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백문패/카드일람)] [include(틀:백문패/특수능력)] [목차] == 산꼬마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1.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산꼬마'''|| || 중국판 명칭 ||<-4>'''山童'''|| || 일어판 명칭 ||<-4>'''[ruby(山童, ruby=やまわろ)]'''|| ||<-5> 식신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없음 || 3 || 4 || 없음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관통''' || == 무모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2.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무모'''|| || 중국판 명칭 ||<-4>'''鲁莽'''|| || 일어판 명칭 ||<-4>'''[ruby(無鉄砲, ruby=むてっぽう)]'''|| ||<-5> 형태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1 || 3 || 5 || S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당신의 턴이 시작될 때, 산꼬마는 자동적으로 공격한다. || == 괴력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3.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괴력'''|| || 중국판 명칭 ||<-4>'''怪力'''|| || 일어판 명칭 ||<-4>'''[ruby(怪力, ruby=かいりき)]'''|| ||<-5> 전투 카드 || || 급 || 추가 공격력 || 쇠약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1 || 없음 || -1 || 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산꼬마가 영구적으로 공격력 1을 얻는다. || == 노호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4.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노호'''|| || 중국판 명칭 ||<-4>'''怒吼'''|| || 일어판 명칭 ||<-4>'''[ruby(怒号, ruby=どごう)]'''|| ||<-5> 주술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1 || 없음 || 없음 || S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모든 아군 식신들은 공격력 1을 얻는다. || == 서투름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5.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서투름'''|| || 중국판 명칭 ||<-4>'''笨拙'''|| || 일어판 명칭 ||<-4>'''[ruby(不器用, ruby=ぶきよう)]'''|| ||<-5> 형태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2 || 5 || 9 || 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상대의 턴이 시작될 때, 산꼬마의 공격력이 0이 된다. || == 쇄암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6.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쇄암'''|| || 중국판 명칭 ||<-4>'''碎岩'''|| || 일어판 명칭 ||<-4>'''[ruby(砕岩, ruby=さいがん)]'''|| ||<-5> 전투 카드 || || 급 || 추가 공격력 || 방패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2 || +2 || +2 || S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산꼬마에게 공격 받은 캐릭터의 방패를 제거한다. || == 각성 · 산꼬마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7.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각성 · 산꼬마'''|| || 중국판 명칭 ||<-4>'''觉醒 · 山童'''|| || 일어판 명칭 ||<-4>'''[ruby(覚醒, ruby=かくせい)] · [ruby(山童, ruby=やまわろ)]'''|| ||<-5> 주술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2 || +1 || 없음 || SS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각성''' : '''관통'''[br]비 전투 대미지를 무효화한다. || == 노리기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8.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노리기'''|| || 중국판 명칭 ||<-4>'''伺机'''|| || 일어판 명칭 ||<-4>'''[ruby(伺う, ruby=うかが)]う[* 伺う의 뜻은 "방문하다, 안문을 묻다"이고, 窺う(うかがう)가 같은 발음에 "노리다, 겨냥하다"라는 뜻, 중국어 단어보고 착각하고 오타난듯]'''|| ||<-5> 전투 카드 || || 급 || 추가 공격력 || 방패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2 || +2 || +1 || S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공격 당했을 때도 '''관통''' 대미지가 발생한다. [br]상대의 턴 중에 추가 공격력 +2를 얻습니다.[br]'''유발''' : 산꼬마가 공격 받을 때, 자동적으로 이 카드가 사용된다. || == 산사태 == ||<-5> [[파일:OnmyojiCardgame_yamawaro_9.png|width=50%]] || || 비공식 한글판 명칭 ||<-4>'''산사태'''|| || 중국판 명칭 ||<-4>'''崩山'''|| || 일어판 명칭 ||<-4>'''[ruby(崩山, ruby=ほうざん)]'''|| ||<-5> 주술 카드 || || 급 || 공격력 || 체력 || 레어도 || 획득 가능 팩 || || 3 || 없음 || 없음 || R || [[음양사 : 백문패/카드/고전비권|{{{#000000 고전비권}}}]] || ||<-5> 상대 전투 구역에 있는 식신에게 4 대미지를 주고, 대기 구역에 있는 식신에게 1 대미지를 준다.[br]'''증강''' : 산꼬마가 영구적으로 얻은 공격력 1당, 대미지가 +1을 얻는다. || [[분류:음양사 : 백문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