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3821c 20%, #83821c)" {{{#FFFFFF '''이경희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극본상'''}}} || || '''제43회[br]([[2007년]])''' || {{{+1 →}}} || '''제44회[br]([[2008년]])''' || {{{+1 →}}} || '''제45회[br]([[2009년]])''' || || [[최완규]][br]정형수[br]([[주몽(드라마)|주몽]]) || {{{+1 →}}} || '''{{{#000 이경희[br]([[고맙습니다(드라마)|{{{#000 고맙습니다}}}]])}}}''' || {{{+1 →}}} || [[유현미]][br]([[신의 저울]]) || ||<-5> || ---- }}} || ||<-2>
{{{+3 ''' 이경희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경희 작가.jpg|width=100%]]}}} || || '''출생''' ||1969년생 경상남도 진주 || || '''경력''' ||두원공과대학교 방송작가전공 교수 || || '''학력''' ||한국방송작가협회 교육원 7기 출신 || || '''데뷔''' ||[[1998년]] MBC [[베스트극장]] '''소영이 즈그 엄마'''|| || '''소속''' ||[[http://www.campent.co.kr/wp/|씨에이엠피]]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 [[2007년]] MBC 수목 미니시리즈 《고맙습니다》가 대표작이다. 이경희 작가는 '[[상두야 학교 가자]]'(2003), '[[미안하다, 사랑한다]]'(2004), '[[이 죽일 놈의 사랑]]'(2005), '고맙습니다'(2007),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2009),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 남자'(2012, 이하 '착한남자'), '참 좋은 시절'(2014) 등 다양한 작품을 집필했다. == 작품 목록 == === 드라마 === || '''방송 연도''' || '''방송사''' || '''비고''' || '''제목''' || ||1998년||MBC||베스트극장||소영이 즈그 엄마|| ||1998년||MBC||일요아침드라마||[[사랑밖엔 난 몰라]]|| ||2000년||KBS||주말 연속극||[[꼭지(드라마)|꼭지]]|| ||2001년||KBS 2TV||월화 미니시리즈||[[순정]]|| ||2002년||KBS||드라마시티||[[천국보다 기쁜]]|| ||2002년||KBS||드라마시티||[[햇빛 쏟아지던 날들]]|| ||2003년||KBS 2TV||월화 미니시리즈||[[상두야, 학교가자]]|| ||2004년||KBS||드라마시티||우리 햄|| ||2004년||KBS||월화 미니시리즈||[[미안하다, 사랑한다]]|| ||2005년||MBC||주말연속극||떨리는 가슴 - 외출|| ||2005년||KBS 2TV||월화 미니시리즈||[[이 죽일놈의 사랑(드라마)|이 죽일놈의 사랑]]|| ||2007년||MBC||수목 미니시리즈||[[고맙습니다(드라마)|고맙습니다]]|| ||2009년||SBS||드라마 스페셜||[[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2012년||KBS 2TV||HD 수목드라마||[[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2014년||KBS||주말 연속극||[[참 좋은 시절]]|| ||2016년||KBS 2TV||수목드라마||[[함부로 애틋하게]]|| ||2019년||JTBC||금토드라마||[[초콜릿]]||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2005년 || 한국방송작가협회 || 드라마부문 우수작 || [[미안하다, 사랑한다]] || ||2007년 || 제20회 한국방송작가상 || 드라마부문 || [[고맙습니다]] || ||2008년 || 제44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극본상 || [[고맙습니다]] || == 이경희 사단 == === 감독 === * 이형민 - 초콜릿, '''미안 하다, 사랑하다''' '''[[상두야, 학교가자]]'''를 연출 === 배우 === * [[소지섭]] [[임수정]] - 미안하다, 사랑하다 * [[비(연예인)|정지훈]] [[공효진]] - 상두야, 학교 가자 * [[고수]] [[한예슬]] -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 [[송중기]] [[문채원]] -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 [[정지훈]] [[신민아]] [[김사랑]] - [[이 죽일놈의 사랑(드라마)|이 죽일놈의 사랑]] * [[윤계상]] [[하지원]] - [[초콜렛]] * [[김희선]] [[이서진]] [[택연]] - [[참 좋은 시절]] * [[김우빈]] [[수지(1994)|수지]] - [[함부로 애틋하게]] == 인터뷰 == * [[https://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99|[인터뷰] 고맙습니다’ 이경희 작가]] * [[https://lady.khan.co.kr/article/10451|2007년 최고의 드라마로 꼽힌 ‘고맙습니다’의 이경희 작가]] >'''질문:어떤 작가로 기억되고 싶은가?''' >답변:어느 날 한때 내 가슴을 울렸던 드라마를 쓴 사람이구나. 한 계절 울컥했고, 덕분에 어머니의 손을 한 번 더 잡고, 일상과 편견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됐구나, 이렇게. 그런 드라마를 쓴 작가로 생각해줬으며 좋겠다. >난 내 드라마가 깊이 인식되고 팬이 많아지는 게 부담스럽다. 장애가 되고 올가미가 될 것 같다. 그래서 인터뷰 기사나 시청자 의견도 잘 안 본다. 족쇄가 될 거 같아서. 자유롭고 싶다. >난 그냥 쓰는 거다. 내가 재미있는, 내가 보고 싶은 드라마를 쓰는 거다. 적어도 세상에 큰 공해는 되지 않는 드라마를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 기사 ===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60707000064|역시 '믿고 보는' 작가들…이경희·김은희·노희경·김은숙, 썼다 하면 '대박]] == 여담 == * 공효진은 이경희 작가의 페르소나가 되고 싶다고 했다. * 인터뷰에서 '''개성있고 예쁜''' 여배우를 선호한다고 말해왔다. 예쁘기만 한게 아니라 개성이 있어야 마음이 간다고 했다. >내가 이경희 작가님의 작품을 하고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설렌다. 이렇게 훌륭한 작품을 써주시는 작가님 밑에서 연기를 한다는 것이 기쁘고, 그렇기 때문에 작가님께 인정 받고 싶은 마음이 크다. >---- > 송중기 '''착한 남자''' *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는데에 탁월하다. [[비(연예인)|정지훈]], [[임수정]] ,[[송중기]]를 스타로 발굴했다. * [[최성실]][* 최성실 작가는 1957년 2월 5일생이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을 졸업했으며,[[우리들의 천국]], [[육남매]]를 집필했다.]작가님과 4년동안 보조 작가로 일하다가 단막극으로 입봉하고, 시추에이션 드라마를 시작한게 작가 일의 시작이라고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드라마 각본가]]