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군위군의 읍면)] ||<-2> '''[[군위군|{{{#000000,#dddddd 군위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의흥면}}}'''[br]義興面 | Uiheu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군위군 의흥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군위군]] || || '''행정표준코드''' || 5141050 || || '''관할 법정리''' || 11리 || || '''하위 행정구역''' || 24행정리 67반 || || '''면적''' || 54.24㎢ || || '''인구''' || 2,327명[*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2.9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3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희국]] ,,(재선),, || ||<-2> '''대구광역시의원 | 군위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창석(1965)|박창석]] ,,(재선),, || ||<-2> '''군위군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수현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장철식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규종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읍내길 39 (읍내리 420-16) || || [[https://www.gunwi.go.kr/village/page.do?mnu_uid=548&|의흥면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군위군]]의 [[면(행정구역)|면]]. [[군위군]] [[우보면]]/[[산성면]]/[[삼국유사면]],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과 맞닿아있다. == 연혁 == [[650년]]에 하리, 중리, 파립, 우보 4개 면을 통합해 구산현을 만들었다. [[1018년]], 안동 도호부에 속했다. [[1062년]], 구산현에서 의흥군으로 조정했고 [[1413년]]엔 현재의 의흥현으로 개칭했다. [[1895년]], 의흥'''군'''으로 승격.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의흥군이 [[군위군]]에 넘어갔다. 이때 구 의흥군 중리면, 하리면, 파립면이 의흥면으로 통합되었다. [[1961년]], 법률로 인해 지방자치 단체로 조정. [[1983년]], [[산성면]] 금양리, 원산리가 의흥면으로 편입되었다. == 행정구역 == * 금양리 * 매성리 * 수북리 * 수서리 * 신덕리 * 읍내리 * 원산리 * 연계리 * 이지리 * 지호리 * 파전리 == 교육 == === 초등학교 === * 대구의흥초등학교 === 중학교 === * 의흥중학교 == 교통 == === 버스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대구 버스 급행9-1|급행9-1]] * [[군위군 농어촌버스]] * [[군위 버스 군위-신녕]] * [[군위 버스 군위-탑리, 백학]] * [[군위 버스 군위-낙전]] * [[군위군 행복마을버스]] === 철도 === * --[[군위역]]--[* [[중앙선]]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연계리에 [[군위역]]이 생길 예정이다.] == 출신 인물 == * [[박창석(1965)]] == 기타 == * 전국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곳이다. [[19대 대선]]에서 [[홍준표]]에게 73.86%, [[7회 지선]] 경상북도지사 선거에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에게 67.04%, [[21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미래한국당에게 71.07%, 지역구 [[김희국]] 후보에게 87.98%, [[20대 대선]]에서 [[윤석열]]에게 85.85%의 몰표를 던진 곳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8회 지선]] 경상북도지사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후보가 25.44%를 득표하며 [[군위군]]에서 '''가장 선전'''한 의외의 결과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군위군]]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 일제강점기 때 '부군면 통폐합'의 여파로 [[우보면]] 쪽에서 "읍내"를 말하면, [[군위읍]]이 아닌 [[의흥면 읍내리]]로 알아듣기도 한다. [[분류:군위군의 읍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