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선수단)] ---- ||<-2> '''{{{#fff200 이경은 관련 틀}}}'''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국여자프로농구 주장)] ||<-2> '''{{{#fff200 이경은의 수상 및 영예}}}'''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2014-15 [[한국여자프로농구]] 모범선수상''' || || 정미란 [br]([[청주 KB 스타즈|KB]])|| → || '''이경은[br]([[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 || [[한채진|한채진]][br]([[구리 KDB생명 위너스|KDB]]) || ---- ||<-5>
'''2020-21 [[한국여자프로농구]] 모범선수상''' || || [[한채진|한채진]][br]([[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 || '''이경은[br]([[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신한은행]])''' || → || [[신지현|신지현]][br]([[부천 하나원큐|하나원큐]]) || ---- ||<-2> '''{{{#8b0000 2010-11 WKBL BEST 5}}}''' || || [[이미선(농구)|이미선]] [br] ,,[[가드(농구)|G]] / 용인 삼성생명,, || '''이경은''' [br] ,,[[가드(농구)|G]] / 구리 KDB생명,, || ||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 [br] ,,[[포워드(농구)|F]] / 부천 신세계,, || [[김단비(1990)|김단비]] [br] ,,[[포워드(농구)|F]] / 인천 신한은행,, || ||<-2> [[신정자]] [br] ,,[[센터(농구)|C]] / 구리 KDB생명,, || ||<-2> '''{{{#8b0000 2015-16 WKBL BEST 5}}}''' || || [[박혜진(농구선수)|박혜진]] [br] ,,[[가드(농구)|G]] / 춘천 우리은행,, || '''이경은''' [br] ,,[[가드(농구)|G]] / 구리 KDB생명,, || || [[임영희]] [br] ,,[[포워드(농구)|F]] / 춘천 우리은행,, || [[쉐키나 스트릭렌]] [br] ,,[[포워드(농구)|F]] / 춘천 우리은행,, || ||<-2> 공석 || ---- [include(틀:WKBL 라운드 MIP/2007~2010)] ---- [include(틀:WKBL 역대 자유투상)] ---- [include(틀:WKBL 역대 식스우먼상)]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62ad 0%, #0062ad)" {{{+1 {{{#fff200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No. 9'''}}} [[주장|{{{#!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0e2269 '''C'''}}}}}}]]}}}}}} || ||<-3> {{{#ffffff '''INCHEON SHINHAN BANK S-BIRD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inhan9.jpg|width=100%]]}}} || ||<-3> '''{{{+2 {{{#ffffff 이경은}}}}}}[br]{{{#ffffff 李炅恩}}}''' || ||<-2> {{{#fff200 ''' 출생 ''' }}} ||[[1987년]] [[7월 13일]] ([age(1987-07-13)]세) || ||<-2> {{{#fff2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200 ''' 신체 ''' }}} ||[[키(신체)|신장]] 173cm || ||<-2> {{{#fff200 ''' 포지션 ''' }}} ||[[포인트 가드]] || ||<-2> {{{#fff200 ''' 학력 ''' }}} ||[[선일초등학교(서울)|선일초등학교]] {{{-2 (졸업)}}}[br]선일여자중학교 {{{-2 (졸업)}}}[br][[선일여자고등학교]] {{{-2 (졸업)}}}[br][[부천대학교]] {{{-2 (전문학사)}}} || ||<-2> {{{#fff200 ''' 프로 입단 ''' }}} ||[[2006 WKBL 신입선수 선발회|2006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2순위, [[OK저축은행 읏샷|구리 금호생명]][* 드래프트 직후 우리은행으로 트레이드])}}} || ||<-2> {{{#fff200 ''' 가족 ''' }}} ||부모님,남동생 || ||<-2> {{{#fff200 ''' 소속 ''' }}} ||[[아산 우리은행 위비|춘천 우리은행 한새]] (2006~2007) [br] '''[[OK저축은행 읏샷|구리 금호생명-KDB생명]] (2007~2018)'''[br]'''[[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2018~ )''' || ||<-2> {{{#fff200 '''링크''' }}} ||[[https://instagram.com/oddugi0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fff200 '''응원가''' }}} ||구단 자작곡[*가사 에스버드의 이경은 승리의 이름으로~ 에스버드의 이경은 승리의 이름으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소속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 이전에 [[OK저축은행 읏샷|구리 KDB생명 위너스]]의 소녀 가장이었다. == 선수 경력 == === 고교 시기 === 2005년 고3 시절, 서울시장기,전국체전 대회에서 우승한다. === [[OK저축은행 읏샷|구리 금호생명 레드윙스/KDB생명 위너스]] === 2006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2순위로 [[OK저축은행 읏샷|금호생명]]에 지명된 후 곧바로 2대2 트레이드로 우리은행 한새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당시 금호생명은 센터진의 보강을 위해 2006년 드래프트 1·2라운드에 지명된 신인 이경은과 [[염윤아]](現 [[청주 KB 스타즈|KB스타즈]])를 내주고 [[아산 우리은행 위비|우리은행]]에서 [[이종애]]와 신인 [[고아라(농구선수)|고아라]]를 받아오는 트레이드를 단행한다. 그러나 우리은행에서 1년 반 3시즌(2006 겨울~2007겨울)만 뛰고 다시 2007-08 시즌 3:2 트레이드[* 우리은행 이경은, [[김보미(농구선수)|김보미]] ↔ 금호생명 이순아, 박연수, 고아라]로 자신을 뽑았던 금호생명(KDB생명)에서 다시 뛰게 되었다. 이 트레이드는 [[이상윤(농구인)|이상윤]] 감독이 요청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루키 시즌에 가드진이 영 좋지 않았던 우리은행에서 많은 기회를 부여받았고, 퓨처스 리그에서도 자기 기량을 십분 보여주며 WKBL의 새 얼굴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자신이 지명된 금호생명에 돌아온 이후 이경은은 이상윤 감독의 신뢰와 함께 KDB생명의 프론트 라인을 이끌며 점차 리그의 수준급 포인트 가드로 성장해 나갔다. 그리고 [[신정자]], [[한채진]], 조은주 등과 같은 선배들 함께 금호생명-KDB생명을 강팀으로 만들며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 플레이오프 단골손님 팀으로 탈바꿈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특히 2010-11 시즌에 플레이오프에서 그 동안 이경은을 탈탈 털어왔던 [[이미선(농구)|이미선]]의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을 꺾으며 시즌 준우승을 기록하는데 주역이기도 했다. 하지만 2012-13 시즌부터 6-5-6-5[* [[첼시 리|모종의 사건]]으로 2위 [[부천 하나원큐|KEB하나은행]]이 시즌 몰수패 처리를 당해 5위가 되었다.]이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는 팀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포인트 가드|리딩 가드]]로서는 적당한 체격에, 프로 입문 전부터 '리틀 [[전주원(농구)|전주원]]'[* 이경은은 전주원의 선일여중-[[선일여고]] 직속 후배다. 그리고 전주원에 대한 존경 때문인지, 이경은은 전주원이 선수생활 동안 달았던 등번호 0번, 5번을 쓰기도 했다.]이라는 평가를 받아와 기대치가 높았다.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2017-18 시즌이 끝난 후 FA 자격을 취득하였다. 원 소속구단과 협상이 결렬되면서 시장에 나왔으며, 4월 23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와 연봉 2억 1,000만 원에 계약을 맺었다. 19-20 시즌 부터 장거리 3점포를 중심으로 신한은행 에스버드의 꼴찌 탈출에 이바지 하며 부활을 알렸다. 주전은 김이슬이지만 중요한 승부처에는 정상일 감독이 이경은 선수에게 맡겼다. 주전 김이슬 선수가 볼 운반 능력이 떨어지고 , 강팀을 만나면 더욱 약해지는 유리 멘탈이라서 이경은의 역할이 더욱 부각되는 시즌이었다. 부상으로 잘 뛰지는 못했지만 확실히 노련한 공격형 가드로서 성숙해 진듯 하다. 현재 2020-21 시즌 국내 선수만 뛰어야 하는 와중에 1라운드 신한은행의 1위 자리를 만드는데 김수연 선수와 함께 일조를 했다. 3점포 말고도 악바리로 리바운드 가담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언제 다칠지 모른다.-- 그런데 2월 24일 [[도핑 테스트]]에서 에페드린 성분이 허용치 이상의 양성을 받으며 5경기 징계를 받았다. [[http://naver.me/FKpjZ1eE|기사]] 그나마 무릎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점에 고의성이 없다고 인정되어 원래는 15경기 징계였던 것이 5경기로 감면되었다. 고의는 아니었지만 이 징계로 인해 WKBL 사상 최초로 KADA의 도핑 징계를 받은 선수가 되었다. 2021-22 시즌에는 부상 때문에 경기에 많이 출전하지는 못했다. 그래도 나올 때는 조금이나마 기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2-23 시즌에는 부상에서 회복했다. 거의 전 경기에 출전하며 꾸준히 제 몫을 다했고 신한의 많은 승리에 기여했다. 2023년 첫 경기인 1월 18일 인천에서의 우리은행전에서 15득점 7도움, 특히 4쿼터에는 8득점을 기록하며 경기 MVP가 되었다. 커리어 하이를 찍으며 신한 내 입지가 더 커졌다. 2023-24 시즌에 다시 주장을 맡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구단은 보도 자료를 통해 연봉 1억 4천만 원의 2년 계약을 맺었음을 발표함과 동시에 예상대로 이경은에게 재차 주장직을 맡길 예정이라고 [[https://naver.me/GNUSIpIG|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경은은 과거 2020-21시즌 팀에서 주장을 맡았던 만큼 리더십을 기대하고 있다"며 "최고참이 되는 이경은에게 다음 시즌에도 주장을 맡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 국가대표 경력 === * 2005 FIBA U19 세계선수권 6위 (푸에르토리코전 21득점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 2006 FIBA 세계선수권 13위 * 2009 FIBA 아시아선수권 2위 *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은메달 *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금메달 * 2015 FIBA 아시아선수권 3위 *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동메달 == 플레이 스타일 == 가장 큰 장점은 WKBL에서 보기 힘든 기술(스텝백 점프슛, 더블 클러치 등)을 구사하며, 마치 남자 농구선수들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데 있다. 그러나 부상이 잦은 터라 WKBL의 대표적인 [[유리몸]]으로 통하며, 기본적인 게임 조립에 있어서도 부족한 모습을 자주 보인다. 그래서인지 좋은 기량을 가지고는 있지만 매시즌 부상으로 인하여 시즌 절반 이상을 날리는 경우가 허다하며, 온전히 한 시즌을 내리 뛴 적이 손에 꼽는다. 부상의 악몽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특히 2011-12~2012-13 시즌에 부상으로 적은 경기를 뛴 데다, [[2012 런던 올림픽]] 예선전에도 뛰지 못하면서 이런 이미지가 부각되기도 했다. 분명 리딩 가드로서 좋은 자질은 가졌지만 뭔가 조금은 아쉽기는 하다. == 수상 내역 == *2007-08시즌 2라운드 MIP *2007-08시즌 4라운드 MIP *2010-11시즌 WKBL BEST5 *2013-14시즌 2점 야투상 *2014-15시즌 모범선수상 *2015-16시즌 WKBL BEST5 *2015-16시즌 역대 자유투상 *2020-21시즌 모범선수상 *2021-22시즌 식스우먼상 == WKBL의 인기 스타 == [[파일:external/www.xportsnews.com/1357273798820.jpg]] 프로 초반에 WKBL에서 '얼짱'으로 밀어주면서 현재는 WKBL을 대표하는 인기스타가 됐다. 한때는 리그의 젊은 기수로 [[최윤아]]의 라이벌로 밀어주기도 했고, 실제로도 두 선수는 WKBL을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했다. 그리고 2010-11~2012-13 시즌 3시즌 연속으로 올스타전 투표 전체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2011-12 시즌 올스타전은 공동 MVP였던 [[박정은(농구)|박정은]]과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보다도 이경은이 더 부각됐던 이벤트이기도 했다. 위의 사진처럼 벤치에서 흥이 넘치는 춤사위를 보여주는가 하면, 초대가수였던 [[김장훈]]을 와락 껴안는 돌발행동(?)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러한 성격을 잘 보여주는 별명이 '조폭너구리'로, 개구진 성격에 약간의 [[다크서클]]이 낀 눈매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이러한 인기 때문인지 [[네이버]] 여자농구 댓글란에는 기사 내용이 이경은과의 관련 여부와 상관없이 '''"아 됐고 이경은 짱"'''이라는 꾸준 댓글을 다는 팬이 있을 정도다.[* 최근 인터뷰에서 이 댓글을 쓴 사람 덕분에 많은 힘이 되었다고 고맙다고 직접 언급한 적도 있다.] 여러모로 WKBL의 인기 스타. == 이모저모 == * [[세차]]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한다. 라커룸에 세차 도구를 구비해 놓을 정도다. *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 선수에게서 남자를 2~3명 정도 소개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한다. * 신한은행 내에서 [[안영미]] 닮았다고 유튜브 방송에서 이야기된 적 있다. * 김기웅 캐스터와 같이 처진 눈이 닮았다. 그러나 본인은 둘이 닮았다는 점을 극구 부인하고 있다. * 결혼은 아직 안했으나 애기들은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국가대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경은 항저우.jpg|width=100%]]}}} || || '''{{{#fff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선수단 역사]] * [[OK저축은행 읏샷]]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분류:1987년 출생]][[분류:선일초등학교(서울) 출신]][[분류:선일여자중학교 출신]][[분류:선일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포인트 가드]][[분류:2006년 데뷔]][[분류: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은퇴, 이적]][[분류:OK저축은행 읏샷/은퇴, 이적]][[분류: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현역]][[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