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鷹]][[岩]]驛 / Eungam Station}}} ||<-3> {{{+2 '''응 암'''}}} || ||<-3>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응암순환선|{{{#!html
순환선 입구}}}]][[역촌역|역 촌]][br]← 1.1 ㎞ ||<|2>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10)
}}}]] ||<|2> [[신내역|{{{#!html
신내 방면}}}]][[새절역|새 절]][br]0.9 ㎞ → || || [[응암순환선|{{{#!html
순환선 출구}}}]][[구산역|구 산]][* 응암역에서 바로(한 정거장만에) 구산역으로 갈 수 없다. 응암역에서 구산역으로 가려면 순환선을 한 번 돌아야 한다.][br]1.5 ㎞ → || ||<-3>[include(틀:지도, 장소=응암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Eungam || || [[한자]] ||<-2> 鷹岩 || || [[중국어]] ||<-2> 鹰岩 || || [[일본어]] ||<-2> ウンアム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서울)|증산로]] 지하 477 ([[신사동(은평구)|신사동]] 85-41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12월 15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6호선]] 610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서울)|증산로]] 지하 477 ([[신사동(은평구)|신사동]] 85-41번지)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응암역 안내도(개선).jpg|width=100%]]}}}|| || {{{#ffffff '''역 안내도'''}}} || 이 역의 특별한 점은 응암역에서 시작해 다시 응암역으로 돌아오는 단선순환선의 시작점이라는 것이다. 이 역은 [[응암순환선]]이 '분기하는 역'과 동시에 [[서울 지하철 6호선]]의 '기점역'. 덕분에 기점역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에서 열차를 타면 상행의 다음 역([[역촌역]])과 하행의 이전 역([[구산역]])이 서로 다른 역인,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이상한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역촌역]](611번)을 제외하면 인접한 역과 응암역의 번호는 순차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615'''번 [[구산역]] → '''610'''번 응암역 → '''616'''번 [[새절역]]). 자세한 정보는 [[응암순환선]] 문서와, 다음 게시물을 참조하면 좋다. ([[http://blog.naver.com/ianhan/120099566938|「[6호선] 응암루프 구간 (응암-역촌-불광-독바위-연신내-구산-응암)」, 2006.12.23, 네이버블로그<한우진의 교통평론>]]) 대한민국 도시철도에서 유일한 단선 순환선 구간이어서, [[응암순환]] 구간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가끔 이곳에서 서너 번 뺑뺑이를 도는 불쌍한 모습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https://youtu.be/BAJKn48q1jw|버뮤다 응암지대]]라는 드립 또한 발생했다. 루프가 시작되는 [[역촌역]] 방향의 승강장은 꽤나 굽어 있는 반면 [[구산역]]에서 들어오는 방향의 승강장은 일직선이다. 역 위에 있는 신사오거리의 도로들이 그렇게 나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절역 방향으로는 섬식 승강장이지만 구산역/역촌역 방향으로는 각 방향이 별도의 승강장을 가진 단선 승강장처럼 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역 또한 이 역이 유일. 아래쪽 '승강장' 문단의 사진은 역촌역 방향의 승강장을 찍은 것이다. 한편 [[응암순환]] 행선으로 이 역에 들어온 열차는, [[역촌역]]을 향해 출발하면서 행선지가 [[봉화산역|봉화산]]/[[신내역|신내]]행으로 바뀐다. 평일 막차 한정으로 응암행도 있다. 그대로 종착하는 게 아니라 [[응암순환선]]을 한 바퀴 돌고 다시 응암역에 종착한다. 자연히 유치선은 새절 쪽에 설치되어 있다. 희한하게도 이 역이 위치한 오거리의 이름은 응암오거리가 아닌 '신사오거리'이며 응암오거리는 [[새절역]] 남쪽의 [[서대문구]] [[홍은동|홍은2동]] 방향에 있다. 또한 역 소재지는 [[응암동]]이 아닌 '''[[신사동(은평구)|신사동]]'''[* 하지만 이미 [[신사동(은평구)|신사동]]은 [[새절역|새절'''(신사)'''역]]이 가져갔기도 했고, 알다시피 [[신사역|그 역]] 때문에 안되고(...), 그리고 [[역촌동]]은 [[녹번동|'''녹번'''동]]에 소재한 [[역촌역|'''역촌'''역]](이미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녹번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응암역이라고 해야했을 것이다.]인데, 이 역 위치가 [[응암동]](4번 출구), [[신사동(은평구)|신사동]](1번 출구), [[역촌동]][* [[역촌역]]은 [[녹번동]]에 있다.](2번, 3번 출구) 등 무려 3개 동의 경계다 보니 이름들도 뒤죽박죽이 된 것. 참고로 [[응암동]]은 응암역에서 [[은평구]]청 및 녹번119안전센터 방향으로 쭉 가면 나오는 [[녹번역]]까지 뻗어 있다. 그 외에, 2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2015년 8월 현재까지 지하 2층에 편의점 및 일부 화장품 상가들이 입점해 있다. 2016년 여름에는 2번 출구에 유리로 된 덮개를 설치했으며, 화장실 시설 공사를 시작하였다. 이 공사는 밀리고 밀리다가 가을에 끝났는데 남녀 화장실 위치가 바뀌고 남자화장실이 묘하게 작아졌다. 반면 장애인용 화장실은 정말 널찍하게 넓어졌는데, 아무래도 관련 법 규정이 있다거나 하는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확장공사를 했을 수도 있다. 예전에는 없던 [[클래식(음악)|클래식]] 음악이 깔리게 된 것 역시 윗선의 지적 때문인지도. 2020년 6월 현재는 1번 출구에 유리 덮개 공사를 시행중이다. 평일 막차 한정인 6348(하절기 6330)는 응암역에 도착하자마자 주박하지 않고, 응암행 6357(6339)으로 바뀌어 응암루프선을 한 바퀴 돌고 와 회차선으로 들어간다. 주말 막차 6270(명절 6222)는 도착하자마자 주박한다. 다음 날 봉화산행 6011로 출발하는데, 새절 방면이 아닌 역촌 방향으로 출발해 응암루프선을 한 바퀴 돌고 간다. == 역 주변 정보 == 4번 출구로 나가면 불광천이 있는데, 상류에서 복개되었다가 이 곳에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불광천을 따라 천변의 공원이 이곳부터 한강까지 이어져 있다. [[난개발]]로 인해 근린공원 및 녹지 찾기가 하늘에 별 따기인[* 이 이유에서인지 은평뉴타운을 건립할 때 근린공원을 상당히 많이 만들어놓았다. 이후 수색증산뉴타운 지구도 비슷한 전철을 밟는 중.] [[은평구]]에서는 나름 소중한 공원이다. 3번 출구 방면으로 나가면 [[이마트]] 은평점이 있는데, 이마트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전국 매출 1위라고 한다. 현재는 이마트 성수점이 본사지만, 한때 이마트 본사가 있는 곳이기도 했다. 이마트 은평점을 찾는 사람이 워낙 많은지, A4 용지에 따로 '이마트는 3번 출구입니다.' 라고 써서 역사 안내 데스크 창문에 붙여두었을 정도다. 실제로는 4번출구로 나가도 되는데, 응암역이 위치해 있는 신사오거리의 복잡한 도로 지형 때문에 오히려 4번 출구로 나가는 게 횡단보도를 덜 건너게 된다. 응암역에서 이마트로 이동하면 커피숍이 밀집해 있는 구역이 있는데, 거의 30m 사이에 커피숍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모습을 보인다. 신기한 것은 몇 달이 지났는데 한 군데도 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2번 출구에서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서울기독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하지만 골수 은평구민들 사이에서도 '은평구에도 [[대학]]이 있었나?'라고 할 정도로 [[존재감]]이 적다. * 1번 출구: 신사1동주민센터, 신사1치안센터, 신사종합사회복지관 * 2번 출구: 역촌동주민센터, 역촌초등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울특별시서북병원, 역촌119안전센터, 은평노인복지관, 은평지역자활센터 * 3번 출구: 이마트은평점, 서부경찰서, 역촌오거리 방면, 역촌역 방면, 서부종합시장 * 4번 출구: 불광천,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응암1동주민센터, 이마트은평점, 본서부병원, 은명초등학교, 응암지구대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1,195명 || [*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1년 || 15,549명 || || || 2002년 || 20,210명 || {{{#fff,#1f2023 비고}}} || || 2003년 || 22,928명 || || || 2004년 || 25,135명 || || || 2005년 || 26,365명 || || || 2006년 || 26,368명 || || || 2007년 || 26,746명 || || || 2008년 || 27,337명 || || || 2009년 || 27,546명 || ||}}}}}}}}} || || 2010년 || 28,254명 || || || 2011년 || 29,883명 || || || 2012년 || 31,961명 || || || 2013년 || 33,489명 || || || 2014년 || 34,436명 || || || 2015년 || 34,868명 || || || 2016년 || 35,231명 || || || 2017년 || 35,434명 || || || 2018년 || 35,942명 || || || 2019년 || {{{#cd7c2f 36,171명}}} || || || 2020년 || 28,651명 || || || 2021년 || 29,361명 || ||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응암역은 하루 평균 '''28,651명'''이 타고 내리는 곳으로서 2020년 기준 '''6호선 전체 1위의 승객 수'''를 자랑하는 역이다. 이 역이 위치한 [[응암동]]의 도로가 좁고 불편하게 연결된 탓에 외부로 나가는 시간이 오래 걸려서, 응암역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연서로]]와 [[은평로]]가 만나는 지점에 놓인 응암교차로는 [[은평구]]에서도 유동인구와 차량 통행이 잦기로 손에 꼽아, 입지적으로도 아주 적절한 위치에 있다. 또한 [[일방통행]] 구간이라 갈 때와 올 때의 동선이 다를 수밖에 없는 [[역촌역]], [[구산역]]이 가지는 단점도 여기서는 상쇄되기 때문에 이 두 역과 응암역 중간에 사는 주민들은 대부분 응암역을 이용한다. 이러한 점들이 모여 2018년 기준으로 하루 35,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용하고, 6호선 전체에서도 승하차객 35,000명이 넘는 역은 [[이태원역]], [[공덕역]]과 응암역 단 셋밖에 없어 노선 내의 비중이 매우 높다. 실제로 이 역이 개통된후 [[녹번역]] 이용객수가 크게 줄어들었고 현재는 녹번역보다 승객수가 더 많다.[* 이 인근 주민들은 6호선의존도가 높으므로 녹번역 주변이 재개발되면 이 역에도 이용객이 흡수될 수도 있다. 서북일부와 서남권으로 갈려면 6호선을 이용해서 가는것이 시간이 단축되고, 홍대거리는 합정역이나 상수역에서 내려도 될정도로 가깝다.] 그런데도 응암순환 역들 중 유일하게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없어 꼼짝없이 걸어 올라가야 한다.--아니면 엘리베이터를 타던가-- == 승강장 == [[파일:응암역 승강장.jpg|width=500]] ||<-2> ↓ [[구산역|구산]] ||<-2> [[역촌역|역촌]] ↑ || || ㅣ || {{{#ffffff 하}}} || {{{#ffffff 순}}} || ㅣ || ||<-4> ↓ [[새절역|새절]] ↑ || || {{{#ffffff 하}}}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 하행 ||[[합정역|합정]]·[[공덕역|공덕]]·[[신당역|신당]]·[[봉화산역|봉화산]]·[[신내역|신내]] 방면|| || {{{#ffffff 순}}} || 응암순환선 경유 ||[[역촌역|역촌]]·[[불광역|불광]]·[[독바위역|독바위]]·[[연신내역|연신내]]·[[구산역|구산]] 방면|| Y자 형태이며 [[역촌역]] 방향은 곡선, [[새절역]] 방향은 직선으로 되어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 버스 == [[서울 버스 571]]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7212]] [[서울 버스 702A]] [[서울 버스 702B]] [[서울 버스 7613]] [[서울 버스 7022]] [[공항버스 6012]] [[서울 버스 8771]] [[분류:200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서울 은평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