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wiki [[파일:DSCF0254.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326_122409.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12-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의정부 12-5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곤제근린공원) ||<-2>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노원역.롯데백화점)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50 ||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40~80분 ||<-2> 주말배차 || 40~80분 || ||<-2> 운수사명 || [[평안운수]] ||<-2> 인가대수 || 6대[* 코로나 19 때문에 일시적으로 인가를 줄이면서 이와 동일하게 실제로는 2대 운행.] || ||<-2> 노선 ||<-4> 곤제근린공원 - 송산주공2.5.6단지 - 송산주공7단지 - 송산2동행정복지센터 - [[탑석센트럴자이]] - 신곡지하차도 - 장암주공2단지.장암우성아파트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교 → [[노원역]].롯데백화점 → 도봉면허시험장 → 마들역 → 이후 역순 || == 개요 == [[평안운수]]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으로, [[민락신도시 #s-2.1|민락1지구]]와 [[노원역]]을 연결했었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2km였다. == 역사 == * 1999~2000년에 신곡ᆞ장암지구 교통 대책에 따라서 '''남양주 버스 회사 [[대원운수]]'''에서 12-3번으로 신설한 노선이다. 말 그대로 예전의 [[구리 버스 51|5-1(구리시 - 청량리)]] 처럼 아웃 남양주. 노선번호는 비슷한 시기에 계열사 대원여객에서 신설된 [[서울 버스 107|서울 버스 12-1]], [[서울 버스 1152|12-2]]에서 따왔다. 이 시기에는 [[한성여객]] [[서울 버스 1154|20-3, 720-1]], [[영종여객]] [[의정부 버스 72-1|72-1]]과 박터지게 경쟁했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대원여객의 낙양동 차고지[* 지금의 [[낙양동공영차고지]]와는 별개의 곳이다.][* 송현고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면 낙양동 궁촌마을이 있는데, 근처에 종점이 있었다. 해당 차고지는 민락2지구 개발에 따라 없어지고, 현재 코스트코 앞에 생긴 차고지가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소속이었으며, 신곡중에서 노원역까지 가던 노선이었다. * 2005년까지는 [[대원운수]]에서 운행했다.[* 이 당시 초기에는 1998~2000년식 디젤 로얄시티로 다녔으나, 낙양동 영업소에 새 차(좌석형 시트 장착, 2/3 계폐창 로얄시티 가스차량. 전 차량 서울 간선버스 도색)가 들어오자 12-1, 12-5번과 더불어 2004년식 좌석형 신차로 운행했는데 이 차들은 2005년에 평범한 천연가스버스 도색으로 갈아입고서 노선 이관과 함께 166 등지로 이동되었다가 2009년에 10번이 신설되면서 10번, 167번 등으로 흩어졌다.] * 2005년부터는 2006년까지는 [[경기고속]]에서 아웃광주 노선으로 운행했다.[* 이 무렵에는 대원운수에서 세진버스 소속 1번, 1-5번을 인수하면서 가져온 인천 출신 중형차량(2002년식 가스 차량)으로 다녔다. 1-5번에서 쓰던 차량은 한동안 대원운수 차번(74아 30XX)를 달고 다니다가 얼마 못가서 경기고속으로 넘어가고서 광주시 차적(77바 1451~1457)로 차번을 받고 다녔다. 이 차량들은 평안운수로 인계된 이후에도 살아남았으며 2010년에 BS106L F/L로 대차되었다.] 동시에 차량이 중형화되었다. * 이후 평안운수로 넘어가면서 한동안 잘 다니다가 [[대원여객]] [[의정부영업소]] 소속으로 넘어갔는데, 이유는 신곡중학교에서 금오중학교까지, 전철 개통 후 녹양역까지로 노선이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충전은 가능동 본사에서 했다가[* 이 시절만 해도 가능동영업소에 충전소가 있었다. 이후 가능동에 이동식 충전소가 없어지면서 다시 민락동으로 공차회송하게 된다.], 민락동 차고지로 공차회송하기도 했다. 훗날 [[의정부 버스 7|7번]]의 지선이던 7-1번을 흡수하면서 노선이 양주자이아파트로 연장되었다.[* 고읍지구 구간이 7번과 약간 달랐다.] * 2016년 2월 15일에 '마트앞 - 양주삼숭자이1~5단지 - 덕현고 - 나누리공원 - 대방.신도아파트 - 주내파출소 - 양주시청 - 녹양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가능동 출발, 경민대학 경유로 바뀌었다. 그리고 녹양휴먼시아1, 4단지 앞으로 가던 노선이 2단지 아랫쪽 길과 녹양역 서부광장 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84631|관련 게시물]] 어떻게 보면 옛 5-2[* 7번의 전신. 1999년 신설, 경민대 - 의정부역 - 장암지구 - 도봉산역 - 마들역 - 노원구청 운행. 2005년에 양주로 연장되고 7번으로 변경]을 계승한 셈이다. * 2018년 1월 20일에 '가능동 - 경민대 - 광동고 - 녹양역 - 하동촌 - 금오중 - 신곡중 - 추동아파트' 구간을 단축하고 111번의 변경으로 운행하지 않게 되는 민락1지구, 용현동, 신곡1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단축된 구간 중 단독구간이었던 '녹양역 - 하동촌'[* 다만 기존 양지마을 정류소는 30-2번이 대신 경유한다.] 구간은 결국 철수하게 되었으며 '경민대 - 녹양역' 구간은 [[의정부 버스 30-2|30-2번]]이 대체하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0732|관련 게시물]] * 2018년 1월 30일부터 111번 노선 일부 환원(용현주공, 신곡, 장암동 경유)으로 인해 민락2지구로 연장되면서 만가대 ~ 쌍암사입구 구간을 무정차 직통 운행하게 될 예정이었지만, 111번 환원 무기한 보류로 인해 같이 무산되었다. [[http://m.dcinside.com/view.php?id=transit&no=16906|관련 게시물]] * 민락동 경유 변경 후 7대로 증차했다가 도로 2대가 감차되어 5대로 운행하고 있다. 20~30분 간격으로 줄었으나, 지금은 1152번이 없어지기 직전 수준인 40~60분 간격, 오면 타고 아니면 마는 노선이 되어버렸다. 또 감차되어 4대로 다니더니 2대로 감차되었다. * 2020년 1월 2일에 '충의중학교 - 산들마을1단지남문 - 송산1동주민센터 - 용현주공아파트' 구간이 '충의중학교 - 송산2동행정복지센터 - 송산역 - 송산동농협 - 용현주공아파트'로 변경되었으며 노선번호도 12-3번에서 12-5번으로 변경되었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99017|관련 게시물]] 이후 2대가 늘어나 잠시 4대로 다녔으나 또 감차되어 2대로 다니고 있다. * 2022년 5월 16일부로 수요 부족으로 인해 폐선되었다. 그와 동시에 16일에 금오동-경민대-차고지의 노선인 [[의정부 버스 12|12번]]의 신설이 이루어지기에 아마 폐선분은 12번 버스 신설에 들어가는 듯 하다 * 폐선 2022년 5월 22일 입니다 == 특징 == === 가능동 출발 === * 본 노선의 단독구간인 녹양역~하동촌~금오중 구간에서는 해당 구간에서 탑승할 수 있는 유일한 버스 노선인 만큼 평소에는 많이 안 타지만 아침, 하교, 퇴근 시간대에는 꽤 많이 탔었다.[* 이후 해당 구간 승객을 위해 [[의정부 버스 12-1|12-1번]], [[의정부 버스 10-5|10-5번]]이 개통되기도 했지만, 평시 수요가 너무 적어 폐선되었다. 현재 해당 구간을 정차하는 노선은 [[의정부 버스 56|56번]]이 유일하다. [[의정부 버스 25-1|25-1번]], [[의정부 버스 34|34번]], [[의정부 버스 360|360번]]이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할 뿐이지, 정차하지는 않는다. 해당 구간의 승객을 위해서 추가정차를 고려할 수 있는 점에서, 의정부시 교통당국의 미흡한 대처가 나타난다.] * [[의정부 버스 72-1|72-1번]]과 ‘노원역 - 의정부백병원’ 구간이 동일해, 72-1번이 뒤에 따라올 경우 기다렸다가 먼저 보내줬다.[* 사실 먼저 보내주는 이유는 12-3번이 BS090으로 운행하고, 72-1번은 BS106, BS110으로 운행하다 보니 가속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 뒤에서 답답하게 따라올 72-1을 배려한 것.] === 민락동 출발 === * [[구리 버스 1-2|1-2번]]이 청학리 단축으로 변경되면서 ‘충의중학교 - 용현초등학교 - 탑석자이’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의정부 버스 203-2|마을버스]]밖에 없었으나, 본 노선이 해당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 노선번호가 12-3번에서 12-5번으로 변경되면서, 서울 버스 개편전 운행하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12-5번]]과 번호가 동일하게 되었다. 운행구간 역시 12-5번이 [[서울 버스 1152|1152번]]과 비슷하다.[* 차이라고 한다면 민락2지구, 산들마을남문 - 탑석센트럴자이아파트 구간을 미경유한다는 점] * 같은 차고지를 사용하는 [[의정부 버스 72-1|72-1번]]과는 기점과 종점이 같다. 또, 본 노선의 절반가량이라 할 수 있는 ‘신곡주택 - 노원역’ 구간이 같다. * 현재 2017년식 NEW BS106 NGV 차량 2대로 운행했다.[* 2020년식 BS106은 11번으로 갔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했다. === 시간표 === [[https://nwcjking.tistory.com/m/2469|출처]] == 연계 철도역 ==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어룡역|어룡역]], [[송산역(의정부)|송산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 둘러보기 == [[분류:의정부시의 시내버스]] [[분류:2022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