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동구의 법정동)] ||<-2> {{{#000,#fff '''[[성동구|{{{#000,#fff 성동구}}}]]의 [[법정동|{{{#000,#fff 법정동}}}]] 및 [[행정동|{{{#000,#fff 행정동}}}]][br]{{{+1 응봉동}}}'''[br]鷹峰洞 | Eungb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성동구 응봉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성동구]] || || '''법정동코드''' || 1120010800 || || '''행정표준코드''' || 3030047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77반 || || '''면적''' || 0.56㎢ || || '''인구''' || 14,953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6,233.3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fff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홍익표]] ,,(3선),, || ||<-2> {{{#fff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황철규 ,,(초선),, || ||<-2> {{{#fff '''성동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고용필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현주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주복중 ,,(초선),, ||}}}}}}}}} || || [[행정복지센터|{{{#fff '''주민센터'''}}}]] || 독서당로 424 (응봉동 101)[br][[https://www.sd.go.kr/eungbong/index.do|응봉동 주민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동구]]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법정동과 행정동의 영역이 일치한다. 북쪽과 동쪽은 [[행당동]], 서쪽은 [[금호동(서울)|금호동]]과 접하며, 남쪽은 [[중랑천]]을 경계로 [[성수동1가]]와 접하고 있다. 서울시의회 선거구로는 성동구 제2선거구, 성동구의회 선거구로는 나 선거구인데, 생활권이 인접한 행당동, 금호동이 아니라 중랑천을 사이로 뚝 떨어진 성수동과 같은 선거구로 설정되어 있다. == 역사 ==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삼국시대 ~ 후삼국시대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475 || [[고구려]] || 북한산군(北漢山郡) || || 553 ||<|6> [[신라]] || 신주(新州) || || 557 || 북한산주(北漢山州) || || 568 || 남천주(南川州) || || 604 || 한산정(漢山停) || || 660 || 한산주(漢山州) || || 757 || 한주 한양군(漢州 漢陽郡) ||}}}}}}}}} ||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고려시대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995 || [[관내도]] [[양주시/역사|양주목]](關內道 楊州牧) || || 1018 || [[양광도]] 양주목(楊廣道 楊州牧) || || 1067 || [[남경]](南京) || || ? || 양광도 양주목 || || 1104 || 남경(南京) || || 1308 || 한양부(漢陽府) ||}}}}}}}}} ||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조선시대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1395 ||<-3> 경기좌도 [[양주시/역사|양주군]](京畿左道 楊州郡) || || 1397 ||<-3> 경기좌도 양주부(京畿左道 楊州府) || || 1413 ||<-3> 경기도 양주부(京畿道 楊州府) || || 1424 ||<-3> [[한성부]] 남부(漢城府 南部) || ||<|2> 1751 ||<-3> 한성부 남부 두모방 신촌리계[br](漢城府 南部 豆毛坊 新村里契) || || || || 무학동(舞鶴洞) || ||<|3> 1895. 5. 26. ||<-3> 한성부 남서 두모방[br](漢城府 南署 豆毛坊) || ||<-2> 신촌리계[br](新村里契) || 왕십리계[br](往十里契) || || '''신촌리동'''[* 현재 응봉동에 해당하는 지역][br](新村里洞) || 행당리동[br](杏堂里洞) || 무학동 ||}}}}}}}}} ||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일제강점기 ~ 현대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법정동은 파란색, 행정동은 분홍색 || || 1910. 10. 1. || [[경기도]] [[경성부]] 남서 두모방 신촌리계 신촌리동[br](京畿道 京城府 南署 豆毛坊 新村里契 新村里洞) || || 1911. 4. 1. || 경기도 경성부 두모면 신촌리[br](京畿道 京城府 豆毛面 新村里) || || 1914. 4. 1. ||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신촌리[br](京畿道 高陽郡 漢芝面 新村里) || || 1936. 4. 1. || 경기도 경성부 응봉정[br](京畿道 京城府 鷹峰町) || || 1943. 6. 10. || 경기도 경성부 성동구 응봉정[br](京畿道 京城府 城東區 鷹峰町) || || 1946. 10. 9. || 서울특별자유시 성동구 응봉동[br](서울特別自由市 城東區 鷹峰洞) || || 1947. 6. || 응봉동 || || 1949. 8. 15. ||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br](서울特別市 城東區 鷹峰洞) || || 1955. 4. 18. || 행응동(杏鷹洞) || || 1970. 5. 5. || 응봉동 ||}}}}}}}}} || 조선시대에는 이 지역을 신촌리(新村里)로 불렀는데, 이는 새말을 한자로 훈차한 것이다. [[1420년]]([[조선]] [[세종(조선)|세종]] 2년)에 [[살곶이다리]]를 새로 가설하면서 그 근방에 있던 10여 호를 지금의 [[광희중학교]] 뒤로 옮겨 새로운 마을을 조성하였다 하여 새말로 불렸고, 이것이 곧 신촌리가 된 것이다. [[1936년]]까지는 쭉 신촌리라는 지명으로 불러 왔지만, 1936년에 [[경성부]]로 편입되면서 지금의 [[서대문구]]에 있는 [[신촌동]]과의 지명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응봉산에서 지명을 따서 응봉정(鷹峰町)으로 개칭되었고, 광복 후에는 응봉동(鷹峰洞)이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응봉동의 유래가 된 응봉산은 [[매(조류)|매]]가 많이 살았으므로 매봉, 또는 매(鷹)자를 붙여서 응봉이라 불렀다. 현재의 응봉동 일대와 뚝섬은 조선시대 왕들의 매 사냥터였다고 전해진다. 본래 매봉산, 또는 응봉산이라 부르는 산은 지금의 [[한남동]]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대통령 관저]] 뒷산까지 포함했는데, 근대 이후 산골짜기 사이로 주택들이 들어서고 도시를 이루면서 여기저기 떨어져 있게 되었고, 현재도 성동구에 있는 여러 산봉우리들이 응봉근린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양주시/역사|양주목]](楊州牧)에 속했다. 1067년([[문종(고려)|문종]] 21년)에 양주목이 [[남경]](南京)으로 승격하자 그에 속했는데, 얼마 가지 않아 남경이 다시 양주목으로 격하되었다. 1104년([[숙종(고려)|숙종]] 9년)에 다시 남경이 설치될 때에 그에 속해 쭉 유지되었다. [[1395년]]([[태조(조선)|태조]] 4년)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할 때에 [[한양도성]] 내부만 [[한성부]]가 되고 그 외 지역은 모두 양주군에 속하게 했는데, 지금의 행당동 지역도 양주군에 속하게 되었다. [[1424년]]([[세종(조선)|세종]] 6년), 한양에서 떨어져 나온 지 29년이 지나서 다시 [[한성부]] [[성저오리]](城底五里)에 편입되어 남부에 예속되었다. [[영조]] 27년인 [[1751년]]에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한성부 남부 두모방(豆毛坊) 신촌리계(新村里契)에 속했다. 이때의 신촌리계는 지금의 [[행당동]] 대부분과 [[하왕십리동]]의 남쪽 일부분을 포함하는 방대한 영역이었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에는 신촌리계 신촌리동이 되었고, [[경술국치]] 이후인 [[1911년]] [[4월 1일]]에는 한성부가 [[경기도]]에 편입되며 [[경성부]]로 개칭됨과 동시에 성외 지역은 기존의 방(坊)과 계(契) 등의 행정구역 단위가 폐지되고 8개 면으로 개편됨에 따라 경기도 경성부 두모면 신촌리가 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는 성외 8개 면이 경성부에서 [[고양군]]으로 이관됨과 동시에 두모면 또한 한지면과 통합되면서 한지면에 속하게 되었다. [[1936년]] [[4월 1일]]에는 다시 경성부로 재편입되면서 응봉정이 되었고, [[1943년]] 10월, 구제(區制)를 실시할 때에 [[성동구]]에 속하였다. 광복 이후인 [[1946년]] [[10월 6일]]에는 경성부가 서울특별자유시로 개편됨과 동시에 응봉동이 되었다. [[1947년]] 6월에는 현 [[행정동]] 제도의 전신인 동회 제도가 시행되면서 응봉동회가 설치되었는데, [[1955년]] [[4월 18일]]에 동회 제도가 폐지되고 행정동 제도가 시행되면서 응봉동은 현재의 행당2동과 행당1동의 남부 지역 일부와 함께 행정동 행응동(杏鷹洞)의 관할구역이 되었다. [[1970년]] [[5월 5일]]에는 이 지역의 인구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행응동이 행당3동과 응봉동으로 분리되었고, 현재까지 행정구역 변동 없이 이어지고 있다. == 상세 == 응봉동은 [[1979년]]에 [[성수대교]]와 [[응봉교]]가 완공되면서 [[왕십리]]와 [[성수동]], [[강남구]] 지역을 잇는 중간지대 역할을 해 왔다. 뿐만 아니라, [[한남동]], [[옥수동]], [[금호동(서울)|금호동]] 등지에서 왕십리로 갈 때에도 응봉동을 거치게 되어 있으니, 교통이 나름 편리한 지역이다. 동 전역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등으로 이루어진 주택가이다. [[1960년대]] 이후 서울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때에 [[옥수동]], [[금호동(서울)|금호동]] 등과 함께 서민들이 모여 판잣집을 많이 짓고 산 지역이다. 이 당시의 응봉동은 대현산과 응봉산까지 모두 뒤덮을 정도로 무허가주택이 난립하고 있는 [[달동네]]였고, [[강변북로]]에서 보면 절벽 위로 주택들이 위태롭게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988년]]에 [[서울올림픽]]을 유치하게 되자, 정부는 서울의 미관을 해치는 [[한강]] 주변의 낙후지역을 정리하고 아파트단지로 재개발하고자 했다. 옥수동이나 금호동 같은 지역은 서울올림픽 이후까지도 재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재개발에 들어갔지만, 응봉동의 경우는 유독 진척이 빨라서 [[1980년대]] 중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는 이미 응봉대림1,2차와 금호현대아파트가 입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를 제외하면 현재도 낙후된 다세대주택들이 많이 있다. 이 지역들은 현재 응봉1구역과 응봉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되어 몇 년 안에 면모를 일신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림1,2차와 금호현대는 지어진 지 30년이 넘어가면서 현재는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이 논의되고 있다. == 지리 == 응봉동은 동 전역이 가파른 경사지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는 대현산이, 남쪽에는 [[응봉산]]이 버티고 서 있는데, 북쪽에 있는 대현산이 더 높기 때문에 큰매봉, 남쪽에 있는 응봉산은 작은매봉이라고도 부른다. 응봉산은 과거 채석장이 있던 곳이었고, [[1970년대]]에는 산 위로 무허가주택들이 난립해 있었으나, [[1980년대]]부터는 무허가주택을 헐고 공원을 조성하였다. 현재는 채석장 자리에 암벽공원을 조성하여 암벽등반가들이 즐겨 찾는 곳이 되었고, 응봉산에는 개나리를 많이 심어 해마다 봄철 나들이객들이 많이 찾고 있다. 또, [[경의중앙선]]을 타고 가다 보면 열차가 응봉산 바로 아래로 지나가는데, 봄철에는 열차 안에서 보는 개나리 풍경도 장관이다. 응봉산의 바로 아래로는 [[중랑천]]이 흐르고 있다. 옛날에는 응봉산 아래에 선돌, 또는 입석(立石)이라 부르던 약 7m 정도 되는 바위가 있었다고 하는데, 그 근방에 입석포라는 나루터가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입석조어(立石釣魚)'라 하여 낚시터로 각광 받았고, 한도십영(漢都十詠) 중 하나로도 꼽혔으나, [[경원선]] 철로가 깔리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현산에서부터 중랑천까지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아파트단지들도 엄청난 높이의 옹벽 위에 세워져 있다. 특히 대림2차 뒤에 있는 다세대주택들은 급한 경사로를 올라가야 나오는데, 거기서 대림2차아파트를 보면 거의 옥상이 다 보일 정도이다. 그 정도로 급경사지인데, 그 위로도 주택들이 대현산 정상부까지 이어져 있다. [[독서당로]]에서 [[응봉역]] 방향으로 내려가는 지역도 경사가 꽤 가파르다. 사방이 야산이나 하천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동네 자체가 고립되어 있다는 특성이 있다. [[금호동(서울)|금호동]]과는 [[독서당로]]로 근근히 이어질 뿐이고, 경원선 선로 동쪽과는 육교로는 이어져 있지만 도로로는 아예 이어져 있지 않다. 중랑천 응봉나들목으로 나가서 중랑천변으로 걷거나 서울숲 자이 앞에 난 육교를 타고 왔다갔다 하는 수 밖에는 없는데, 과거 [[덕수고등학교에]]로 배정 받아 통학하는 학생들은 이 점에서 많은 불편을 겪었다. 걸어서 통학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교통편 이용 시에는 무려 [[왕십리역]]까지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짓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 교통 == === 도로 === 남북으로 응봉동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도로는 [[고산자로]]가 있고, 동서로는 [[독서당로]]가 있다. 고산자로를 통해 북으로는 [[왕십리역]], 남으로는 [[응봉교]]를 통해 [[성수동]]과 이어지며, 응봉교를 지나면 곧장 [[성수대교]]를 통해 [[강남구]]로 이어진다. 응봉사거리(舊 응봉삼거리)에서는 고산자로와 독서당로가 분기한다. 독서당로는 [[한남동]], [[옥수동]], [[금호동(서울)|금호동]] 등지로 통하는데, 두 도로가 합류하는 응봉사거리에서는 왕십리 방면으로 출퇴근시간마다 상당한 차량 정체가 빚어진다. 심하면 성수대교 북단까지도 정체가 이어지곤 한다. === 철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응봉역]]이 있다. 그러나 역의 위치가 응봉동에서도 꽤 구석진 곳에 있어서 초행길인 사람들은 찾아가기가 힘들고, 더군다나 경의중앙선의 악명 높은 배차간격 때문에 차라리 버스를 타고 [[왕십리역]]으로 가서 지하철을 타는 사람들도 많다. 또, 응봉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길이가 꽤 되는 계단을 올라서 대합실에서 카드를 찍은 다음에 또 다시 계단을 타고 승강장으로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이용하기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응봉역은 평상시에는 한산한 역이다. 봄철 한정으로 응봉산 구경을 오는 나들이객들이 응봉역에서 하차하면서 이용객이 늘어나기도 한다. === 버스 === ||<-5> '''[[고산자로]] 경유''' || ||{{{-1 [[국민대]], [[길음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 ← || [[서울 버스 110|{{{#fff '''110A/B'''}}}]] || → || {{{-1 [[녹사평역]], [[삼각지역]], [[공덕역]], [[홍대입구역]]}}}|| ||{{{-1 [[도봉산]], [[미아사거리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 ← || [[서울 버스 141|{{{#fff '''141'''}}}]] || → || {{{-1 [[도산공원]], [[역삼동]], [[개포동]], [[염곡동]]}}}|| ||{{{-1 [[번동]], [[신이문역]], [[답십리역]], [[용두역]], [[왕십리역]]}}} || ← || [[서울 버스 145|{{{#fff '''145'''}}}]] || → || {{{-1 [[압구정로데오역]], [[신사역]], [[강남역]]}}}|| ||{{{-1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 ← || [[서울 버스 148|{{{#fff '''148'''}}}]] || → || {{{-1 [[압구정역]], [[신사역]], [[고속터미널]], [[방배역]]}}}|| ||{{{-1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 [[공덕역]], [[서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 || [[서울 버스 463|{{{#fff '''463'''}}}]] || → || {{{-1 [[압구정역]], [[역삼역]], [[염곡동]]}}}|| ||<-5> '''[[고산자로]], [[독서당로]] 경유''' || ||{{{-1 [[중랑공영차고지]], [[청량리역]], [[경동시장]], [[상왕십리역]], [[행당역]]}}} || ← || [[서울 버스 241|{{{#fff '''241'''}}}]] || → || {{{-1 [[한남동]], [[신사역]], [[신논현역]]}}}|| ||{{{-1 [[왕십리역]], [[용두역]], [[신설동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서울역]], [[삼각지역]], [[이태원역]], [[신사역]], [[강남역]], [[염곡동]]}}} || ← || [[서울 버스 421|{{{#fff '''421'''}}}]] || → || {{{-1 [[옥수동]]}}}|| ||{{{-1 [[원효대교]], [[서빙고역]], [[한남동]]}}} || ← || [[서울 버스 2016|{{{#fff '''2016'''}}}]] || → || {{{-1 [[왕십리역]], [[어린이대공원역]], [[상봉역]], [[중랑공영차고지]]}}}|| ||{{{-1 [[염곡동]], [[역삼역]], [[압구정역]]}}} || ← || [[서울 버스 4211|{{{#fff '''4211'''}}}]] || → || {{{-1 [[왕십리역]], [[한양여대]]}}}|| ||{{{-1 [[금호역(서울)|금호역]]}}} || ← || [[서울 버스 성동08|{{{#fff '''성동08'''}}}]] || → || {{{-1 [[왕십리역]], [[상왕십리역]], [[서울시설공단]]}}}|| ||{{{-1 [[인천국제공항]]}}} || ← || [[공항버스 6010|{{{#fff '''6010'''}}}]] || → || {{{-1 [[왕십리역]]}}}|| ||<-5> '''기타 마을버스''' || || [[서울 버스 성동02|{{{#fff '''성동02'''}}}]] ||{{{-1 마장동현대아파트 - [[마장역]] - [[왕십리역]] - [[무학여고]] - 대현산체육관 - [[행당역]] - [[금호동 벽산아파트]] - [[금북초등학교]] - [[신금호역]] - 금호사거리 - [[금호동 벽산아파트]] - 대현산체육관 - 응봉사거리 - [[응봉역]] - 리버그린동아아파트 - 응봉사거리 - 왕십리역 - 마장역 - 마장동현대아파트}}} || || [[서울 버스 성동14|{{{#fff '''성동14'''}}}]] ||{{{-1 [[응봉역]] - 응봉사거리 - 리버그린동아아파트 - 왕십리로교차로 - [[왕십리역]]}}} || 과거 [[서울 버스 2220]]의 회차지가 이 일대였는데, 해당 노선은 운수사인 [[대흥교통]]의 차고지 이전으로 인해 [[서울 버스 4211]]으로 개편되어 강남으로 바로 넘어가게 되었으므로 더 이상 이곳에서 회차하지 않는다. == 주거 == [[파일:응봉동 재개발 구역도.png]] 현재 응봉동의 재개발 사업은 대림1차 아래쪽의 응봉1구역과 대림2차 위쪽의 응봉주거환경개선지구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응봉1구역의 경우는 15개동, 525세대 규모의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 될 것으로 보이며, 응봉주거환경개선지구의 경우는 아직까지 사업에 대한 진척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응봉동에 있는 아파트들은 모두 준공된 지 2-30년이 넘어가는 구축 아파트로서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이야기가 꾸준히 있어 왔는데, 대림1차의 경우는 본래 리모델링으로 진행하려다 [[2023년]]에 들어 리모델링에서 재건축으로 사업 방식을 선회했다. === 공동주택 === || '''주택명''' || '''시공사''' || '''입주''' || '''동수''' || '''세대수''' || ||응봉대림1차 ||[[DL이앤씨|[[파일:대림산업 구 심볼.svg|height=20]]]] ||1986. 10. 23. ||10 ||855 || ||응봉대림2차 ||[[DL이앤씨|[[파일:대림산업 구 심볼.svg|height=20]]]] ||1989. 9. 21. ||3 ||410 || ||금호현대(응봉현대) ||[[HDC현대산업개발|[[파일:현대 심볼.svg|height=20]]]] ||1990. 9. 20. ||9 ||644 || ||응봉신동아 ||[[신동아건설|[[파일:신동아건설 심볼.svg|height=22]]]] ||1996. 4. 9. ||4 ||434 || ||대림강변타운 ||[[DL이앤씨|[[파일:대림산업 구 심볼.svg|height=20]]]] ||2001. 10. 26. ||14 ||1,150 || ||서울숲리버그린동아 ||[[SM동아건설산업|[[파일:동아그룹 심볼.png|height=22]]]] ||2003. 6. 7. ||5 ||375 || == 교육 == 관내에는 [[서울응봉초등학교]]와 [[광희중학교]]가 있다. 응봉동에 거주 중인 학생들은 모두 응봉초와 광희중으로 배정을 받게 되며 중학교 때까지는 다른 동네로 학교를 다닐 일이 없다. 그러나 관내에 고등학교가 없고, 인근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로 배정되는데, 여학교는 가까운 곳에 [[무학여자고등학교]]가 있지만, 남학생들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던 [[덕수고등학교]]의 일반 계열이 [[송파구]] [[거여동]]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덕수고의 전문 계열로 진학할 것이 아니라면 일반계 남학생들은 [[성수고등학교(서울)|성수고등학교]]나 [[금호고등학교(서울)|금호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된다. [clearfix]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금호동(서울), version=205, paragraph=7.2)] [[분류:성동구의 법정동]][[분류:성동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