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應七, 주로 한국인의 [[아명]]으로 자주 쓰였다. 옛부터 [[동아시아]]에서는 [[북두칠성]]을 상서롭게 보는 경향이 짙었는데,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태어난 아이의 등에 일곱 개의 점이 있으면 일단 아명을 북두'칠'성에 감'응'하여 태어난 아이라는 뜻으로 응칠이라 붙였다. ~~응답하라 북두칠성~~ 이름대로 이런 아이는 성장하면서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아들인다고 믿었다. 꼭 등이 아니라 엉덩이나 가슴이라도 관계는 없는 듯. 신체에 난 [[점(신체)|점]]을 [[천체]]나 [[오행]] 사상에 동일시하는 풍속은 그 유래가 의외로 오래되어 [[사기]] [[한고조]]본기에서도 유방의 왼편 허벅지에 점이 72개(=1년 360일의 1/5)가 있어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는 내용이 나온다. ~~물론 유방의 아명이 응칠이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고대 역사에서는 [[삼국유사]]에 이런 사례가 등장한다. 그 주인공은 다른 사람도 아닌 바로 '''[[김유신]]'''. 가장 유명한 사례가 있다면 역시 '''[[안중근]] 의사'''이다. ~~오오, 북두칠성 버프~~ 사실 안중근 의사야말로 이런 사례 중 가장 유명한 사례. 남한 파주에 안중근 의사를 기리며 세운 다리인 응칠교도 존재한다. 두 사람 모두 북두칠성의 기운을 제대로 받았다고밖에 할 말이 없다. [[아명]]으로만 쓰인 건 아니라 성주 현(玄)씨의 2대째 차남의 이름이 현응칠인 것이 만가보에도 기록이 되어있다. 그 외에 [[조선]] [[고종(대한제국)|고종]] 때의 토지매매기록에도 김응칠이라는 이름이 남아 있다. 증산도 도전에도 강응칠이라는 사람이 등장하는데 태모에게 옷을 조공하는 역할(...)이다. 워낙 상서로운 이름이기에 이모저모 쓰인 듯. [[일제강점기]]의 이야기를 다룬 [[김유정(소설가)|김유정]] 작가의 소설 [[만무방]]의 주인공의 이름 또한 응칠이다. 현대에는 출산 전에 뱃속에 있는 아기에게 [[태명]] 정도만 부르지 [[아명]]은 잘 쓰지 않게 되면서 잊혀져 버렸다. ~~아명을 쓰더라도 안중근 의사에 의해 선점당한 느낌이 강하다~~ 최근에는 [[응답하라 1997|드라마의 줄임말]]로나 들을 수 있다. ~~한자도 같다~~ == 관련 문서 == * [[아명]] * [[태명]] [[분류:이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