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혜종의 왕후[br]{{{+1 의화왕후 | 義和王后}}}'''}}}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혜종왕릉.jpg|width=100%]]}}} || ||<-2> {{{#670000 {{{-2 순릉 전경}}} }}} || ||<|2> '''출생''' ||[[910년대]] 추정 || ||[[고려]] [[진천군|진주]] [[임희]]의 사저[br](現 [[충청북도]] [[진천군]]) || || '''사망''' ||연대 미상 || || '''능묘''' ||[[순릉]](順陵) || ||<|4> '''재위기간''' ||'''{{{#f9d537 고려 정윤비}}}''' || ||[[922년]] [[1월 10일]] ~ [[943년]] [[7월 4일]] || ||'''{{{#670000 고려 왕후}}}''' || ||[[943년]] [[7월 5일]] ~ [[945년]] [[10월 2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임(성씨)|진천 임씨]](鎭川 林氏)[* 현재 상산 임씨(常山 林氏)] || || '''부친''' ||[[임희]] || || '''배우자''' ||[[혜종(고려)|혜종]] || || '''자녀''' ||{{{#!folding 1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흥화궁군(興化宮君) 장녀 - [[경화궁부인]] 차녀 - 정헌공주(貞憲公主)}}} || || '''종교''' ||[[불교]] || || '''작호''' ||정윤비(正胤妃) || || '''시호''' ||정순회선경신성의'''의화왕후'''[br](靖順懷宣景信成懿'''義和王后''') ||}}}}}}}}}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혜종(고려)|혜종]]의 [[왕후]]. 혜종의 [[시호]]인 의공대왕(義恭大王)과 義 자가 같다. 현 [[충청도]] [[진천]] 출신 [[호족]]인 아버지 [[임희]]가 [[병부령]],[* [[태조(고려)|태조]]가 즉위 후 대대적인 인사개혁을 단행할 때 임명됐다.] 즉 고려의 첫 [[국방부장관]]을 지냈으며 왕후의 친척들도 [[군부]]에 속해 있었다. 시아버지인 태조는 921년 혜종이 [[정윤#正胤]]으로 임명됐을 때[* 이때 혜종의 나이가 10세이다.] 의화왕후를 같이 정윤비로 봉했다. 태조가 병부령의 딸을 혜종과 결혼시킨 건 권력이 약한 혜종이 군부와 결혼으로 연합하기 바랐기 때문인 듯 하다. == 가족관계 == 아들로 흥화군(興化君), 흥화낭군(興化郎君)이라고도 불리는 흥화궁군(興化宮君)이 있었는데, 본명이 아니라 "흥화궁(興化宮)을 하사받은 [[군(작위)|군(君)]]" 이라는 뜻이다.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유교적 관점에서 보면 적장자인 흥화궁군이 혜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는 것이 순리였지만 당시 혜종의 세력이 약했던데다 고려는 유교적 풍속이 그리 중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왕위에서 탈락하고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채 역사 속에서 잊혀지고 말았다. 흥화궁군은 이후 [[정종(고려)|정종]]의 아들인 경춘원군, 즉 [[사촌]]과 함께 [[광종(고려)|광종]] 연간에 벌어진 [[대숙청]]에 휘말려 목숨을 잃는 비운을 맞게 된다. 장녀 [[경화궁부인]](慶華宮夫人)은 고려사 왕규 열전에선 [[장공주]](長公主)라는 작위로 등장하며, 작은 아버지가 되는 광종에게 시집을 갔다. 혜종으로서는 광종의 세력이 자신을 위협할 정도로 커지게 되자 딸을 시집보내 결혼 동맹을 시도한 셈. 다만 [[대목왕후]]와는 달리 정식 왕후가 되진 못했는데, 아마 혜종의 이른 붕어에 따른 세력 위축과 광종 연간에 [[남매]]인 흥화군이 처형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차녀 정헌공주(貞憲公主)는 작호외에 다른 것은 사료에 전해지지 않고 있다. == 대중매체 == * 2002년 [[KBS1]] 대하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 김현주가 연기하였다. * 2022년 연재된 [[간절히]]의 [[대체역사소설]] 《[[전생하니 시어머니가 29명]]》에서 주인공이 [[TS물|TS]] 및 [[빙의]]된 ~~[[진히로인]]~~ 주인공 [[임연우]]로 등장한다. [[분류:고려의 왕비]][[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