생선 굽는 법, 게 굽는 법, 신검채산적 * 느르미 : 제육느르미 * 체 / 선 : 신검채, 죽순채, 동아선 * 족편 : 족편 * 회 : 위어회(웅어회) * [[젓갈]] : 염해법, 게젓, 청어젓, 연안식해 * 마른찬 : 민어포, 진주좌반, 편포, 약포, 임자좌반, 다시마튀각, 미역자반, 전복다식 * 침채류 : 전복침채, 동치미, 생치김치, 장김치, 동아섞박지, 섞박지 * 떡류 * 찐떡 : 저병, 복령조화고, 백설고, [[석탄병]], [[증편]] * 친떡 : 잡과병, 석이병, [[승검초단자]], 유자단자 * 지진떡 : 토란병, 권전병, 국화전 * 과정류 * 유밀과류 : 만두과 * 숙실과류 : 생강편 * 과편류 : 앵두편, 살구편 * 전약 : 전약 * 음청류 * 차(茶) : [[매화차]], [[국화차]], [[포도차]] * 밀수(蜜水) : 원소병 * 수정과(水正果) : 향설고, [[수정과]] * [[화채]] : 두견화책면 * 양념류 * 고추장(2), 식초(2), 향신채소, 소금, 간장, 된장, 기름을 섞은 유장, 설탕, 꿀, 급히 청장 담는 법, 장 담는 길일, 식초를 담는 길일 * 가공 및 저장법 * 건조법(乾燥法), 수장법(水藏法), 썩은 고기 삶는 법, 생선 씻는 법, 금린어 손질법, 문어 써는 법, 석수어를 끓이는법, 잉어뼈를 부드럽게 하는 법(분골니어법) == 안동 김씨 소장 음식방문 == [[경상북도]]의 [[안동 김씨]] 종가에서 내려오고 있는 요리책. 앞부분은 사라지고 동치미, 붕어찜, 게찜, 아저찜, 연사과, 밤주악, 산사편, 앵두편 등의 조리법 일부분만 남아있다. [[분류:조선의 요리서]][[분류:개인 소장 문화재]][[분류:성남시의 문화재]][[분류:안동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