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당 황태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37449 0%, #a48252 20%, #a48252 80%, #937449); color: #ece5b6" '''당 고조의 황태자[br]{{{+1 은태자 | 隱太子}}}'''}}} || ||<|2> '''출생''' ||[[589년]] || ||[[수나라|수]] [[간쑤성|농서군]] [[톈수이시|성기현]][br](現 [[간쑤성]] [[톈수이시]] 친안군) || ||<|2> '''사망''' ||[[626년]] [[7월 2일]] (향년 37세) || ||[[당나라|당]] [[시안시|장안]] 현무문[br](現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시안시]]) || || '''능묘''' ||미상 || ||<|2> '''재위기간''' ||'''{{{#ece5b6 당의 황태자}}}''' || ||[[618년]] [[6월 7일]] ~ [[626년]] [[7월 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이(성씨)|농서 이씨]] || || '''휘''' ||건성(建成) || || '''부모''' ||부황 [[고조(당)|고조]][br]모후 [[태목황후]] || || '''형제자매''' ||22남 19녀 중 장남 || || '''배우자''' ||태자비 정씨 || || '''자녀''' ||6남 5녀 || || '''작호''' ||식왕(息王) || || '''시호''' ||은왕(隱王) → '''은태자(隱太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당나라]] 초창기의 인물. [[당고조]] 이연의 장남. 이연과 정실인 [[태목황후]] 두씨 소생이었다. == 생애 == 성격이 관대하고 간결하면서 술, 여색, 사냥 등을 좋아했으며, 617년 가을 7월 4일에 태원태수에 임명되었다가 618년 1월 22일에 좌원수에 임명되어 [[왕세충]]이 [[이밀]]과 싸우자 이를 돕기 위해 좌원수에 임명되어 우원수 [[당태종|이세민]]과 함께 100,000명을 이끌고 동도 낙양으로 구원하러 갔다가 4월 24일에 장안으로 돌아갔다. 618년 6월 7일에 황태자에 임명되었으나, 이건성은 동생인 이세민이 공로가 높은 것을 시기했으며, 621년에 유헌성이 부락 수만 명을 이끌고 변방에서 노략질을 하자 1월 23일에 당고조의 명으로 여러 군사를 통합해 공격했다. 622년에 계호 1,000여 명을 붙잡고 그의 추장을 수십 명을 석방한 후 관작을 주어 돌아가게 했다가 나머지를 불러 유헌성을 항복시켰다. 그렇지만 거짓으로 주•현을 늘려준다고 하면서 성읍을 쌓고 항복한 호족 중 나이 20세 이상인 사람을 모이게 했다가 포위해서 모두 죽였는데, 이때 학살당한 자가 6,000여 명이었다. 622년에는 [[유흑달]] 공격에 참전했고, 624년에는 이세민과의 다툼을 위해 장안과 사방에서 사람을 모집해 동궁의 위사로 삼아 장림문에 주둔해 장림병을 편성했으며, 우우후솔 가달지를 시켜 [[나예(당나라)|나예]]에게 유주의 돌격기병 300명을 징발하고, 여러 방에 설치해 동궁의 무관을 보충하려다가 고발당해 당고조에게 책망받았다. 진왕 이세민을 불러 짐주로 살해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으며, 진왕부 내에서 지략이 있어 꺼릴 사람은 [[방현령]]과 [[두여회]]라고 해서 그들을 참소해 쫓겨나게 했다. 그러나 626년에 이세민이 [[현무문의 변]]을 일으키면서 넷째 동생 제왕(齊王) [[이원길]]과 함께 살해당했다. 게다가 일국의 황태자가 머리가 [[효수]]당하는 지경까지 능욕을 당했다.(...) 이건성은 아들이 6명 있었는데, 요절한 태원왕(太原王) 이승종(李承宗)[* [[현무문의 변]] 이전에 세상을 떠났을 것으로 추측된다.]을 제외하고 안육왕(安陸王) 이승도(李承道), 하동왕(河東王) 이승덕(李承德), 무안왕(武安王) 이승훈(李承訓), 여남왕(汝南王) 이승명(李承明), 거록왕(鉅鹿王) 이승의(李承義) 모두 숙부 이세민에 의해 살해당하고 하나같이 농서 이씨 황실의 호적에서도 파였다. 훗날 태종 이세민의 13남 조왕(趙王) 이복(李福)[* 우문씨 소생이다.]이 이건성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시호는 처음에는 식은왕(息隱王)이었다가 이후 은태자(隱太子)로 변경되었다. 일각에서는 그가 역사의 패자이며 [[당태종]]의 사서 개입으로 악의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기도 한다. 확실히 일리가 있는게 당태종은 사서를 명백히 곡필한 황제이고, 이건성 또한 동생보다 부족했을 뿐 공이 없는 것도 아니였다. [[위징]] 같은 걸물이 충성을 다해 섬겼다는 것은 어찌되었든 그만한 그릇이었다는 것이기도 하고 당고조의 후궁들에게 호감을 샀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인품과 정치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 대중매체에서 == [[파일:이건성(연개소문).png]] * 2006년 [[SBS]] 드라마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에서는 배우 [[최정우]][* 아이러니한건 최정우가 동생 이세민을 맡은 [[서인석]]보다 무려 8살이나 어리다는 사실이다. 물론 30대 후반에 죽었다는걸 감안해도 [[나이]]가 많다. 사실 수나라 시절에도 형 [[양용]] 역을 맡은 김용헌이 동생 [[양제(수)|양광]] 역의 [[김갑수]]보다 6살이나 더 어렸다.]가 연기했다. 분명히 장남임에도 동생 [[태종(당)|이세민]]과 달리 [[당나라]] 건국 후부터 등장했기 때문에 비교적 등장이 짧은 편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분류:당나라의 황태자]][[분류:톈수이시 출신 인물]][[분류:589년 출생]][[분류:626년 사망]][[분류:화살에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