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이가라시 미키오}}}'''[br]五十嵐 三喜夫 | Mikio Igarash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라가시 미키오 2016년.jpg|width=100%]]}}} || || '''본명''' ||'''이가라시 미키오[br]{{{-1 ([ruby(五十嵐, ruby=いがらし)] [ruby(三喜夫, ruby=みきお)], Mikio Igarashi)}}}''' || ||<|2> '''출생''' ||[[1955년]] [[1월 13일]] ([age(1955-01-13)]세) || ||[[일본]] [[미야기현]] [[카미군]] 나카이다마치 (現 카미쵸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후쿠카와 공업 고등학교 {{{-2 (중퇴)}}} || || '''데뷔''' ||1979년 '80, 그 시절' || || '''링크''' ||[[http://www.bonobon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가]]. 30년 넘게 지금까지도 연재하고 있는 [[보노보노]]로 유명하며[* [[4컷 만화]] 장르에서 30년 이상 연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980년대에 많은 작품을 남겨왔다. 지금도 많은 작품을 연재하고 있으며, 자기 소속사외 작가는 받기 어려운 상을 여러 번 수상하였다.[* 코단샤와 쇼가쿠칸 만화상. 타케쇼보, 에닉스 소속으로 수상했다.] 주로 4컷 만화에서 활약을 하고 있는 이름 있는 작가이다. == 생애 == 어렸을때 [[난청]]을 앓았다. 하지만 그는 5세 때 신의 계시로 만화가가 될 것을 결심하였다. 난청의 영향으로 학업 생활에 어려움을 겪다가 미야기현 후쿠카와 공업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광고 회사와 인쇄소를 거쳐서 1979년에 잡지 에로 제니카에서 《80, 그 시절》로 만화가 데뷔를 하였다. 또 같은 해에 《어두운 토피아》로 큰 인기를 얻는다. 그리고 1983년에 《당신이 나빠!》로 제12회 일본 만화가 협회상을 수상하면서 순조롭게 이어나갔다. 하지만 아버지의 죽음으로 충격을 받아 한 달 동안 24개 분량의 연재를 하지 못했으며, 컨디션 난조로 결국 1984년에 휴재를 하고 만다. 휴재 도중에 [[센다이시]]로 이사를 갔으며, 공포 만화를 그리거나 PC, [[게이트볼]]을 즐기면서 2년 동안 꿀같은 재충전의 기간을 갖는다.[* 실제로 작가가 이때 즐거웠다고 한다. --역시 방학은 다 즐겁다--] 그리고 2년 만에 다시 복귀하면서 《BUG가 나온다》와 함께 《[[보노보노]]》를 연재하였다. 그리고 인기에 힘입어 1988년에 [[코단샤 만화상]]을 수상하였다.[* 코단샤 만화상은 자기 소속의 만화를 많이 받기로 유명한데 이 작품은 일반 부문 수상작에 처음으로 [[코단샤]] 외의 작품에 선정되었다.] 그리고 계속적인 호평을 이어나간 끝에 1993년 보노보노가 영화화되었고 여기에서 각본, 감독, 성우[* [[보노보노 아빠]] 역할을 했다.]를 맡았다. 1995년에는 애니화에도 성공을 하였으며 시간대도 많은 사람들이 보기 좋은 오늘의 포켓몬 시간대인 목요일 오후 7시 대에 방영이 되었다.[* 당시에 만화가 애니화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인기가 많았다는 증거이다.] 1년 4쿨로 방영을 했으며 종영 이후에도 계속 연재를 하였다. 또 자신의 사무소를 설립해서 16mm 필름 영화 제작을 하였으며 히가시 닛폰 방송과 일본 농협 마스코트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을 하였다. 1995년 4월호에 [[에닉스]]의 월간 [[소년 간간]]에서 《[[닌자펭귄 만마루]]》를 연재하였으며, 연속되는 호평에 간간 WING에서 외전으로 여러 번 게재되기도 했다. 보노보노와 마찬가지로 애니화가 되었으며 같은 해에 [[쇼가쿠칸 만화상]]을 수상하였다.[* [[에닉스]] 소속으로는 최초라고 한다.] 90년대 후반이 그의 전성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2000년대 초에 당시 생소한 인터넷 연재를 하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있었다고 한다. 사실상 웹툰을 꽤 일찍 한 셈. 2009년에 당시 [[베이퍼웨어]]가 되었던 보노보노 온라인 제작 발표를 할 때 방한을 했다. 2014년에는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3년 후의 [[미야기현]]의 해변 마을을 다루고 있는 《누구도 아닌 곳의 전망》을 연재하였는데 만화 잡지론 이례적으로 사상 잡지(at 플러스)에 발표했다. 2015년에 연재된 작품이 실사 영화로 만들어졌다. 2016년에 리부트된 애니가 한국에서 방영되기로 결정되자 다시 방한하였다. 인터뷰를 할 때 한국의 젊은 만화가들에게 "다른 사람의 작품을 모방하지 마라! 그리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른 사람이 먼저 작품을 냈다면 주저하지 말고 다른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인터뷰에서 보노보노가 30년 이상 갈 줄은 몰랐다며 보노보노의 탄생 배경을 이야기해주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보노보노]] 문서 참조. 2018년에는 [[조별 과제(개그콘서트)|개콘 조별과제 출연자들]]에게 자신의 친필 사인과 일러스트를 보내기도 했다. 해당 코너를 보고서 재미있다고 평했다고. == 작품 특징 == ||
[[파일:external/www.badalove.net/1887096499.jpg|width=334]] || [[파일:닌자펭귄 만마루.jpg]] || || 그의 상징인 [[보노보노]] || 그의 또 다른 작품인 [[닌자펭귄 만마루]] || 작품 대부분이 [[4컷 만화]]이다. 데뷔작과 초창기 작품들은 개그 만화가 주류였지만 이후엔 4컷 만화를 계속 연재하고 있다. 이후 휴식을 거쳐 연재하기 시작한 [[보노보노]]를 거점으로 점차 개그 만화에서 멀어져 간다. 2010년대 이후에 연재 및 출간되는 신작들은 《아이(I)》처럼 다소 분위기가 무거우며 극화체에 가까운 그림체를 시도한 작품도 있다. == 수상 경력 == * 1983년 제12회 일본만화가협회상 우수상 * 1988년 《[[보노보노]]》로 [[코단샤 만화상]] 수상 * 1998년 《[[닌자펭귄 만마루]]》로 제43회 [[쇼가쿠칸 만화상]] 수상 * 2014년 《양의 나무》로 제 18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우수상 수상 * 2016년 《누구도 아닌 곳의 전망》으로 제46회 일본만화가협회상 우수상 [[분류:일본의 만화가]][[분류:1955년 출생]][[분류:1979년 데뷔]][[분류:카미정(미야기) 출신 인물]][[분류:보노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