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정부시의 버스)] || [[파일:명진_1144.jpg|width=100%]] || [[파일:명진_130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72-1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의정부 72-1 노선도.png|width=100%]]}}}|| ||<-2><:>기점||<:>경기도 의정부시 낙양동([[낙양동공영차고지]])||<-2><:>종점||<:>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노원역.롯데백화점)|| ||<|2><:>종점행||<:>첫차||<:>04:45||<|2><:>기점행||<:>첫차||<:>05:30|| ||<:>막차||<:>'''23:20'''||<:>막차||<:>'''00:10'''|| ||<-2><:>평일배차||<:>10~15분||<-2><:>주말배차||<:>15~20분|| ||<-2><:>운수사명||<:>[[명진여객]] ||<-2><:>인가대수||<:>14대|| ||<-2><:>노선||<-4><:>낙양동공영차고지 - 산들마을4단지 - 산들마을1단지남문 - 송현고등학교 - 송산주공2.5.6단지 - 송산주공1.9단지 - 효자중.고등학교 - (→삼성래미안,진흥아파트→[[경기도청북부청사역]]→)/(←경기도청북부청사←) - 홈플러스 - 천보중학교 - 의정부우체국 - 신곡중학교[*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 - 추동아파트 - 서해아파트 - 장암주공5단지 - [[장암역]] - [[수락산역]] - [[마들역]][* 노원역 방향은 상계주공11단지, 민락동 방향은 상계주공12단지 정류장 하차.] → 상계주공7단지 → 상계초등학교[* 상계초등학교로 갈 승객은 이곳이 아닌 '''한 정거장 전'''인 '온곡중학교.노원정보도서관'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것이 더 빠르다.] → [[노원역]] 9번출구.롯데백화점 → 도봉면허시험장→ 이후 역순|| == 개요 == '''의정부 시내버스 수요 TOP 4.''' 왕복 운행거리는 약 35.2km. [[http://map.naver.com/?busId=9030&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포천 버스 72|72번]]의 지선으로 신설되었다. 이 때는 영종여객과 명진여객이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 영종여객이 2004년에 선진네트웍스 산하로 편입되며 명진여객 단독 운행으로 바뀌었다. 대신 138번 운행 분량이 포천교통으로 넘어갔다. * 명진여객이 [[KD 운송그룹]]에 인수되기 전에는 [[서울 버스 1152|1152번]]이나 [[서울 버스 1154|1154번]] 등과 경쟁했다. 이후 2008년에 KD 운송그룹 산하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경쟁관계는 끝났다. * 2015년 9월 21일에 양방향 모두 경기도청북부청사 대신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삼성래미안진흥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6년 9월 5일에 민락동 방향 한정으로 경기도청북부청사를 재경유하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41890|관련 게시물]] * 2018년 3월 1일 ~ 6월 30일 동안은 경기도청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로 인하여 하행 한정 '''홈플러스 → 북부청사 → 의정부세관''' 구간이 '''홈플러스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 효자중,고등학교 → 의정부세관''' 구간으로 운행했었다. * '''경기도청 북부청사 앞 경관광장 지하주차장''' 조성 공사로 인해 2020년 7월 1일부터 준공 시까지 ‘경기도청 북부청사 앞~부용천 구간’ 도로가 통제 됨에 따라 우회운행한다.[* 이 공사로 인해 우회운행을 하는 노선은 이 노선 말고도 [[의정부 버스 11|11번]], [[포천 버스 72|72번]], [[포천 버스 72-3|72-3번]], [[의정부 버스 203|203번]], [[포천 버스 3100|3100번]]이 있다.] 본 노선은 민락동종점 방향 한정 경기도청북부청사(08-219, 08-223) 정류소 대신 삼성진흥래미안아파트(08-553) 정류소 건너편에 정차한다.[* 해당 장소는 정류소가 없던 곳으로, 임시정류소 표시를 별도로 한 후 정차하게 된다.][* 여담으로, 정류소마다 이와 관련된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미 폐선된 [[의정부 버스 10|10번]]도 우회운행을 한다고 안내되어 있다. 하나 폐선되어 운행하지 않으므로, 괜한 혼란이 없기를 바란다.] == 특징 == * 의정부시와 노원역을 잇는 노선들 중 가장 존재감이 크다. 명진여객서 1-1번과 더불어 대표적인 빗자루 노선일 정도다. 가장 존재감이 없는 노선은 [[의정부 버스 12-5|12-5번]]이다. * 신곡, 장암지구 - 노원역 경쟁에서 1154번과 더불어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2000년부터 대원운수의 12-3, 영종여객과 명진여객의 72-1, 한성버스 - 한성여객의 20-3, 720-1번, 평안운수의 5-2번이 경쟁을 하면서 승객을 쓸어담는 구도였는데, 20-3번과 720-1번은 2004년 7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대개편에 따라 1152, 1154, 1153번으로 바뀌었으며 지하철과의 환승할인이 지원되면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2005년에 5-2번이 7번으로 변경되면서 이탈했고 2007년 수도권통합요금제 시행, 2008년에 명진여객의 KD 운송그룹 인수, 1153번의 폐선이 이뤄지면서 경쟁이 사그라들었다. 그러다가 12-3번이 나가떨어지면서 72-1번과 1154번이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다만 코로나 19 이후에는 72-1번도 과거와는 달리 주춤하는 상태. * 의정부경전철이 개통하면서 이 노선 역시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이 노선은 금오, 신곡, 장암지구에서 노원역 연계라는 장점이 있어 계속해서 버틸 수 있었다. 또한 중첩되던 10번이 민락1지구에서 철수했고 111번이 민락2지구 변경에 따라 금오지구에서 철수하면서 그 수요를 가져올 수 있었다. 반면 10번은 금오지구에서 신곡, 장암지구를 거쳐 도봉산역으로 운행했는데, 기존에 있던 1호선 환승수요를 경전철에게 빼앗기고 통학수요는 마을버스에게 다 뺏기면서 막장으로 운행하다가 폐선되었으며 인가는 [[의정부 버스 1-9|고산지구 - 도봉산역 노선]] 신설에 쓰였다. * 장암역, 노원역, 수락산역에서 타고 내리는 승객이 많다. * 2017년 12월, 일부 차량 LED전광판이 새 전광판으로 교체되고 해당 차량들은 자막 폰트와 크기도 수정되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차종 === * 2008년에 [[현대 그린시티|Global 900 F/L CNG]] 차량을 투입했으나, 1주일도 채 지나지 않아 회사가 인수되면서 조기대차가 되지 않을까하는 추측이 오갔지만, 보조금 문제 때문에 계속 운행했다. 이후 [[의정부 버스 10-1|10-1번]]으로 넘어갔다가 2012년 여름에 [[경기버스]] 소속으로 이관되었다. 면허 자체는 [[경기고속]] 출신 2009년식 BS106L [[자일대우버스 BS|로얄시티]]로 바뀌어 다니다가 1대는 말소되고 1대는 타 계열차 출신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현재는 모든 차량이 대형 차량(NEW BS106, BS110CN F/L)이나, 중형 차량이 임시로 투입되는 일이 간혹 있긴 하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도 운행했으나 모두 대차되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4호선]]: [[노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수락산역]], [[마들역]][* 앞에서도 서술했지만 상계주공11(12)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해야 한다.], [[노원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어룡역|어룡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새말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의정부-노원역간 버스)] [include(틀:금오지구 경유 버스노선)] [[분류:의정부시의 시내버스]][[분류:199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의정부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