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안중근 시리즈)] ||<-2> {{{+1 '''의사 안중근'''}}} (1946)[br]義士 安重根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의사 안중근(1946) A.jpg|width=100%]]}}} || || '''감독''' || 이구영 || || '''극화''' || 김춘광[*출처 동아일보 1946년 5월 12일 2면 하단] || || '''기획''' || 조중헌 || || '''제작''' || 조하소[*출처] || || '''출연''' || 양백명[br]이업동[br]극단 청춘극장 단원들 || || '''촬영''' || 양세웅 || || '''조명''' || 김성춘 || || '''편집''' || 이구영 || || '''제작사''' || 계몽구락부 || || '''개봉일''' || [[1946년]] [[5월 14일]] || || '''개봉관''' || [[우미관]][br]명동극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안중근]] 의사의 일대기를 그린 이구영 감독의 1946년 개봉 영화. 35mm 무성영화로, 광복 후 제작되어 상영된 최초[* 두 번째는 《[[똘똘이의 모험]]》(1946), 세 번째는 《[[자유만세]]》(1946)이다.]의 영화다. == 상세 == 김춘광[* 본명 김조성. 《[[춘향전(1923)|춘향전]]》(1926)에 이몽룡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 초기에는 [[변사]], 배우로 활동했고 후기에는 극단 대표와 극작가로 활동했다.] 극작, 안종화 연출로 1946년 1월 5일 [[수도극장]]에서 첫 공연된 연극 《안중근 사기(安重根 史記)》를 영화화한 것으로 주인공 양백명 등 청춘극장 단원들이 참여했다. 이런 까닭에 이 영화 제목도 '안중근 사기'로 통용되어 왔으나 '의사 안중근'이 맞다. 계몽구락부[* 계몽문화협회로 알려져 있기도 한데, 지면 광고를 보면 '계몽구락부'로 표기되어 있다.]의 첫 제작 작품으로, 다음 작은 《의사 윤봉길》(1947), 그 다음은 《유관순》(1948) 등이다. [[유실 영화|필름이 전하지 않는다]]. [[분류:1946년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없어진 영화]][[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무성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